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친환경 육묘시 세 가지 박과채소의 흰가루병에 대한 친환경 제제의 방제효과
Evaluation of Environment-friendly Control Agents for the Management of Powdery Mildew Infection during Seedling Stage of Three Cucurbitaceae Vegetables 원문보기

시설원예ㆍ식물공장 = Protected horticulture and plant factory, v.22 no.4, 2013년, pp.413 - 420  

여경환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시설원예시험장) ,  장윤아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채소과) ,  김수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채소과) ,  엄영철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채소과) ,  이상규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채소과) ,  이한철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시설원예시험장)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실험은 박과류(오이, 참외, 멜론)를 공시작물로 하여 친환경 육묘시 친환경 제제와 시용조건에 따른 흰가루병의 방제효과를 구명하고 기존 등록된 농약과 대조하여 그 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친환경제제는 유효미생물로서 Ampelomyces quisqualis 94013(AQ94013)과 Bacillus subtilis Y1336(BS Y1336), 식물추출물로서 님오일(Neem oil)과 대황(Rheum undulatum)추출물, 미네랄 제제는 황수화제와 석회보르도액(Lime Bordeaux mixture)을 단용 또는 혼용처리하여 병 발생시기(발생전, 초기, 중기)에 따라 처리하였다. 모든 처리구에서 시설내 일 평균온도 $30^{\circ}C$ 이상, 하루 중 최고기온이 $40^{\circ}C$ 이상의 조건이 일주일 이상 지속되는 기간 동안 유묘의 흰가루병의 발병도는 감소하였고, 대조구인 무처리구에서의 발병도도 크게 감소되어 10% 미만으로 나타났다. 발생 전처리시 방제효과는 모든 작물에서 황수화제가 가장 높았고, BS Y1336는 방제가가 20~40%로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오이의 경우 발생전 처리시 님오일과 황수화제 처리는 살균제보다 높은 방제효과를 보였으며, 멜론에서는 농약과 비슷한 방제가를 보였다. 대황추출물은 전 생육기간 동안 미생물제제보다 높은 방제가를 나타내었고, 오이와 멜론작물에서 발생초기 처리시 효과가 우수하였다. 물살포구는 무처리구와 비슷한 발병도를 보여 방제효과가 없었고, 참외와 멜론에서 물살포 처리는 무처리보다 더 높은 발병도를 보였다. 병발생후 친환경제제 처리시 방제효과는 처리하는 시기가 늦어질수록 감소하였다. 친환경제제의 혼용처리에 의한 방제효과를 조사하였을 때, 대황추출물(1주차) + 황수화제(2주차) + 님오일(3주차)의 조합으로 한 가지의 친환경제제를 주당 1회씩 총 3주 동안 혼용처리 했을 때, 전 육묘기간 동안 오이에서는 90% 이상, 모든 작물에서 평균 80% 이상의 방제가를 나타내어 다른 조합의 처리에 비해 높은 방제효과를 보였다. 본 실험결과를 통해 박과채소의 친환경 육묘시 흰가루병에 대한 친환경제제의 방제효과는 단용처리 했을 때, 병발생 전후 처리에 상관없이 모든 작물에서 황수화제 처리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혼용처리시에는 대황추출물(1주차) + 황수화제(2주차) + 님오일(3주차)의 조합이 가장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ontrol efficacy of major environment-friendly control agents against powdery mildew, as affected by the application condition such as disease-developing stage and microclimate, as compared with the efficacy of pesticides in plug seedling of three Cucurb...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현재 흰가루병 방제를 위한 친환경 제제로 목록 고시된 종류로는 흰가루병균에 기생하는 유용 곰팡이 중복기생균류와 대황, 님, 해조류등 천연식물에서 추출한 식물추출물류, 보르도, 유황, 규산염 등의 미네랄 제제류 등이 있으며 최근 이들을 이용한 친환경적 방제에 관한 연구가 발표된 바 있다 (Jeong 등, 2012; Nam 등, 2003; Nam 등, 2010). 따라서 본 연구는 박과채소 3종에 대하여 친환경 육묘시 흰가루병의 친환경 방제를 위한 친환경 제제의 사용법에 따른 방제효과를 구명하고 기존 등록된 농약과 그 효과를 비교 평가함으로써 친환경 공정육묘시 병해 방제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 본 실험은 박과류(오이, 참외, 멜론)를 공시작물로 하여 친환경 육묘시 친환경 제제와 시용조건에 따른 흰가루병의 방제효과를 구명하고 기존 등록된 농약과 대조하여그 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친환경제제는 유효 미생물로서 Ampelomyces quisqualis 94013(AQ94013)과 Bacillus subtilis Y1336(BS Y1336), 식물추출물로서 님 오일(Neem oil)과 대황(Rheum undulatum)추출물, 미네랄 제제는 황수화제와 석회보르도액(Lime Bordeaux mixture) 을 단용 또는 혼용처리하여 병 발생시기(발생전, 초기, 중기)에 따라 처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시작물은 어디서 보관했는가? 공시작물로서는 오이(조은백다다기, 흥농), 멜론(홈런스타, 신젠타종묘), 및 참외(오복꿀참외, 농우바이오)를 사용하였고, 상토는 시판중인 유기상토인 서울유기상토(서울바이오)와 웰빙상토(참그로)를 이용하였다. 각각의 실험작물들은 2012년 5월 7일부터 9월 19일까지 국립원예특작과학원(수원) 육묘용 온실에서 오이와 참외는 40공, 멜론은 32공 플러그 트레이에 2012년 5월7일, 5월24일, 6월12일, 7월13일, 8월17일, 및 9월19일 총6회 파종하였다. 파종 후 3주간 추가 양분의 공급 없이 물만 공급하다가 이후 생육기동안은 구아노 분말(엔구아노, 누보, NP2O5-K2O(%) = 17-13-3)을 0.
각각의 실험작물들은 언제 파종하였는가? 공시작물로서는 오이(조은백다다기, 흥농), 멜론(홈런스타, 신젠타종묘), 및 참외(오복꿀참외, 농우바이오)를 사용하였고, 상토는 시판중인 유기상토인 서울유기상토(서울바이오)와 웰빙상토(참그로)를 이용하였다. 각각의 실험작물들은 2012년 5월 7일부터 9월 19일까지 국립원예특작과학원(수원) 육묘용 온실에서 오이와 참외는 40공, 멜론은 32공 플러그 트레이에 2012년 5월7일, 5월24일, 6월12일, 7월13일, 8월17일, 및 9월19일 총6회 파종하였다. 파종 후 3주간 추가 양분의 공급 없이 물만 공급하다가 이후 생육기동안은 구아노 분말(엔구아노, 누보, NP2O5-K2O(%) = 17-13-3)을 0.
공시작물은 무엇을 사용했는가? 공시작물로서는 오이(조은백다다기, 흥농), 멜론(홈런스타, 신젠타종묘), 및 참외(오복꿀참외, 농우바이오)를 사용하였고, 상토는 시판중인 유기상토인 서울유기상토(서울바이오)와 웰빙상토(참그로)를 이용하였다. 각각의 실험작물들은 2012년 5월 7일부터 9월 19일까지 국립원예특작과학원(수원) 육묘용 온실에서 오이와 참외는 40공, 멜론은 32공 플러그 트레이에 2012년 5월7일, 5월24일, 6월12일, 7월13일, 8월17일, 및 9월19일 총6회 파종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Elad, Y., Y. Messika, M. Brand, D.R. David, and A. Sztejnberg. 2007. Effect of microclimate on Leveillula taurica powdery mildew of sweet pepper. The American Phytopathological Society 97(7):813-824. 

  2. Endo, T. 1989. Studies on the life-cycle of cucurbit powdery mildew fungus Sphaerotheca fuliginea (schlecht) Poll. Spec. Bull. Fukushima Pref. Agr. Exp. Stn. 5:1-106. 

  3. Jeong, K.J., Y.S. Chon, S.H. Ha, H.K. Kang, and J.G. Yun. 2012. Silicon application on standard chrysanthemum alleviates damatges induced by disease and aphid insect. Kor. J. Hort. Sci. Technol. 30(1):21-26 (in Korean). 

  4. Keinath, A.P. and V.B. DuBose. 2004. Evaluation of fungicides for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powdery mildew on watermelon. Crop Prot. 23:35-42. 

  5. Kim, D.H., J.H. Park, J.S. Lee, K.S. Han, Y.K. Han, and J.H. Hwang. 2009. Effect of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on germination and development of powdery mildew (Leveillula taurica) on pepper and its inoculation method. Res. Plant Dis. 15(3):187-192 (in Korean). 

  6. Koji, A. 1986. Host range and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the powdery mildew. Japan Societies Press, Tokyo, Japan. 

  7. Lee, S.Y., J.D. Ryu, and .G. Kim. 2005.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parasitism to cucumber powdery mildew fungus, Sphaerotheca fusca by Ampelomyces quisqualis 94013 and its host range. Res. Plant Dis. 11(2):167-172 (in Korean). 

  8. Lee, O.H., H.S. Hwang, J.Y. Kim, J.H. Han, Y.S. Yoo, and B.S. Kim. 2001. A search for sources for sources of resistance to powdery mildew (Leveillula taurica (Lev.) Arn) in pepper (Capsicum spp.). Kor. J. Hort. Sci. Technol. 19:7-11 (in Korean). 

  9. Nam, M.H., S.K. Jung, S.W. Ra, and H.G. Kim. 2003. Control efficacy of sodium bicarbonate alone and in mixture with polyoxyethylene sorbitanmonolaurate on powdery mildew of strawberry. Kor. J. Hort. Sci. 21(2):98-101 (in Korean). 

  10. Nam, M., J. Choi, H.J. Kim, J. Lee, K. Lim, Y.G. Kim, H.T. Kim, and Y.C. Jeun. 2010. Controlling activity of Bacillus subtilis KB-401 against cucumber powdery mildew caused by Sphaerotheca fusca. Kor. J. Pesticide Sci. 14(1):49-53 (in Korean). 

  11. Remigio, A.G.P., R.M. Davis, and J.J. Marois. 2003. Effects of relative humidity and high temperature on spore germination and development of tomato powdery mildew (Leveillula taurica). Crop Protection 22(10):1157-1168. 

  12. Shin, H.D. 2000. Erysiphaceae of Korea.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Suwon, Korea. p. 227-235. 

  13. Sundheim, L. and J. Amunden. 1982. Fungicide tolerance in the hyperparasite Ampelomyces quisqualis and integrated control of cucumber powdery mildew. Acta Agri. Scand. 32:349-355. 

  14. Sztejnberg, A. and S. Mazar. 1985. Biocontrol of cucumber and carrot powdery mildew by Ampelomyces quisqualis. Phytopathology 75:1301-1302. 

  15. Zitter, T.A., D. Hopkins, and C.E. Thomas. 1996. Compendium of Cucurbit Diseases. APS Press, ST. Paul, MN, USA. p. 8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