$\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의 성별에 따른 건강관련 삶의 질 영향요인
Gender Difference in Influencing Factors on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the Elderly in Community 원문보기

디지털정책연구 =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v.11 no.12, 2013년, pp.523 - 535  

이승희 (울산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대한 인구사회학적 및 건강관련 요인의 영향력을 성별에 따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제5기 2차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65세 이상 노인 1,598명의 자료를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남자노인의 경우 교육수준과 월 소득, 활동제한, 주관적 건강상태, 만성질환 수가 영향요인이었고, 여자노인의 경우에는 연령, 활동제한, 주관적 건강상태, 우울, 스트레스가 영향요인이었다. 남녀노인 모두에서 활동제한과 주관적 건강상태가 건강관련 삶의 질의 강력한 영향요인이었고, 특히 남자노인과 달리 여자노인에서는 우울, 스트레스와 같은 정신 건강특성이 건강관련 삶의 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향후 노인을 대상으로 건강관련 삶의 질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을 기획할 때 이러한 노인의 성별 특성을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ocio-demographic and health factors affecting on the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in elderly by gender. Methods: Data of the study were derived from the fif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2, 2011). The subje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성별에 따른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 정도를 파악하고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건강특성(신체적, 정신적 건강, 건강행태)이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력을 성별로 비교, 분석하기 위해 실시되었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남녀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 정도를 파악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성별로 비교, 분석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제 5기 2차년도(2011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노인의 성별에 따른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는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제5기 2차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성별에 따른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 정도를 파악하고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건강특성(신체적, 정신적 건강, 건강행태)이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력을 성별로 비교, 분석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연구결과 남성 노인이 여성노인보다 건강관련 삶의 질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건강관련 삶의 질에 성별이 주요 변인이며 여성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이 남자노인에 비해 낮다고 보고한 선행연구[[6,9,18,19,20,21,22]를 재확인할 수 있는 결과였다.
  • 대상자의 성별에 따라 건강관련 삶의 질에 대한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건강 특성(신체적․정신적 건강, 건강행태)의 설명력을 검증하고, 어떤 변인이 더 강력한 영향력을 지니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위계적 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남, 여 노인의 건강 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개별변수들의 영향력은 물론 각 단계별 모형의 유의미성 및 설명력의 증가를 통해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 영향요인에 대한 추가적인 의미를 찾고자 하였다. 먼저, 회귀분석을 실시하기 전에 독립변수들 사이의 다중공선성을 살펴보았다.
  • 이상의 연구결과를 살펴볼 때, 본 연구는 노인의 건강 관련 삶의 질 영향요인의 성별 차이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노인을 위한 건강관련 삶의 질 향상 프로그램을 기획할 때 성별 특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도출한 점에서 의미가 있다. 즉 교육과 소득수준이 낮으며 만성질환 수가 많은 남성노인일수록, 우울과 스트레스 정도가 높은 고연령 여성노인일수록 건강관련 삶의 질이 감소하였으므로 이들 노인을 차별화하여 교육과 소득수준이 낮으며 만성질환 수가 많은 남성노인에게는 신체적 건강의 향상을 위한 건강 프로그램을, 우울과 스트레스 정도가 높은 고연령 여성노인에게는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함께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전담인력을 배치하여 정기적으로 방문하는 등 건강관리체계를 구축하는 다각적인 방안이 마련되어야 하겠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대한 인구사회학적 및 건강관련 요인의 영향력을 성별에 따라 확인 하기 위하여 조사 분석 한 결과는? 이를 위해 제5기 2차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65세 이상 노인 1,598명의 자료를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남자노인의 경우 교육수준과 월 소득, 활동제한, 주관적 건강상태, 만성질환 수가 영향요인이었고, 여자노인의 경우에는 연령, 활동제한, 주관적 건강상태, 우울, 스트레스가 영향요인이었다. 남녀노인 모두에서 활동제한과 주관적 건강상태가 건강관련 삶의 질의 강력한 영향요인이었고, 특히 남자노인과 달리 여자노인에서는 우울, 스트레스와 같은 정신 건강특성이 건강관련 삶의 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향후 노인을 대상으로 건강관련 삶의 질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을 기획할 때 이러한 노인의 성별 특성을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삶의 질이란 무엇인가? 삶의 질은 개개인이 살고 있는 문화와 가치체계 안에서 그들의 목적, 기대, 표준, 관심과 관련하여 자신의 삶의 위치에 대한 개인의 지각으로[3] 혹은 각 개인이 신체 적, 정신적, 사회경제적, 영적인 면에서 지각하는 주관적인 안녕상태로[4] 정의되고 있다. 노년기는 역할상실에 따른 자존감 저하와 소외감, 빈곤, 질병 등 부정적인 변화를 겪는 시기로 이런 문제들은 노년의 삶을 위협하는 요인이 된다.
2012년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인구는 몇퍼센트 인가?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인구는 2012년 현재 전체 인구의 11.8%를 넘었으며, 2018년에는 14.3%로 고령사회에 진입할 전망이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Statistics Korea,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1/index.board?bmoderead&aSeq26036 8, 2012. 

  2. Statistics Korea, http://kosis.kr/nsportalStats/nsportalStats_0101Body.jsp?menuIdall, 2013. 

  3.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 Group, Development of the WHOQOL: Rationale and current status. International Journal of Mental Health, Vol. 23, pp. 24-26, 1994. 

  4. C. E. Ferrans, & M. J. Powes, Psychometric assessment of the quality of life index. Research in Nursing & Health, Vol. 14, pp. 179-186, 1992. 

  5. K. R. Shin, Y. H. Kang, D. Y. Jung, & K. A. Choi, A study on the depression, somatic symptom, activities of daily living for the elderly women in an urban a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37, No. 7, pp. 1131-1138, 2007. 

  6. K. R. Shin, Y. S. Byeon, Y. H. Kang, & J. W. Oak, A study on physical symptom, activity of daily living,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the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38, No. 3, pp. 437-444, 2008. 

  7. B. J. DeLateur, The 29th Walter J. Zeiter Lecture. Quality of life: A patient-centered outcome.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Vol. 78, pp. 237-239, 1997. 

  8. M. R. Borgaonka, & E. J. Irvine, Quality of life measurement in gastrointestinal and liver disorder. Gut, Vol. 47, pp. 444-454, 2000. 

  9. E. E. Thomas, M. R. Colleen, & A. P. Jeanette, Chronic pain,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Correlations with gender, age, and number of pain types. Quality of Life Research, Vol. 12, No. 7, pp. 805, 2003. 

  10. Statistics Korea, http://kosis.kr/wnsearch/totalSearch.jsp, 2013. 

  11. S. G. Kwak, S. H. Park, & E. K. Kim, A study on the gendered perceptions and lived-experiences of aged women, age, and number of pain types.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Women's Studies, Vol. 24, No. 4, pp. 141-174, 2008. 

  12. H. J. Moon, & I. S. Lee, Gender-based comparison of physical activity levels of older Korean adults with chronic disease.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Vol. 13, No. 2, pp. 120-130, 2011. 

  13. H. J. Lee, & S. K. Kahng, The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functioning and depressive symptoms: Group comparison by gender.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Vol. 42, No. 2, pp. 179-203, 2011. 

  14. C. S. Kim, & S. E. Kim, Perception of old age among aged men and women.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 32, No. 1, pp. 103-114, 2012. 

  15. Y. H. Jeong, A report on the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Korea.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Vol. 182, pp. 6-14, 2011. 

  16. H. R. Kim,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depression by gender in low income elders in urban community.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Vol. 14, No. 3, pp. 162-172, 2012. 

  17. K. Y. Park, Factors influencing perceived health status in elders according to gender.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Vol. 11, No. 2, pp. 216-225, 2009. 

  18. C. Baldus, K. Bridwell, J. Harrast, C. Shaffrey, S. Ondra, L. Lenke, F. Schwab, S. Mardjetko, S. Glassman, C. Edwards, T. Lowe, W. Horton, & D. Polly, The scoliosis research society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SRS-30) age-gender normative data: an analysis of 1346 adult subjects unaffected by scoliosis. Spine, Vol. 36, No. 14, pp. 1154-1162, 2011. 

  19. A. Ferrer, F. Formiga, J. Almeda, J. Alonso, C. Brotons, & R. Pujo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nonagenarians: Gender, functional status and nutritional risk as associated factors. Medicina Clinica, Vol. 134, No. 7, pp. 303-306, 2010. 

  20. G. Low, & G. Gutman, Examining the role of gender i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Perceptions of older adul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Journal of Gerontological Nursing, Vol. 32, No. 11, pp. 42-49, 2006. 

  21. K. Sylvia, & H. Beatrix, Gender differences i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healthy aged and old-aged Austrians: Cross-sectional analysis. Gender Medicine, Vol. 5, No. 3, pp. 270-278, 2008. 

  22. U. W. Jayasinghe1, M. F. Harris1, J. Taggart1, B. Christl1, & D. A. Black, Gender differences i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Australian chronically-ill adults: Patient and physician characteristics do matter. Health and Quality of Life Outcomes, 11:102. doi: http://www.hqlo.com/content/11/1/102, 2013. 

  23. J. G. Kim, An analysis on income-related health inequality of the aged applied to EQ-5D.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 32, No. 3, pp. 759-776, 2012. 

  24. J. Y. Kim, S. G. Lee, & S. K. Lee,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behaviors, health status,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 30, No. 2, pp. 471-484, 2010. 

  25. H. S. Kim, A study on self-rated health,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Vol. 8, No. 2, pp. 117-127, 2006. 

  26. S. Y. Kim, & S. Y. Sohn, Factors related to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rural elderly women.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Vol 14, pp. 91-98, 2012. 

  27. Y. S. Kim, H. Y. Jun, C. H. Kim, & S. H. Hwang, Comparison on the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in low-income elderly between urban and rural a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Living Environment System, Vol. 19, No. 1, pp. 42-50, 2012. 

  28. H. Y. So, H. L. Kim, & K. O. Ju, Prediction model of quality of life in elderly based on ICF mode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41, No. 4, pp. 481-490, 2011. 

  29. J. Yeom, J. S. Park, & D. H. Kim, A study of factors affecting self-rated health among Korean elderly: Focusing on gender differences.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 32, No. 4, pp. 1101-1118, 2012. 

  30. C. S. Kim, S. Kim, Perception of old age among aged men and women.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 32, No. 1, pp. 103-114, 2012. 

  31. H. Moon, I. Lee, Gender-based comparison of physical activity levels of older Korean adults with chronic disease.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Vol. 13, No. 2, pp. 120-130, 2011. 

  32. J. M. Kim, M. S. Lee, H. J. Song, An analysis of risk factors for falls in the elderly by gender.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ol. 25, No. 2, pp. 1-18, 2008. 

  33.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The fif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2). http://knhanes.cdc.go.kr/knhanes/index.do, 2012. 

  34. H. K. Lee, S. H. Lee, & E. W. Lee, Characteristics and factors related to problem drinking of the elderly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Health Informatics and Statistics, Vol. 37, pp. 64-75, 2012. 

  35. R. Rabin, & F. de Charro, EQ-5D: a measure of health status from the EuroQol Group. Annals Medicine, Vol. 33, pp. 337-343, 2001. 

  36. S. H. Lee, & S. O. Yang, The effects of chronic musculoskeletal pain and depression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by gender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ol. 21, No. 1, pp. 21-30, 2010. 

  37. Y. S. Byeon, The level of depression and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ies in the elderly according to gender,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Vol. 8, No. 2, pp. 128-135, 2006. 

  38. S. E. Widmalm, D. C. McKay, J. C. Radke, Y. Zhang, X. Wang, & M. Wang, Gender differences in low and high pain palpation thresholds in the TMJ and neck areas. The Journal of Craniomandibular Practice, Vol. 31, No. 2, pp. 92-99, 2013. 

  39. P. S. Fry, & P. T. Wong, Pain management training in the elderly: Matching interventions with subjects' coping styles. Stress Medicine, Vol. 7, pp. 93-98, 1991. 

  40. T. Y. Lee, & J. K. Kim, Comparison of quality of life related with the level of activity and the grade of activity in the elderly residing among city, farmimg and fishing area.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0, No. 2, pp. 402-411, 2010. 

  41. S. H. Hu, & J. D. Kim, Analysis of mullti-level effectiveness on life satisfaction in old age at KLIPS 2006.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 31, No. 2, pp. 407-418, 2011. 

  42. E. S. Yim, & K. H. No, The effects of related factors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for the frail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ol. 21, No. 1, pp. 12-20, 2010. 

  43. S. Chan, S. Jia, H. Chiu, W. T. Chien, R. D. Thompson, Y. Hu, & L. Lam, Subjectiv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Chinese older persons with depression in Shanghai and Hong Kong: relationship to clinical factors, level of functioning and social support.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Vol. 24, No. 4, pp. 355-362. doi: 10.1002/gps.2129, 2009. 

  44. I. S. Stalbrand, T. Svensson, S. Elmstahl, V. Horstmann, B. Hagberg, O. Dehlin, & G. Samuelsson, Subjective health and illness, coping and life satisfaction in an 80-year-old Swedish population-implications for mortality.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Medicine. Vol. 14, No. 3, pp. 173-180, 2007. 

  45. M. R. Song, E. K. Kim, & S. J. Yu, A study of ADL, social support, self-efficacy between the aged groups with and without depression.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Research, Vol. 24, pp. 61-80, 2010. 

  46. J. I. Kim, Levels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EQ-5D) and Its related factors among vulnerable elders receiving home visiting health care services in some rural area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ol. 24, No, 1, pp. 99-109, 2013. 

  47. J. Y. Kim, S. G. Lee, & S. K. Lee,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behaviors, health status,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 30, No. 2, pp. 471-484, 201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