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주요 선진국의 군 건강관련 조사 실태 및 특성: 미국, 호주, 캐나다를 중심으로
Current State and Characteristics of Military Survey in Developed Countries: Focused on the Surveys of United States, Australia, and Canada 원문보기

디지털정책연구 =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v.11 no.12, 2013년, pp.537 - 549  

김미선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보건과학과) ,  손민성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보건과학과) ,  최만규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보건과학과)

초록

본 연구는 주요 선진국의 군인 건강조사 실태 및 특징을 살펴보고, 우리나라 군인 건강조사의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군인 건강조사를 실시하고 있는 미국, 호주, 캐나다의 군인 건강조사 현황을 파악하였다. 구체적으로 건강조사의 배경, 목적, 대상, 참가인원 수, 방법, 내용, 관련기관, 주기 등을 심층 고찰하였다. 고찰결과 주요 선진국의 군 건강 설문조사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군인 건강조사는 건강 위험요인을 줄이는 방향으로 단계적으로 발전해왔다. 둘째, 정신건강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셋째, 외국의 군 건강조사는 정부의 협력뿐만 아니라 전문조사기관이나 대학과의 협력을 통해 데이터 수집 및 분석에서 익명성과 전문성을 보장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제도화를 통해 건강 설문조사를 정기적으로 시행하고 있다는 것이다. 앞으로 군 보건의료 관계자뿐만 아니라 국가적 차원에서 군 건강조사에 대한 필요성과 중요성을 인식하고 법적, 제도적 환경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겠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s implications for the Korean military health survey from literature review on foreign military health surveys. The authors discuss backgrounds, objectives, participants, methods, contents, organizations involved, and cycles of foreign military health surveys from literature revie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10년 실시된 본 조사는 정신질환의 유병률, 군 특성을 반영한 정신질환의 발생 요인과 이러한 요인들이 미치는 영향, 건강행태 등에 대한 조사를 위해 시행되었다. 호주 장병들의 정신건강증진 정책과 프로그램의 설계를 위한 기초자료 생산을 위해 시행되었으며 민간과의 비교를 통해 군 특성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 미국, 호주, 캐나다는 정기적으로 조사를 시행하며 조사결과를 분석하여 보고서를 발간하고 있지만 뉴질랜드와 이스라엘은 보고서를 발간하고 있지 않아 자료의 접근에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국, 호주, 캐나다에서 실시하고 있는 군인 건강 설문조사 사례에 대해 심층적으로 고찰하여 군인들의 건강을 모니터링하고 향상시킬 수 있는 군인건강조사의 시행을 위한 주요 선진국 군 건강자료의 수집 체계와 현황 및 이를 위한 법적, 제도적 환경 등을 검토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군 건강감시 체계 중 장기조사에 해당하는 “군인 건강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 가장 최근인 2009년 보고서로 발간된 2008년 조사에 따르면 현역대상 건강행태조사의 목적은 세가지이다. 음주, 약물 사용과 관련해서 그 원인과 영향을 파악하고 군의 훈련 프로그램, 건강증진 프로그램 등 군인 장병의 건강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모든 프로그램의 적합성과 성과를 평가하기 위함이다. 또한 시행하고 있는 프로그램의 정책적 영향 평가 및 앞으로 방향 설정을 위한 자료 확보를 하기 위함이다[표 1].
  • 2002년에 실시한 캐나다 정신건강 및 건강행태 조사는 기존의 캐나다 지역사회 건강조사를 군인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이는 현역과 예비역의 건강수준을 비교 평가할 뿐만 아니라 또한 민간과의 비교를 통해 군 보건의료 정책수립에 반영코자 하였다. 국방부, 국방부 인력관리시스템, 통계청, 건강정보부(Canadian Institute of Health Information [CIHI])의 협력으로 시행되었다.
  • 이에 본 연구는 군 건강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있는 외국 주요 국가들의 군 건강 설문조사의 배경과 목적, 조사방법과 내용, 자료의 공개 범위, 결과의 활용 등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군 장병들의 건강을 모니터링을 하고 증진을 할 수 있는 우리나라 군 건강조사 시행과 활용에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 또한「군보건의료에 관한 법률」의 제정으로 군인 건강증진을 위한 기초통계 자료 생산의 기반이 마련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군 건강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있는 외국 주요 국가들의 군 건강 설문조사의 배경과 목적, 조사방법과 내용, 자료의 공개 범위, 결과의 활용 등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군 장병들의 건강을 모니터링을 하고 증진을 할 수 있는 우리나라 군 건강조사 시행과 활용에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 가장 최근 조사인 2008/2009조사에서는 해외 파견 군인들을 조사대상에 포함하였다. 현역 군인의 신체 및 정신건강 상태를 파악하고, 군에서 제공하고 있는 보건의료 서비스와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이용률과 요구도 및 만족도를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되고 있다. 국방부 통계청과 건강보호청이 중심이 되어 실시하고 있고 설문지는 프랑스어와 영어 두 가지 언어로 설계되었다.
  • 2005년 처음 실시된 본 조사는 현역 군인 대상 건강행태 조사와의 비교를 위해 시행되었으며 목적, 조사방법, 내용, 결과의 활용, 관련기관, 자료 공개와 공표시기가 현역 대상조사와 같다. 현역대상 조사와 마찬가지로 Healthy People 2010 정책목표를 평가하고 현역과의 비교를 통해 예비역의 건강관리 필요성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2005년에 조사 대상은 국가 경호대, 주방위군을 포함한 예비역으로 조사 표본은 약 30,000명이며 이 중 약 60%인 17,963명이 응답하였다.
  • 2010년 실시된 본 조사는 정신질환의 유병률, 군 특성을 반영한 정신질환의 발생 요인과 이러한 요인들이 미치는 영향, 건강행태 등에 대한 조사를 위해 시행되었다. 호주 장병들의 정신건강증진 정책과 프로그램의 설계를 위한 기초자료 생산을 위해 시행되었으며 민간과의 비교를 통해 군 특성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군 건강감시 체계는 어떻게 구분되는가? 군 건강감시 체계는 단기조사와 장기조사로 구분된다. 건강검진, 법정 질명 및 증상 보고, 전투 파견 전-후 건강 비교, 질병 및 비전투 손실 보고가 단기조사에 해당하며, 전자의무기록 건강감시, 군인 건강 설문조사, 질병 및 사망 등록 시스템, 퇴역 후 추적조사가 장기조사에 해당한다[3].
주요 선진국의 군 건강 설문조사의 특징은 어떠한가? 고찰결과 주요 선진국의 군 건강 설문조사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군인 건강조사는 건강 위험요인을 줄이는 방향으로 단계적으로 발전해왔다. 둘째, 정신건강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셋째, 외국의 군 건강조사는 정부의 협력뿐만 아니라 전문조사기관이나 대학과의 협력을 통해 데이터 수집 및 분석에서 익명성과 전문성을 보장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제도화를 통해 건강 설문조사를 정기적으로 시행하고 있다는 것이다. 앞으로 군 보건의료 관계자뿐만 아니라 국가적 차원에서 군 건강조사에 대한 필요성과 중요성을 인식하고 법적, 제도적 환경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겠다.
군 건강감시 체계 중 장기조사는 어떤것이 포함되는가? 단기조사는 건강검진, 법정 질병 및 증상 보고, 전투 파견 전-후 건강 비교, 질병 및 비전투 손실 보고 등이 해당된다. 장기조사에는 전자의무기록 (Electronic Medical Records [EMRs])을 이용한 건강감시, 건강 설문조사, 질병 및 사망 등록시스템, 퇴역군인 추적조사 등이 포함된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J. P. Bunker, H. S. Frazier & F. Mosteller, The role of medical care in determining health: creating an inventory of benefits, In B. C. Amick III, S. Levine, A. R. Tarlov, & D. C. Walsh (Eds.), Society and Health, pp. 305-379,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95. 

  2. G.. Alleyne, D. Suckler & A. Alwan, The hope and the promise of the UN resolution on noncommunicable disease. Glottalization and Health. Vol. 6, No. 15, pp. 1-3, 2011. 

  3. L. Rushton, A. C. Capleton & H. Wickramatillake, Health surveillance mechanisms used by armed forces worldwide. Military Medicine, Vol. 169, No. 12, pp. 1005-1010, 2004. 

  4. U.S. Secretary of Defense, Report to the Committee on National Security, US House of Representatives, and the Armed Services Committee, US Senate, on the effectiveness of medical research initiatives regarding Gulf War illnesses. Washington, D.C.: Department of Defense, 1998. 

  5. Governmental Printing Office, Presidential advisory committee on Gulf War veterans illnesses: final report. Washington, D.C.: Governmental Printing Office, 1996. 

  6. M. Ryan, The Millennium Cohort Study. Paper presented at the RTO HRM symposium on NATO medical surveillance and response, research and technology opportunities and options, Budapest, Hungary, 2004. 

  7. Institute of Medicine, Gulf War veterans: measuring health.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1999. 

  8. A. S. Park. A study on the preparations for enlistment of multicultural youth. The Korean Journal of Defense Policy, Vol. 26, No. 4, pp. 177-207, 2010. 

  9. T. S. Nam. In major innovation rush to the strengthening of the military health system. Hospital Line, March-April, 2010. 

  10. S. Y. Joe, E. J. Ko, & H. H. Kim. Research on the health behaviors of military personnel: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Military Nursing Research, Vol. 29, No. 1, pp. 124-137, 2011. 

  11. Kyung-Sook Lee, Study on factors associated with the health promoting lifestyle of the military officers and sergeants.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2006. 

  12. Joon-Young Baek, Medical examination and health behavior of soldiers. Master's Thesis, Kyungwon University, 2009. 

  13. H. J. Hawng. Related factors to the health behaviors of military officers and non-commissioned officers. Journal of Military Nursing Research, Vol. 25, No. 2, pp. 1-26, 2007. 

  14. S. Y. Choe. Relations of health promoting behaviors, mental health, and military life adjustments of soldi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Vol. 12, No. 2, pp. 164-171, 2003. 

  15. Mi-Yang Kim, Health related behaviors and the result of physical fitness test of the ROK Officers and NCOs.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2001. 

  16. Joon-Hyuk Lee, Study on the influence factors to the health practices behaviors of the military officers and NCO's.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2001. 

  17. J. S. Kim. Effect on the soldier' resiliency on the adjustment in military. Journal of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3, No. 1, pp. 278-286, 2013. 

  18. K. S. Ko, M. K. Jeong. Relationship of active duty solders' military life adaptation, self-esteem, anxiety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depression. Journal of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1, No. 12, pp. 294-306, 2011. 

  19. I. Y. Han, Mental health of Korean soldiers and their need for social service, mental health and social Work, Vol. 8, No. 0, pp. 199-219, 1999. 

  20. J. I. Yang, Y. M. Lee, S. H. Lee, A. J. Kwon, P. Ki & J. H. Jeong. The effects of a military hospital health promotion program on military personnel's perceived health status, health perceptions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Journal of Military Nursing Research, Vol. 29, No. 1, pp. 5-18, 2011. 

  21. Y. J. Park, W. C. Jeong. A Study on factors in military adjustment of generation soldiers. Social Science Research. Vol. 22, No. 2, pp. 73-93, 2006. 

  22. Deok-Sook Lim. A study on the health concept, health promotion and practices behaviors of some soldiers. Master's Thesis, Kyunghee University, 2004. 

  23. S. Y. Cho. A study of stress, social support, selfefficacy, self-esteem and mental health in Armed Forces Nursing Academy cadets. Journal of Military Nursing Research. Vol. 22, No. 0, pp. 1-22, 2004. 

  24. Se-In Jeong. Levels of health promoting lifestyle and related factors among the Korean military officers and NCOs.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2006. 

  25. Korea Institute of Policy Evaluation, Department of Defense. Research on Department of Defense comprehensive health promotion, 2007. 

  26. B. J.. Ham, H. J.. Cheon, S. M. .Chang, Lee, H. W., Lee, H. J., & E. J. Sim. Investigation of the prevalence of mental illness (including acute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2007. Coll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n Department of Defense, 2008. 

  27. U.S. Department of Defense, 2006 Department of Defense survey of health related behaviors among the guard and reserve force - A component of the Defense lifestyle assessment program(DLAP). Durham, North Carolina: RTI International, 2007. 

  28. Assistant Secretary of Defense for Health Affairs, Health related behaviors survey to be launched in August 300,000 service members to be asked to participate; 1st time on-line. Washington, D.C.: Health Program Analysis & Evaluation Division, 2011. 

  29. U.S. Department of Defense, 2008 Department of Defense Survey of health related behaviors among active duty military personnel - A component of the defense lifestyle assessment program (DLAP). Durham, North Carolina: RTI International, 2009. 

  30. http://www.armystarrs.org/node/2. 

  31. U.S. Department of Defense, Department of Defense 1995 sexual harassment survey. Arlinton, VA: Defense Manpower Data Center, 1996. 

  32. A. C. McFarlane, S. E. Hodson, M. V. Hooff, & C. Davies, Mental health in the Australian defence force: 2010 ADF mental health and wellbeing study full report, Canberra: Department of Defence, 2011. 

  33. Australian Army Psychology Corps, Sexual harassment in the Australian defence Force. Canberra, Australia: Director Publishing and Visual Communications Defence, 1996. 

  34. Canadian National Defence, Results from health and lifestyle information survey of Canadian forces personnel 2008/2009 regular force version. Ottawa: Military Personnel Operational Research Analysis, 2010. 

  35. Statistics Canada, Canadian community health survey's Canadian forces supplement on mental health. Ottawa: Governmental Printing Office, 2003. 

  36. J. S. Kim, I. H. Song. Comparison of national strategies for suicide prevention : national strategies of New Zealand, USA, Ireland, England, Scotland, Australia, and Korea analyzed based on the WHO framework.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 33, No. 1, pp. 513-54, 2013. 

  37. J. Y. Lee. Future directions for health promotion programs in the public sector.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ol. 29, No. 4, pp. 29-38, 2012. 

  38. Y. G. Lee. Reforms of the German public health insurance during the last twenty years and their lessons for the Korean National Health Insurance.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 29, No. 2, pp. 186-212, 2009. 

  39. H. J. Min, W. S. Suh. Impact of shared-decision making on patient satisfaction in military hospitals. The Korea Contents Society. Vol. 11, No. 11, pp. 338-349,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