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관리학 실습에서의 근거기반간호 교육 적용: 결과평가와 확산 전략
Implementation of Evidence Based Nursing Education into Nursing Management Clinical Practicum: Outcome Evaluation and Diffusion Strategies 원문보기

간호행정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19 no.1, 2013년, pp.39 - 47  

박명화 (충남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practice study was done to describe the process and outcomes of application of Evidence Based Nursing (EBN) Education to nursing management clinical practicum and suggest strategies to diffuse EBN into nursing management education. Methods: Education on the evidence based nursing mana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근거기반간호 과정의 첫 단계인 임상질문을 만드는 방법에 학생들이 익숙해지도록 훈련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PICO를 학습하는 단계에서는 학생들에게 사례를 제시하고, 질문을 만들도록 하였다. 또한 학생들이 실습시 자신이 PICO 형태로 만든 질문을 집단에서 공유하도록 하는 방법을 통해 모든 학생들이 PICO를 학습하는데 수동적이 아니라 적극적으로 임하고, 동료학생들은 서로 즉각적인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 간호관리는 다양한 임상상황에서 문제를 찾아내고,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해결하는 의사결정과정을 중요시 하는 분야이며 신속하고 정확한 문제해결을 위해 최상의 근거를 바탕으로 한 비판적 사고와 합리적 의사결정 능력이 요구되는 영역이다(Jang, Kim, Ryu, Kim, & Chung, 2007). 따라서 근거기반간호의 단계를 적용한 간호관리 실습교육의 실행과정에 대한 기술과 더불어 이러한 교육이 간호학생의 근거기반간호 역량 강화와 근거기반 정보원 접근 및 활용능력에 미치는 결과를 평가하고 실행과정에 서의 장애요인과 촉진요인 및 교육방법 확산을 위한 전략을 실무 논문(practice report)의 형태로 기술함으로써 간호관리 교육에 있어 근거기반간호 교육의 방법론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기여하고자 하였다. 기존의 효과검증 위주의 연구 논문(research paper) 기술방식이 아닌 새로운 방법을 도입하는 과정과 결과 평가 그리고 변화와 혁신의 확산을 위한 전략을 위주로 기술하는 실무 적용 논문(practice report)방식으로 기술함으로써(Morrow-Howell & Noelker, 2006), 새로이 시도되는 방법에 대한 연구결과의 실제 현장에서의 적용과 확산을 촉진하는 지식 전환(knowledge translation)의 일환으로 시도되었다.
  • 본 연구에서도 학생들의 임상현장에서의 지도자들에 대한 접근성과 활용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근거기반간호를 교육하기 위해 교수자의 강의 및 실습지도와 더불어 실습현장의 협력을 통해 학생들이 근거기반간호 과정을 실습에 적용할 수 있도록 연계하였다. 또한 해당 임상실습현장의 간호사나 수간호사에게 핵심질문에 대해 현장에서는 어떻게 해결하고 있으며 왜 그렇게 하는 지 질문하도록 함으로써 임상과 근거와의 격차를 확인하고 이에 대한 해결책을 실무간호사와 함께 생각해 보도록 하였다.
  • 본 연구는 근거기반간호의 단계를 적용한 간호관리 실습교육의 적용과정과 결과평가 및 확산 전략을 기술한 실무논문으로서 다양한 간호교육현장에서 근거기반간호 교육방법론의 개발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근거기반실무 단계를 강의실 교육과 임상실습을 접목하여 교육하는 것이 학생들이 임상 문제를 확인하고 과학적 근거를 검색하고 해당 근거를 비평적으로 분석하여 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 논문(research paper) 기술방식이 아닌 실무 적용 논문(practice report)으로서 새로운 방법의 실행과 확산 전략의 기술에 초점을 두는 방식으로 지식을 전달하고자 하였다. 앞으로 중재의 효과 검증을 중점으로 하는 연구논문 외에 실무 적용과 확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다양한 형태의 논문 기술방법에 대한 시도도 근거기반간호의 확산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 기존의 간호연구수업은 학부과정에서 간호연구를 수행하는 생산자로서의 역할을 위주로 교육을 하는 반면 근거기반간호를 위해서는 연구결과를 실무에 적용하는 능력을 가진 연구소비자로서의 역할을 배울 수 있도록 연구수업이 재설계되어야 함이 여러 문헌을 통해 지지되고 있다(Jones, Crookes, & Johnson, 2011; Thompson, 2006). 본 연구에서는 2회에 걸쳐 이루어진 강의에서 논문을 읽고 중요 부분을 이해하는 방법 등을 교육하였다. 일부 학생들이 영어논문을 읽는 것에 거부감을 느끼는 경우가 있어 논문 전체의 숙독보다는 결과와 결론을 신속하게 습득하는 방법에 대해 교육하였다.
  • 교육자들은 교육현장에 이러한 정보원을 활용할 수 있는 정보기술 인프라가 구축 되어 있는 지 확인하여야 하며, 교육자 스스로 전자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지식과 정보검색 기술을 갖추고 이에 대해 학생들에게 교육할 필요가 있으며 도서관 사서등과 같은 문헌정보검색전문가의 도움을 받을 수도 있다(Boruff & Thomas, 2011). 본 연구에서는 실습에 앞서 접근할 수 있는 다양한 정보원에 대한 소개와 더불어 각 정보원이 제공하는 근거자료로서의 신뢰성과 타당성에 대한 설명 및 국내외 전자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여 이를 검색할 수 있는 검색 전략 및 방법에 대해 교육하였다. 특히 교육 후 PubMed, CINAHL, RISS와 같은 일차문헌과 근거를 요약 및 가공한 체계적 고찰이나 임상실무지침과 같은 이차문헌 데이터베이스인 Cochrane Library와 National Guideline Clearinghouse 을 검색할 수 있는 국내외 전자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접근성과 활용성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보원에의 접근성과 활용성의 실습교육 전후의 변화는 어떠한가? 정보원에의 접근성과 활용성의 실습교육 전후의 변화는 다음과 같다(Figure 2, 3). 먼저 접근성을 살펴보면 임상실무지침에 대한 접근성이 2.80점에서 4.40점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교과서에 대한 접근성은 사전과 사후 모두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한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동료학생을 정보원으로 접근하는 것은 4.58점에서 3.54점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여 근거의 신뢰성이 낮은 정보원에 대한 접근성이 낮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프리셉터의 경우 3.10점에서 4.10점으로 접근성이 유의하게 높아졌다. 전자문서자원에서 미디어나 인터넷 웹사이트의 접근성은 낮아지거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국외 저널과 국내 저널에 대한 접근성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활용성에서도 임상실무지침서, 프리셉터, 국외 전자저널, 국내전자 저널의 활용성이 유의하게 높아지고 동료학생을 정보원으로 사용하는 것은 유의하게 낮아졌다.
간호관리는 무엇인가? 간호관리는 다양한 임상상황에서 문제를 찾아내고,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해결하는 의사결정과정을 중요시 하는 분야이며 신속하고 정확한 문제해결을 위해 최상의 근거를 바탕으로 한 비판적 사고와 합리적 의사결정 능력이 요구되는 영역이다(Jang, Kim, Ryu, Kim, & Chung, 2007). 따라서 근거기반간호의 단계를 적용한 간호관리 실습교육의 실행과정에 대한 기술과 더불어 이러한 교육이 간호학생의 근거기반간호 역량 강화와 근거기반 정보원 접근 및 활용능력에 미치는 결과를 평가하고 실행과정에 서의 장애요인과 촉진요인 및 교육방법 확산을 위한 전략을 실무 논문(practice report)의 형태로 기술함으로써 간호관리 교육에 있어 근거기반간호 교육의 방법론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기여하고자 하였다.
근거기반실무란 무엇인가?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여 과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한 합리적 의사결정을 촉진시키는 근거기반실무(Evidence Based Practice, 이하 EBP)에 대해 임상현장 뿐 아니라 교육현장에서도 그 요구도가 높아지고 있다(Zhang, Zeng, Chen, & Li, 2012). 근거기반실무는 보건의료환경에서의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상의 과학적 근거와 실무자의 전문성, 자원의 활용가능성, 환자의 가치 및 선호도를 함께 고려하는 문제해결방법이다(Sigma Theta Tau International, 2005). 우리나라에서도 과학적 근거를 기반으로 한 보건의료기 술의 평가 및 근거중심 임상지침의 도입과 개발을 국가차원에서 지원하고 의료 질 평가 및 환자 안전 증진을 위한 중요한 전략으로 근거기반실무를 활용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National Evidence-based Healthcare Collaborating Agency, 2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merican Association of Colleges of Nursing. (2006). The essentials of doctoral education for advanced nursing practice. Retrieved November 1, 2012, from http://www.aacn.nche.edu/publications/ position/DNPEssentials.pdf 

  2. Aronson, B. S., Rebeschi, L. M., & Killion, S. W. (2007). Enhancing evidence bases for interventions in a baccalaureate program. Nursing Education Perspectives, 28, 257-262. 

  3.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2007). Advancing educators and education: Defining the components and evidence of educational scholarship. Retrieved November 3, 2012, from https://members.aamc.org/eweb/upload/Advancing%20Educators %20and%20Education.pdf 

  4. Boruff, J. T., & Thomas, A. (2011). Integrating evidence-based practice and information literacy skills in teaching physical and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Health Information and Libraries Journal, 28, 264-272. http://dx.doi.org/10.1111/j.1471-1842.2011.00953.x 

  5.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 Hillsdale, NJ: Erlbaum. 

  6. Cronenwett, L., Sherwood, G., Barnsteiner, J., Disch, J., Johnson, J., Mitchell, P., et al. (2007). Quality and safety education for nurses. Nursing Outlook, 55, 122-131. http://dx.doi.org/10.1016/j.outlook.2007.02.006 

  7. Dawley, K., Bloch, J. R., Suplee, P. D., McKeever, A., & Scherzer, G. (2011). Using a pedagogical approach to integrate evidence-based teaching in an undergraduate women's health course. Worldviews on Evidence-Based Nursing, 8, 116-123. http://dx.doi.org/10.1111/j.1741-6787.2010.00210.x 

  8. De Cordova, P. B., Collins, S., Peppard, L., Currie, L. M., Hughes, R., Walsh, M., et al. (2008). Implementing evidence-based nursing with student nurses and clinicians: Uniting the strengths. Applied Nursing Research, 21, 242-245. 

  9. Fetter, M. S. (2009). Curriculum strategies to improve baccalaureate nursing information technology outcomes.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48(2), 78-85. http://dx.doi.org/ 10.3928/01484834-20090201-06 

  10. Fineout-Overholt, E., & Johnston, L. (2005). Teaching EBP: Asking searchable, answerable clinical questions. Worldviews on Evidence Based Nursing, 2, 157-160. http://dx.doi.org/10.1111/j.1741-6787.2005.00032.x 

  11. Greiner, A.C., & Knebel, E. (Eds). (2003).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A bridge to quality.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es Press. 

  12. Jang, K. S., Kim, N. Y., Ryu, S. A., Kim, Y. M., & Chung, K. H. (2007). Effects of collaborative learning on problem-solving processes according to the level of metacognition in clinical practice of nursing managem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3, 191-198. 

  13. Jones, S. C., Crookes P. A., & Johnson, K. M. (2011). Teaching critical appraisal skills for nursing research. Nurse Education in Practice, 11, 327-332. http://dx.doi.org/10.1016/j.nepr.2011.03.002 

  14. McDaniel, J., Drew, T., Gueldenzopf, S., Yang, M. Z., Davids, K., & Moch, S. D. (2002). Trying to promote EBP in your school of nursing? Don't overlook non-nursing students! Reflections on Nursing leadership, 28, 8-9. 

  15. Melnyk, B. M., & Fineout-Overholt, E. (2011). Evidence-based practice in nursing and healthcare: A guide to best practice.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and Wilkins. 

  16. Moch. S. D., & Cronje, R. J. (2007). New knowledge discussion groups: Counteracting the common barriers to evidence-based practice. Worldviews on Evidence-Based Nursing, 4, 112-115. http://dx.doi.org/10.1111/j.1741-6787.2007.00091.x 

  17. Moch. S. D., Cronje, R. J., & Branson, J. (2010). Part 1. Undergraduate nursing evidence-based practice education: envisioning the role of students. Journal of Professional Nursing, 26(1), 5-13. http://dx.doi.org/10.1016/j.profnurs.2009.01.015 

  18. Morrow-Howell, N., & Noelker, L. S. (2006). Raising the bar to enhance the research-practice link. The Gerontologist, 46(3), 315-316. 

  19. National Evidence-based Healthcare Collaborating Agency. (2012). Vision and mission. Retrieved November 8, 2012, from http://www.neca.re.kr/intro/vision.jsp 

  20. Navedo, D. D. (2006). A descriptive study of nursing judgment in senior nursing students: And the relationship with reflective judgmen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Boston College, Boston. 

  21. Newhouse, R. P. (2007). Collaborative synergy: Practice and academic partnerships in evidence-based practice.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37, 105-108. 

  22. Oh, E. G., Kim, S. K., Kim, S. S., Kim, S., Cho, E. Y., Yoo, J. S., et al. (2010). Integrating evidence-based practice into RN-to-BSN clinical nursing education.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49(7), 387-392. 

  23. Park, M. (2011). Effects of evidence based practice integrated critical care clinical practicum.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7(3), 348-356. 

  24. Sabus, C. (2008). The effects of modeling evidence based practice during the clinical internship. Journal of Physical Therapy Education, 22(3), 74-84. 

  25. Sigma Theta Tau International. (2005). Evidence Based Nursing position statement. Retrieved February 15, 2011, from http://www.nuringsociety.org/aboutus/PositionPapers/EBN 

  26. Stevens, K. R. (2009). Essential Competencies for Evidence-Based Practice in Nursing. San Antonio: University of Texas Health Science Center Academic Center for Evidence-Based Practice. 

  27. Thompson, C. J. (2006). Fostering skills for evidence-based practice: The student journal club. Nurse Education in Practice, 6, 69-77. 

  28. Thompson, C., MaCaughan, D., Cullum, N., Sheldon, T. A., Mulhall, A., & Thompson, D. R. (2004). Nurses' use of research information in clinical decision making: A descriptive and analytical study. National Health Service, UK. 

  29. Trangenstein, P., & Weiner, E. (2006). Meeting the informatics needs of today's nursing students. Studies in Health Technology and Informatics, 122, 205-210. 

  30. Williamson, K. M. Fineout-Overholt, E., Kent, B., Hutchinson, A. M. (2010). Teaching EBP: Integrating technology into academic curricula to facilitate evidence-based decision-making. Worldviews on Evidence-Based Nursing, 8, 247-251. http://dx.doi.org/ 10.1111/j.1741-6787.2010.00192.x 

  31. Zhang, Q., Zeng, T., Chen, Y., & Li, X. (2012). Assisting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to learn evidence-based practice through self-directed learning and workshop strategies during clinical practicum. Nurse Education Today, 32, 570-575. http://dx.doi.org/10.1016/j.nedt.2011.05.01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