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사의 DICS 행동유형과 투약오류
DICS Behavior Pattern and Medication Errors by Nurses 원문보기

간호행정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19 no.1, 2013년, pp.28 - 38  

김은경 (충북대학교 간호학과) ,  이순영 (청주성모병원) ,  엄미란 (국립목포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Human factor is one of the major causes of medication err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nurses' perception and experience of medication errors, examine the relationship of Dominance, Influence, Steadiness, Conscientiousness (DISC) behavior patterns and medication errors by 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DISC 행동유형을 간호사의 업무 중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투약 상황에 적용함으로써 간호사의 행동유형이 투약오류의 인식과 경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여, 행동유형별 효과적인 투약오류 예방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용하는데 전략적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 DISC의 행동유형에 따른 투약오류의 인식과 행동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러한 결과는 간호사 개인의 행동유형의 특성이 투약행위에 영향을 주어, 투약오류 수행에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간호사들의 행동유형을 파악함으로써 정확성과 신중성을 필요로 하는 투약업무에서 간호사들의 투약오류를 낮추기 위해서 효과적인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차별화된 교육을 적용하는데 의미 있는 정보를 제공하였다.
  • 특히, 투약오류의 많은 부분은 의료진의 잘못된 판단이나 수행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임상에서 투약업무의 최종 수행자인 간호사는 주된 원인 제공자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병원간호사들의 투약오류에 대한 인식과 경험 정도를 파악하고, 간호사의 행동유형이 투약오류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간호사의 투약오류 예방을 위한 중재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간호사의 행동유형별 투약오류의 인식도와 경험도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파악하기 위해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간호사의 행동유형을 DISC 도구를 이용해 구분해 보고, 간호사의 행동유형이 연구에서 정의한 18개 투약오류 상황에 대한 인식과 경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고찰해 보았다. 연구 결과에서, 가장 많은 간호사가 투약오류라고 인식하는 상황은 ‘잘못된 투여경로’와 ‘잘못된 용량’이었으며, 간호사가 최근 3개월 이내에 가장 많이 경험한 투약오류는 ‘투약 전 서명’으로 나타났다.
  • 자기의 상황과 주변이 안정 상태를 유지하기 원하기 때문에 안정을 목적으로 행동한다. 즉, 과업수행을 위해 다른 사람과 협력적으로 일하는 것에 주된 목표를 두고, 조화롭고 균형감 있는 환경을 조성하려고 한다. 성실하고 꾸준할 뿐 아니라, 반복적인 일에도 그다지 싫증을 느끼지 않아 장기적인 프로젝트나 동일한 업무에 유능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DISC 행동유형이란 무엇인가? DISC 행동유형은 인간이 직면한 환경에 대한 관점과 환경에 비추어 자신의 개인적 힘을 어떻게 인식하느냐에 따라 자기주장이 강하고 추진력이 뛰어난 주도형(Dominance, D style), 낙관적으로 친근감 있는 사교형(Influence, I style), 일관된 태도로 한결같은 안정형(Steadiness, S style), 치밀하고 논리적이며 사실에 입각한 신중형(Conscientiousness, C style)으로 명명하였다.
투약오류란 무엇인가? 투약오류는 의료기관에서 일어나는 안전사고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위해 사건(adverse event)으로 환자의 생명을 위협할 뿐 아니라 막대한 추가 비용을 초래하기 때문에 의료기관에서 특히 관심을 가지는 부분이다(Kim et al., 2006; Paradis, Stewart, Bayley, Brown, & Bennett, 2009).
DISC 행동유형의 무엇을 통해 업무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가? 기업의 경영현장에서는 DISC 행동유형을 통해 업무의 우선순위와 선호에 대한 정보를 알게 됨으로써 업무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상황에 어떻게 적응해야 하는지 알 수 있게 하는 좋은 도구로 활용하고 있다(GLS worldwide, 2011). 또한 자신과 다른 우선순위와 선호를 가진 동료를 이해하고, 이들과 협조적으로 지낼 수 있는지 방법을 배울 수 있어, 동료와 효과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업무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한다(Bradley,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rmitage, G., & Knapman, H. (2003). Adverse events in drug administration: A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11, 130-140. http://dx.doi.org/10.1046/j.1365-2834.2003.00359.x 

  2. Bang, K. H., Jang, H. K., & Jung, Y. M. (2010). Relation between the DISC behavior, coping type and level of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hospital employees. Journal of Korea Society of Hospital Administration, 15(3), 17-32. 

  3. Barker, K. N., Flynn, E. A., Pepper, G. A., Bates, D. W., & Mikael, R. L. (2002). Medication errors observed in 36 health care facilities. Archives Internal Medicine, 162, 1897-1903. doi:10-1001/pubs 

  4. Bradley, A. (2011). Everything DISC Workplace profile: Assessment to Action. Retrieved September 26, 2012, from http://www. resourcesunlimited.com/everythingdisc/disc-everything-disc -workplace-profile.pdf 

  5. Etchells, E., Juurlink, D., & Levinson, W. (2008). Medication errors: The human factor. Canadian Medical Association Journal, 178(1), 63-64. http://dx.doi.org/10.1503/cmaj.071658 

  6. Faul, F., Erdfelder, E., Buchner, A., & Lang, A. G. (2009). Statistical power analyses using G*Power 3.1: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Behavior Research Methods, 41, 1149-1160. http://dx.doi.org/10.3758/BRM.41.4.1149 

  7. GLS Worldwide. (2011, March 17). Behavioral style insight report for Jane sample. Retrieved September 26, 2012, from http://www.glsworld.com/pdf/assessment-sample-reports/develop ment-behavioral-style-insight.pdf 

  8. Hollnagel, E. (1993). Human reliability analysis: Context and control. London: Academic Press. 

  9. Inscape Publishing. (2009). Everything DISC Workplace profile. Retrieved September 26, 2012, from http://www.resourcesunlimited.com/everythingDISC/DISC-everything-DISCworkplace- profile.pdf 

  10. Jo, K. J., Lee, S. H., & Moon, N. S. (2004). Development of a unit-based program for clinical medication errors: LIFO. Journal of Korean Hospital Association, 9(10), 86-95. 

  11. Kang, J. H. (2007). Study on the DISC pattern of constituent and the influence of revolutionary leadership that affects to job stres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Korea. 

  12. Khan, F. A., & Hoda, M. Q. (2005). Drug related critical incidents. Anaesthesia, 60, 48-52. 

  13. Kim, E. K., Hwang, J. H., Kim, C. Y., & Oh, B. H. (1998). A study on nurse's perception and experience of medication error. The Seoul Journal of Nursing, 12(1), 133-150. 

  14. Kim, E. K., Jang, H. S., Kim, M. S., Hwang, J. I., Choi, Y. K., & Kim, C. K. (2006). Management of adverse event and medication safety for improvement of patient safety. Seoul: Quality Improvement Nurse Society. 

  15. Kim, J. S. (2012).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C behavior type and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wandong University, Gangneung, Korea. 

  16. Korea Educational Consulting Institute. (2002). DISC instructor process manual. Seoul: Author. 

  17. Korea Educational Consulting Institute. (2004). PPS (personal profile system). Seoul: Author. 

  18. Kwak, Y. J. (2012). The effects of supervisor-subordinate DISC behavioral tendencies on subordinates'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University, Seoul, Korea. 

  19. Lee, J. A., & Yoo, I. Y. (2011). Teacher-efficacy and job stress according to DISC behavioral types in health teacher. Journal of Korean Society Living Environment System, 18(4), 392-400. 

  20. Lee, H. B. (2011). Understand DISK behavior style of doctor and patient. Retrieved September 26, 2012, from http://www.doctors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148832 

  21. Lee, K. J., Han, H. H., & Choi, Y. J. (2011). A study on development program of knowledge information system about aviation human factor. Seoul: Korea Transportation Safety Authority. 

  22. Lee, S. Y. (2008). A study on medication error among nurses and prevention strategy. Unpublished master's thesis, Eulji University, Daejeon, Korea. 

  23. Lim, W. S. (2009). A study on health promotion behaviors and health conditions related to DISC behavior characteristic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Korea. 

  24. Marston, W. M. (1979). Emotion of normal people. Minneapolis: Persona Press. 

  25. Nagel, D. C. (1988). Human error in aviation operations. In E. L. Wiener & D. C. Nagel (Eds.), Human factors in aviation (pp. 263-304). San Diego, CA: Academic Press. 

  26. National Coordinating Council for Medication Error Reporting and Prevention. (1995, October 16). Council defines terms and sets goals for medication error reporting and prevention. Retrieved January 22, 2008, from http://www.nccmerp.org/press/press 1995-10-16.html 

  27. Oh, C., & Yoon, H. (2007). Perception and experience of medication errors in nurses with less than one year job experien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 Nursing, 14, 6-17. 

  28. Paradis, A. R., Stewart, V. T., Bayley, K. B., Brown, A., & Bennett, A. J. (2009). Excess cost and length of stay associated with voluntary patient safety event reports in hospitals. American Journal of Medical Quality, 24(1), 53-60.http://dx.doi.org/10.1177/1062860608327610 

  29. Roh, E. K. (2011). Influence of job stress, DISC behavioral type and organizational social capital on job satisfaction among some nurs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osun University, Gwangju, Korea. 

  30. Tam, V. C., Knowles, S. R., Cornish, P. L., Fine, N., Marchesano, R., & Etchells, E. E. (2005). Frequency, type and clinical importance of medication history errors at admission to hospital: A systematic review. Canadian Medical Association Journal, 173, 510-515. http://dx.doi.org/10.1503/cmaj.0453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