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활성글루텐이 저항전분을 함유한 식빵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Vital Wheat Gluten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ite Pan Bread Containing Resistant Starch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2 no.1, 2013년, pp.76 - 82  

김유진 (건국대학교 응용생물과학과) ,  이정훈 (건국대학교 응용생물과학과) ,  최미정 (건국대학교 분자생명공학과) ,  최두리 (건국대학교 농축대학원 바이오 식품공학과) ,  이시경 (건국대학교 분자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저항전분이 10% 첨가된 제품을 대조구로 하여 활성글루텐을 2%, 4%, 6% 첨가하여 식빵을 제조하였다. 활성글루텐이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반죽과 제품의 pH, 수분활성도, 비용적, 굽기 손실률, crumb 색도, 조직감, 관능검사 등을 분석하였다. 반죽과 제품의 pH는 대조구에 비하여 활성글루텐 첨가 시 높았다. 수분활성도는 대조구에 비하여 활성글루텐 첨가구에서 다소 낮았으나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비용적은 활성글루텐 첨가량이 많을수록 높아져 부피가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굽기 손실률은 활성글루텐 첨가량이 많을수록 낮아졌다. Crumb 색도의 L, a, b 값 모두 활성글루텐 첨가량이 많을수록 낮아졌으며 유의적 차이가 있었다. 조직감(경도)은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대조구에 비하여 시험구들이 낮은 값이었고, 관능검사에서 4% 첨가구가 가장 높은 점수를 얻었다. 이상의 실험으로 활성글루텐 4% 첨가 시에 저항전분이 10% 첨가된 식빵의 품질을 개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effect of wheat gluten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ite pan bread with 10% resistant starch. White pan bread was fortified with wheat gluten at levels of 2%, 4% and 6% w/w. The pH of dough and white pan bread, specific loaf volume, water activity, baki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체내에서 prebiotics로 작용하는 저항전분을 이용한 빵을 제조하는데 나타나는 적은 부피, 향 부족, 식감 저하 등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밀가루에서 추출한 활성글루텐을 일정량 첨가하여 제품에 미치는 영향으로 pH, 비용적, 수분활성도, 굽기손실, 조직감, crumb 색도, 관능검사 등을 분석하여 저항전분이 첨가된 기능성 빵 제조에 활용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빵 제조에 저항전분을 첨가하면 어떤 단점이 나타나는가? 특히 저항전분은 소장에서 소화되지 않아 글리세믹 인덱스(glycemic index)가 낮으며 이로 인하여 혈당을 낮추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여 당뇨병 환자나 비만 치료 또는 예방에도 도움을 주고 있다. 이러한 기능을 가진 저항전분을 빵 제조에 첨가하여 기능성 빵을 개발하려 하고 있으나 전분을 첨가하면 밀가루의 단백질 함량이 적어져(5) 빵의 부피가 작아지고 식감이 저하되며 향이 약해지는 단점이 있다(6).
저항전분을 네 종류로 분류하면? 저지방, 저칼로리, 고섬유질의 식품을 선호하게 되면서 이에 부응하는 식품개발이 중요한 과제가 되어 기능성 소재로서 저항전분의 임상적, 생리적인 연구와 식품에 활용하려는 노력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저항전분은 도정된 낟알이나 종자와 같이 물리적으로 효소의 접근이 어려운 RS1, 생전분이며 B형의 결정형을 갖는 입자형의 저항전분으로 바나나나 감자 전분 같은 RS2, 전분의 노화에 의해서 형성된 RS3, 그리고 화학적으로 처리된 변성전분 중 소화되지 않는 전분을 RS4 등 네 종류로 분류한다(1). 식이섬유소와 유사한 생리적 특성을 가져 부드럽고 냄새가 온화하며 입자가 작고 수분흡수력이 낮아 가공 식품에 이용 시 품질을 개선할 수 있어(2), 비전분 다당류보다 많이 첨가할 수 있다.
저항전분을 가공식품에 많이 첨가할 수 있는 이유는? 저항전분은 도정된 낟알이나 종자와 같이 물리적으로 효소의 접근이 어려운 RS1, 생전분이며 B형의 결정형을 갖는 입자형의 저항전분으로 바나나나 감자 전분 같은 RS2, 전분의 노화에 의해서 형성된 RS3, 그리고 화학적으로 처리된 변성전분 중 소화되지 않는 전분을 RS4 등 네 종류로 분류한다(1). 식이섬유소와 유사한 생리적 특성을 가져 부드럽고 냄새가 온화하며 입자가 작고 수분흡수력이 낮아 가공 식품에 이용 시 품질을 개선할 수 있어(2), 비전분 다당류보다 많이 첨가할 수 있다. 저항전분은 대장의 건강에 도움을 주는 단쇄지방산의 생성으로 대장암의 억제효과 및 prebiotic fiber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불용성 식이섬유의 변통을 개선하고 변비를 줄이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3,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Englyst HN, Kingman SM, Cummings JH. 1992. Classification and measurement of nutritionally important starch fractions. Eur J Clin Nutr 46: S33-S50. 

  2. Thompson DB. 2000. Strategies for the manufacture of resistant starch. Trends Food Sci Technol 11: 245-253. 

  3. Silvi S, Rumney CJ, Cresci A, Rowl IR. 1999. Resistant starch modifies gut microflora and microbial metabolism in human flora-associated rats inoculated with faeces from Italian and UK donors. J Appl Microbiol 86: 521-530. 

  4. Brown I, Warhurst M, Arcot J, Playne M, Illman RJ, Topping DL. 1997. Fecal numbers of bifidobacteria are higher in pigs fed Bifidobacterium longum with a high amylose cornstarch than with a low amylose corn starch. J Nutr 127: 1822-1827. 

  5. Izydorczyk MS, Hussain A, MacGregor AW. 2001. Effect of barley and barley components on rheological properties of wheat dough. J Cereal Sci 34: 251-260. 

  6. Sajilata MG, Singhal RS, Kulkarni PR. 2006. Resistant Starch-a review. Compr Rev Food Sci Food Saf 5: 1-17. 

  7. Shewry PR, Halford NG, Tatham AS. 1992. High molecular subunits of wheat glutenin. J Cereal Sci 15: 105-120. 

  8. Wang JS, Zhao MM, Yang XQ, Jiang YM. 2006. Improvement of emulsifying properties of wheat gluten hydrolysate/ $\lambda$ -carrageenan conjugates. Food Technol Biotechnol 44: 25-32. 

  9. Zhang H, Claver IP, Li Q, Zhu K, Peng W, Zhou H. 2012. Structural modification of wheat gluten by dry heat-enhanced enzymatic hydrolysis. Food Technol Biotechnol 50:53-58. 

  10. Li W, Tsiami AA, Bollecker SS, Schofield JD. 2004. Glutathione and related thiol compounds II. The importance of protein bound glutathione and related protein-bound compounds in gluten proteins. J Cereal Sci 39: 213-224. 

  11. Lazaridou A, Duta D, Papageorgiou M, Belc N, Biliaderis CG. 2007. Effects of hydrocolloids on dough rheology and bread quality parameters in gluten-free formulations. J Food Eng 79: 1033-1047. 

  12. Ribotta PD, Ausar SF, Morcillo MH, Perez GT, Beltramo DM, Leon AE. 2004. Production of gluten-free bread using soybean flour. J Sci Food Agric 84: 1969-1974. 

  13. AACC. 1990. Approved methods of the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8th ed.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Inc., St. Paul, MN, USA. 10-10b. 

  14. Fujiyama Y. 1981. Method of experiment. Japan International baking school, Tokyo, Japan. p 3-57. 

  15. Kim EJ, Kim SM. 1998. Bread properties utilizing extracts of pine needle according to preparation method.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542-547. 

  16. SAS. 2000. User's guide. SAS Institute, Cary, NC, USA. 

  17. Lee JH, Yun MS, Bok JH, An HG, Uh HS, Lee JJ. 2011. Theory of baking and pastry. Jigumunhwasa Co., Pajusi, Korea. p 141. 

  18. Tanaka Y, Matsumoto H. 1997. The baking science & technology. I. The process of baking science & technology. Kourin Co., Ltd., Tokyo, Japan. p 31-200. 

  19. Galal AM, Johnson JA, Varriano-Marston E. 1978. Lactic and volatile (C2-C5) organic acids of San Francisco sourdough french bread. Cereal Chem 55: 461-468. 

  20. Kim SY. 2004. Rheolog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wheat flour dough, frozen dough and bread prepared with amylase. PhD Dissertation. KonKuk University, Seoul, Korea. 

  21. Puhr DP, D’Appolonia BL. 1992. Effect of baking absorption on bread yield, crumb moisture, and crumb water activity. Cereal Chem 69: 582-586. 

  22. Czuchajowska Z, Pomeranz Y. 1989.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water activity, and moisture contents in crumb center and near-crust zones of bread during storage. Cereal Chem 66: 305-309. 

  23. Czuchajowska Z, Pomeranz Y, Jeffers HC. 1989. Water activity and moisture content of dough and bread. Cereal Chem 66: 128-132. 

  24. Miyazaki M, Maeda T, Morita N. 2004. Effect of various dextrin substitutions for wheat flour on dough properties and bread qualities. Food Res Int 37: 59-65. 

  25. Kim KE, Lee YT. 2009. Combined effects of vital gluten, gum, emulsifier, and enzyme on the properties of rice bread. Food Eng Prog 13: 320-325. 

  26. Uthayakumaran S, Gras PW, Stodd FL, Bakes F. 1999. Effect of varying protein content and glutenin-to-gliadin ratio on the functional properties of wheat dough. Cereal Chem 76: 389-394. 

  27. Wieser H. 2007. Chemistry of gluten proteins. Food Microbiol 24: 115-119. 

  28. Onyango C, Mutungi C, Unbehend G, Lindhauer MG. 2009. Creep-recovery parameters of gluten-free batter and crumb properties of bread prepared from pregelatinised cassava starch, sorghum and selected proteins. Int J Food Sci Technol 44: 2493-2499. 

  29. Lee BG, Byun GI, Cha WS.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ite pan bread by lotus (Nelumbo nucifera) seeds powder. Korean J Food Preserv 16: 68-74. 

  30. Kim SK, Cheigh HS, Kwon TW, D'Appolonia BL, Marston PE. 1978. Rheological and baking studies of composite flour wheat and naked barley. Korean J Food Sci Technol 10:11-15. 

  31. Keetels CJAM, Visser KA, van Vliet T, Jurgens A, Walstra P. 1996. Structure and mechanics of starch bread. J Cereal Sci 24: 15-26. 

  32. Chung JY, Kim CS. 1998. Development of buckwheat bread: 2. Effects of vital wheat gluten and water-soluble gums baking and sensory properties. Korean J Soc Food Sci 14:168-176. 

  33. Esteller MS, Pitombo RNM, Lannes SCS. 2005. Effect of freeze-dried gluten addition on texture of hamburger buns. J Cereal Sci 41: 19-21. 

  34. Chung JY, Kim CS, Kim HI. 1998. Effect of vital gluten and water-soluble gums on the staling of buckwheat bread.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Res Inst Human Eco 2:115-123. 

  35. Primo-Martin C, van de Pijpekamp A, van Vliet T, de Jongh HHJ, Plijter JJ, Hamer RJ. 2006. The role of the gluten network in the crispness of bread crust. J Cereal Sci 43: 342-352. 

  36. Willhoft EMA. 1973. Mechanism and theory of staling of bread and baked goods, and associated changes in textural properties. J Texture Stud 4: 292-322. 

  37. Callejo MJ, Gil MJ, Rodriguez G, Ruiz MV. 1999. Effect of gluten addition and storage time on white pan bread quality: instrumental evaluation. Z Lebensm Unters Forsch A 208:27-3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