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본 연구는 2001년부터 2013년까지 국내 기록정보서비스 연구에 관한 동향 분석을 수행한 결과이다. 총 73편의 기록정보서비스 논문을 대상으로 정량분석을 통해 기록정보서비스의 연구 동향을 다각도로 파악하였으며, 뒤이어 각 세부 주제별로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이제까지의 기록정보서비스 연구 성과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부족한 연구 주제들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현장연구의 확대, 이론적 논의의 활성화, 그리고 법 제도 정책 연구의 다각화 등 세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the trends of research on archival information services in Korea from 2001 to 2013. A total of 73 research articles were analyzed by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to summarize research output done so far and identify future research areas. Based on the analysis, i...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록정보서비스의 연구 동향을 분석한 결과는 어떠한가? 연구 대상 논문들은 학회지별 논문 발표 현황, 연구자 유형, 연구방법, 연구대상 기관별 유형, 주제별 분석 등으로 세분화하여 기록정보서비스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기록정보서비스 연구는 한국기록관리학회지와 기록학연구 등 기록 관련 전문학회지에 집중되어 발표되는 경향이 있었고, 연구 영역별로는 ‘서비스 개발 및 개선’과 ‘법·제도·정책’ 영역이 각각 35편과 22편으로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진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2006년 이후 연구 논문 수의 증가와 함께 연구 주제와 방법론의 종류도 점차 다양해지는 경향이 나타났다. 즉 부가가치서비스, 검색·열람서비스, 활용촉진서비스 등으로 서비스 관련주제가 확대되었을 뿐만 아니라 논문 편수 역시 63편으로 급증했다는 점은 이전에 비해 연구의 양적, 질적 변화가 뚜렷이 있었음을 반증한다. 그러나 기록정보서비스 연구 성과가 꾸준히 축적됨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새로운 기술의 소개나 사례분석에 그친 연구가 다수 존재하고 아직 까지 기록학적 이론과 원칙에 근거한 깊이 있는 논의나 현장업무에 근거한 실질적 연구가 미비하다는 점은 문제로 지적된다.
기록정보서비스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기록관의 업무와 기록관리 연구는 주로 관리․보존에 초점을 맞추어 왔으나 국민의 알 권리에 대한 인식에 높아지고 정보통신의 발달로 인해 디지털 매체에 대한 접근이 용이해지면서 점차 기록정보서비스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넓은 의미에서 기록정보서비스란 이용자의 요구에 맞게 이용자와 기록을 연결시키는 행위를 의미하며(Pugh 2005),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용자가 찾고자 하는 기록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와 시설 그리고 잠재적 이용자에게 기록관 및 소장기록물을 알리는 활동 전반을 포함한다(한국기록관리학회 2013, 233).
기록정보서비스란 무엇인가? 기록관의 업무와 기록관리 연구는 주로 관리․보존에 초점을 맞추어 왔으나 국민의 알 권리에 대한 인식에 높아지고 정보통신의 발달로 인해 디지털 매체에 대한 접근이 용이해지면서 점차 기록정보서비스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넓은 의미에서 기록정보서비스란 이용자의 요구에 맞게 이용자와 기록을 연결시키는 행위를 의미하며(Pugh 2005),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용자가 찾고자 하는 기록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와 시설 그리고 잠재적 이용자에게 기록관 및 소장기록물을 알리는 활동 전반을 포함한다(한국기록관리학회 2013, 233). 최근 기록관들은 다양한 기록정보서비스를 시도하고 있으며, 기록 이용의 활성화를 위해 적극적인 서비스 전략을 제시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6)

  1. 강혜경, 김용. 2012. 모바일 환경에서의 SNS를 활용한 기록정보서비스 설계 및 구현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2(1), 33-58. (Kang, Hye-Jyung, & Kim, Yong. 2012. "A Study on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rchival Information Services based on Social Network Service in Mobile Environm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2(1), 33-58.) 

  2. 강혜경, 박재홍, 김용. 2010. RSS 기반 기록정보서비스 설계 및 구현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0(2), 7-29. (Kang, Hye-Jyung, Park, Jae-Hong, & Kim, Yong. 2010. "A Study on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RSS-Based Archival Information Servic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0(2), 7-29.) 

  3. 경건. 2002. 정보공개의 새로운 지향: 전자정보공개제도(電子情報公開制度). 기록학연구, 5, 111-148. (Kyung, Geon. 2002. "New Direction of Information Disclosure: Freedom of Information Program."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5, 111-148.) 

  4. 김규환, 장보성, 이현정. 2009. 우리나라 기록관리학 분야의 연구영역 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3(3), 417-439. (Kim, Gyu-Hwan, Jang, Bo-Seong, & Yi, Hyun-Jung. 2009. "A Study on Intellectual Structure of Records Management and Archives in Korea: Based on Syntactic and Semantic Structure of Article Titl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43(3), 417-439.) 

  5. 김솔. 2013. 대통령기록물 온라인 콘텐츠의 초등교육 활용방안.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3(1), 59-79. (Kim, Sol. 2013. "Application of Online Contents of Presidential Archives in Elementary Educ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3(1), 59-79.) 

  6. 김연주. 2009. 아카이브와 박물관의 전시 비교와 개선방안. 한국기록관리학회지, 9(2), 103-131. (Kim, Yeon-Joo. 2009. "Archives and Museum Exhibitions Compared: with the Emphasis on the Exhibitions Held in Memory of the 60th Anniversary of National Found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3(1), 59-79.) 

  7. 김유승. 2010a. 거버먼트 2.0 기반의 정보공개제도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기록학연구, 25, 197-231. (Kim, You-Seung. 2010a. "A Study on Freedom of Information in the Government 2.0 Era."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25, 197-231.) 

  8. 김유승. 2010b. 아카이브 2.0 구축을 위한 이론적 고찰.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0(2), 31-52. (Kim, You-Seung. 2010b. "A Theoretical Study on Establishing Archive 2.0."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0(2), 31-52.) 

  9. 김유승, 전진환. 2011. 거버먼트 2.0 기반의 공공정보서비스에 관한 연구: 국내 적용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1(1), 47-66. (Kim, You-Seung, & Jeon, Jin-Han. 2011. "A Study on Public Sector Information Services in the Government 2.0 Er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1(1), 47-66.) 

  10. 김정애. 2011. 개인정보의 공개와 보호에 관한 연구. 기록학연구, 29, 225-268. (Kim, Jeong-Ae. 2011. "A Study on the Disclosure and Exemption of the Personal Data."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29, 225-268.) 

  11. 김재훈, 이경훈. 2006. 대한불교조계종 중앙기록관의 역사기록전시: 기록으로 보는 한국불교와 조계종. 기록학연구, 13, 287-320. (Kim, Jae-Hun, & Lee, Kyung-Hoon. 2006. "The Archival Exhibition Organized by the Archives of Johey Order of Korean Buddhism."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13, 287-320.) 

  12. 김지현. 2012. 국가기록원 기록정보서비스에 대한 이용자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2(1), 167-187. (Kim, Ji-Hyun. 2012. "A Study on Users' Perception of Reference Services in National Archives of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2(1), 167-187.) 

  13. 김현지, 이해영. 2009. 웹 기록정보서비스 평가모형 개발과 서비스 평가. 한국기록관리학회지, 9(2), 59-78. (Kim, Hyun-Jee, & Rieh, Hae-Young. 2009. "Evaluation Model Development for Web Archival Information Services and the Service Evaluation: Focused on University Archiv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9(2), 59-78.) 

  14. 김희정. 2005. 저자 동시인용분석에 의한 국내외 기록관리학 분야의 지적구조 비교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9(3), 207-224. (Kim, Hee-Jung. 2005. "A Study on Comparison of Intellectual Structure in Records Management and Archives Using Author Cocitation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39(3), 207-224.) 

  15. 김희정. 2006. 국내외 기록관리학 연구영역의 시계열적 분석 및 확장성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6(2), 5-25. (Kim, Hee-Jung. 2006. "A Study on the Serial Analysis and Expansion of Research Areas of Records Management and Archiv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6(2), 5-25.) 

  16. 김희정. 2011. 네트워크 분석을 기반으로 한 웹 아카이빙 주제영역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2(2), 235-248. (Kim, Hee-Jung. 2011. "A Study on Web Archiving Subject Analysis Based on Network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2(2), 235-248.) 

  17. 남재우, 김성희. 2009. 기록정보서비스를 위한 Web2.0 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3(2), 123-146. (Nam, Jae-Woo, & Kim, Seong-Hee. 2009.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Web 2.0 for Archival Information Servic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43(2), 123-146.) 

  18. 남태우, 이진영. 2009. 우리나라 기록관리학 연구 동향 분석.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0(2), 451-472. (Nam, Tea-Woo, & Lee, Jin-Young. 2009. "A Study on the Research Trends of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in Korea."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0(2), 451-472.) 

  19. 류한조, 김익한. 2009. 기록 콘텐츠 개발 모형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9(1), 221-248. (Ryu, Han-Jo, & Kim, Ik-Han, 2009. "A Study of the Developing Model of Record Contents: Focused on the Architecture Cultural Property Record."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9(1), 221-248.) 

  20. 서은경, 손주영. 2012. 국내 대학기록관 웹사이트에 관한 메타분석. 정보관리학회지, 29(1), 351-374. (Seo, Eun-Gyoung, & Son, Ju-Young, 2012. "Meta Analysis of the Websites of University Archive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9(1), 351-374.) 

  21. 서은경, 정경희, 최상희. 2006. 이용자 중심의 기록정보 활용 및 서비스 활성화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6(1), 65-92. (Seo, Eun-Gyoung, Joung, Kyoung-Hee, & Choi, Sang-Hee. 2006. "Strategies for Improving User-Oriented Information Services at Archiv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6(1), 65-92.) 

  22. 서혜경. 2010. 국가기록원의 어린이 교육 프로그램 활성화 방안.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0(1), 141-167. (Seo, Hye-Gyung. 2010. "Toward a Revitalization of the Children's Education Programs at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0(1), 141-167.) 

  23. 설문원. 2001. 공개활성화를 위한 전자기록물 관리정책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2(1), 65-86. (Seol, Mun-Won. 2001. "A Study on the Electronic Records Management for Enhancing Public Acces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12(1), 65-86.) 

  24. 설문원, 김익환. 2006. 이승만시기 국무회의록과 정부부처 기록의 연관구조 분석에 기반한 역사 컨텐츠 설계 방안.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7(2), 115-136. (Seol, Mun-Won, & Kim, Ik-Han. 2006. "Development of Historical Contents Based on Relational Structure of Minutes of State Council and Records of Ministries in the Period of Rhee Regime."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17(2), 115-136.) 

  25. 설문원. 2008. 기록정보서비스 전략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5(3), 249-271. (Seol, Mun-Won. 2008. "A Study of Strategic Planning for Archival Information Services in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5(3), 249-271.) 

  26. 설문원. 2010. 기록 검색도구의 발전과 전망. 기록학연구, 23, 3-43. (Seol, Mun-Won. 2010. "A Study on Development and Prospects of Archival Finding Aids."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23, 3-43.) 

  27. 설문원. 2012. 기록분류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과 과제.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2(3), 203-232. (Seol, Mun-Won. 2012. "Research Trends and Issues of Records and Archives Classification in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2(3), 203-232.) 

  28. 시귀선. 2009. 공공기록물의 이용과 저작권보호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9(2), 159-188. (Si, Kwi-Sun. 2009. "A Study on the Use and Protection of Copyrights in Public Archiv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9(2), 159-188.) 

  29. 심성보. 2007. 교수.학습자료용 기록정보 콘텐츠 서비스의 구성 및 개발. 기록학연구, 16, 201-256. (Sim, Sung-Bo. 2007. "Composition and Development of Archival Content Service for Teachinglearning Materials."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16, 201-256.) 

  30. 우수영. 2006. 기록정보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전자적 질의/응답 기능 개선방안. 한국기록관리학회지, 6(1), 113-136. (Woo, Su-Young. 2006. "Strategies for Improving Electronic Question/Answering Function for the Activation of Archival Information Service of National Archives & Records Servic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6(1), 113-136.) 

  31. 윤여진, 김순희. 2009. 영구기록물관리기관의 공개제도 운영방안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9(1), 51-75. (Yoon, Yeo-Jin, & Kim, Soon-Hui. 2009. "A Study on Operating Method of Public Information System of Archival Institution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9(1), 51-75.) 

  32. 윤은하. 2012. 기록정보 서비스와 정보공개.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2(2), 163-179. (Youn, Eun-Ha. 2012. "Archival Reference Service and Freedom of Information in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2(2), 163-179.) 

  33. 이상민. 2013. 미국 정보자유제도와 정부기록관리 혁신. 기록학연구, 35, 3-40. (Lee, Sang-Min. 2013. "FOI and Government Records Management Reforms under Obama Administration."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35, 3-40.) 

  34. 이소연. 2011. 국내 전자기록 연구의 동향 분석.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1(2), 7-31. (Lee, So-Yeon. 2011. "Trends Analysis of Electronic Records and Archives Research in Korea: Retrospect and Prospec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1(2), 7-31.) 

  35. 이영숙. 2007. 공공기록물 정보서비스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7(2), 73-94. (Lee, Young-Sook. 2007. "A Study on Development Directions for Public Archival Information Servic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7(2), 73-94.) 

  36. 이원규. 2005. 행정정보 및 보존기록물 공개의 운영과제. 기록학연구, 12, 81-135. (Lee, Won-Kyu. 2005. "Operative Challenges in Releasing Administrative Information and Records."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12, 81-135.) 

  37. 이원영. 2005 국회기록 인터넷 정보서비스 개선 방안. 정보관리학회지, 22(1), 5-20. (Lee, Won-Young. 2005. "Improvement Plan for Internet Reference Services of National Assembly Records."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2(1), 5-20.) 

  38. 이윤주. 2007. 기록관의 온라인 서비스 향상을 위한 웹사이트 평가기준설계에 관한 연구. 기록학연구, 16, 147-200. (Lee, Yoon-Ju. 2007. "A Study on the Evaluating Standards On-Line Service for Archives."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16, 147-200.) 

  39. 이은영. 2011. 교육과정 분석에 따른 교육용 기록정보콘텐츠의 예시 설계.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1(2), 165-188. (Lee, Eun-Young. 2011. "Designing the Archival Contents Sample for Education Based on Curriculumstandards Analysi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1(2), 165-188.) 

  40. 이재윤, 문주영, 김희정. 2007. 텍스트 마이닝을 이용한 국내 기록관리학 분야 지적구조 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1(1), 345-372. (Lee, Jae-Yun, Moon, Ju-Young, & Kim, Hee-Jung. 2007. "Examining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Records Management & Archival Science in Korea with Text Min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41(1), 345-372.) 

  41. 이해영 외. 2007. 기록정보서비스의 평가 및 개선 방향. 한국기록관리학회지, 7(2), 25-42. (Rieh, Hae-Young, et al. 2007. "Evaluation and Improvement Direction of Information Services in Records Centers and Archives: A Case Stud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7(2), 25-42.) 

  42. 이해영. 2011. 기록관 웹사이트 검색어의 분석과 활용.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1(1), 93-112. (Rieh, Hae-Young. 2011. "Analysis and Utilization of Search Terms in Archival Web Sites: A Case Study of Korean Presidential Archiv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1(1), 93-112.) 

  43. 이해영. 2012. 기록관의 정보서비스 현황 조사 및 서비스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2(3), 177-201. ( Rieh, Hae-Young. 2012. "Research on the Current Status of and the Improvement Plan for Information Services in Records and Archives Center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2(3), 177-201.) 

  44. 임준희, 이준기. 2010. 정보공개에 대응한 공무원의 업무정보 제공행동 연구. 기록학연구, 23, 179-225. (Yim, Jun-Hee, & Lee, June-Key. 2010. "A Study on the Information Providing Behavior of Public Servants 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Disclosures."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23, 179-225.) 

  45. 임진수. 2006. 행정기관의 행정정보공표 현황 및 기준 분석. 한국기록관리학회지, 6(2), 87-111. (Lim, Jin-Su. 2006. "An Analysis of Publication Information Dissemination Guidance of Central Government Organizations in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6(2), 87-111.) 

  46. 장로사, 김유승. 2009. 한국의 기록관리학 연구동향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0(1), 87-100. (Chang, Ro-Sa, & Kim, You-Seung. 2009. "An Analytical Study on Research Trends of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Science in Korea: Focused on the Information Science."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0(1), 87-100.) 

  47. 장혜란, 이명희. 2008. 지방기록물관리기관을 위한 이용자서비스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5(3), 321-338. (Chang, Hye-Rhan, & Lee, Myoung-Hee. 2008. "Developing a Public Services Framework for the Regional Archive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5(3), 321-338.) 

  48. 장희정. 2012. 국가기록관 웹사이트의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2(2), 51-70. (Jang, Hee-Jung. 2012. "A Study on Evaluation of National Archives Websit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2(2), 51-70.) 

  49. 전수진. 2008. 보존기록관리기관의 온라인 콘텐츠 유형과 특징. 한국기록관리학회지, 8(2), 127-152. (Jeon, Soo-Jin. 2008. "Analysis on Online Contents Services of National Archiv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8(2), 127-152.) 

  50. 정경희. 2006. 국가기록원 인터넷 게시판 이용자의 정보이용행태 분석.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7(1), 283-303. (Joung, Kyoung-Hee. 2006. "An Analysis on the Information - seeking Behaviour of Users in the Internet Board of National Archives and Record Service."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7(1), 283-303.) 

  51. 정경희. 2007a. 고등학교 역사교사의 기록물 이용행태 사례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8(4), 377-396. (Joung, Kyoung-Hee. 2007a. "A Case Study on Archival Seeking Behavior of Korean History Teachers in High Schools: Focused on the Local Communities of History Teacher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8(4), 377-396.) 

  52. 정경희. 2007b. 기록정보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저작권 문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4(1), 165-186. (Joung, Kyoung-Hee. 2007b. "A Study on Copyright Problems for Promotion of Archival Information Service - Focused on Government Works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4(1), 165-186.) 

  53. 정경희. 2007c. 시장세분화 기반의 기록정보서비스에 관한 고찰.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8(3), 1-20. (Joung, Kyoung-Hee. 2007c. "Archival Reference Services Based on Market Segmentation."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8(3), 1-20.) 

  54. 조민정. 2001. 한국의 국가기록관리기관 정보조사제공 활성화를 위한 정책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1), 153-176. (Cho, Min-Jung. 2001. "A Study Policies for Activating Information Services at the Government Archives and Records Service(GAR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1), 153-176.) 

  55. 조민지. 2006. 대통령 기록관의 서비스 프로그램 사례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6(2), 157-184. (Jo, Min-Ji. 2006. "A Case Study on the Service Programs at the Presidential Library and Museum."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6(2), 157-184.) 

  56. 조영삼. 2009. 기록정보공개 제도 개선 추진 현황과 방안. 기록학연구, 22, 77-114. (Cho, Young-Sam. 2009. "The Promotion State and Measures to Improve the Record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22, 77-114.) 

  57. 최석현 외. 2013. 아카이브의 디지털 전시 활용효과 분석.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3(1), 7-33. (Choi, Seok-Hyun, et al. 2013. "An Analysis of the Effect on Using Digital Exhibition of Archiv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3(1), 7-33.) 

  58. 최재혁, 김희섭. 2009. '역대 대통령 웹기록 서비스'의 이용자 만족도 분석. 한국기록관리학회지, 9(1), 77-98. (Choi, Jae-Hyuk, & Kim, Hee-sop. 2009. "User Satisfaction of 'The Presidential Web Records Servic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9(1), 77-98.) 

  59. 최재희. 2011. 국내의 기록물 평가론 연구 동향.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1(1), 7-22. (Choi, Jae-Hee. 2011. "Research Trends in Archival Appraisal Science in Korea: Retrospect and Prospec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1(1), 7-22.) 

  60. 표순희. 2009. 근거중심 문헌정보실무의 내용과 방법론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6(1), 351-370. (Pyo, Soon-Hee. 2009. "A Study on the Content and Methodology of Evidence-Based Library and Information Practice."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6(1), 351-370.) 

  61. 표순희. 2010. 실무자의 근거출판 활성화를 통한 근거중심 문헌정보실무의 국내 적용 방안.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4(3), 219-239. (Pyo, Soon-Hee. 2010. "The Study on the Applying Methods for EBLIP in Korean Librarianship."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44(3), 219-239.) 

  62. 하은미, 이수상. 2007. 대학기록물의 온라인 탐색도구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7(2), 139-164. (Ha, Eun-Mi, & Lee, Soo-Sang. 2007. "A Study on the Online Finding Aids of University Archiv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7(2), 139-164.) 

  63. 한국기록관리학회 편. 2013. 기록관리론: 증거와 기억의 과학. 제3판. 서울: 아세아문화사.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ed). 2013. Theory of Records Management: Science of Evidence and Memory(3rd). Seoul: AsiaMunHwaSa.) 

  64. 한수연, 정동열. 2012. 기록물관리기관 서비스 품질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2(1), 59-78. (Han, Soo-Yeon, & Jeong, Dong Youl. 2012.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rchive Service Quality Scale: Focused on Public Institution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2(1), 59-78.) 

  65. 한현진, 이수상. 2008. 자원기반학습을 위한 기록정보의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8(1), 143-165. (Han, Hyun-Jin, & Lee, Soo-Sang. 2008. "A Study on Use of Archival Information for Resourcebased Learning."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8(1), 143-165.) 

  66. Pugh, Mary Jo. 1992. Providing Reference Services for Archives and Manuscripts. Chicago: Society of American Archivist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