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뮬레이션 학습을 위한 호흡곤란증후군 환아 시나리오 개발 및 학습 수행 평가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Scenario for Simulation Learning of Care for Children with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원문보기

CHNR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19 no.1, 2013년, pp.1 - 11  

이명남 (연세대학교대학원 간호학과) ,  김희순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  정현철 (삼육대학교 간호학과) ,  김영희 (중앙대학교병원 보험심사과) ,  강경아 (삼육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한 호흡곤란증후군 환아 사례의 시뮬레이션 학습 시나리오를 개발하여 지식 적용-기술 수행, 문제 해결 능력, 학습만족도를 파악하는 데 있다. 방법 단일군 사후설계를 적용하였으며, 고위험 아동간호학을 수강하고 있는 간호학과 4학년 55명을 대상으로 총 17개조를 구성하여 매주 3개조(4-5명/조)로 시뮬레이션 운영 후 디브리핑을 60분간 실시하였으며, 자신의 실습 수행에 대한 문제해결능력과 학습만족도를 평가하였다. 결과 시나리오는 간호진단을 포함하여 6단계로 구성하였으며, 20분의 운영 시간 내에 호흡곤란 증후군 환아에 대한 지식 적용 및 기술 수행 능력, OSCE 수행 능력을 평가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지식 적용-기술 수행 평가에서 간호진단을 제외한 5개의 범주 중 평가 단계가 지식 적용과 기술 수행 모두 가장 높게 나타났다. 지식 적용에서 가장 높은 평균 점수를 보인 항목은 사정 단계에서 산소포화도 관찰, 평가 단계에서 산소분압과 산소포화도 확인이었고, 기술 수행에서는 중재 단계의 호흡곤란 완화 간호가 높았다. 사정 단계의 검사 확인은 지식 적용 및 기술 수행 영역에서 모두 낮게 나타났다. OSCE 수행 평가에서는 흡인 수행 능력에서는 사용한 물품 정리 및 수행 후 손씻기, 산소 공급에서는 급습기 멸균증류수 확인이 가장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잘 수행된 항목보다 수행되지 못한 항목이 흡인과 산소 공급 모두 많은 것으로 나타나 기본간호술기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문제 해결 능력과 학습 만족도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문제 해결 능력이 높을수록 학습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시뮬레이션 교육 시행 후 문제 해결 능력에 따라 학습 만족도가 높으므로 문제 해결 능력을 높일 수 있도록 아동간호영역에서 다양한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될 필요가 있으며, 기본간호술기 수행 능력을 증진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이 더욱 활발히 운영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develop a scenario and evaluate student performance in simulation learning of care for children with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Methods: To test the application effect, a one group pre-test design was applied. The scenario based 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생아중환자실에 흔히 입원하는 호흡곤란 환아 상황을 바탕으로 학생들의 아동간호 임상술기 능력 및 임상적 판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SimBaby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시나리오를 개발하고 시나리오 적용 후 간호학생의 수행정도를 평가하였다. 이를 통해 아동간호학 실습 분야의 보다 효과적인 시뮬레이션 실습을 위해 필요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고 본다
  • 시뮬레이션 학습 수행 평가를 위해 평가 목적, 시기 및 평가 도구를 결정하였다. 본 시뮬레이션 교육의 평가 목적은 지식, 기술, 태도 수준에 따라 학습 목표 성취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인지적 영역(cognitive domain) 평가에서는 간호과정에 따른 지식 적용 능력, 정의적 영역(affective domain) 평가에서는 학습 만족도와 문제해결능력, 심동적 영역(psychomotor domain) 평가에서는 간호계획 수행 시 전반 적인 기술 수행 능력을 평가하였고 이에 더하여 산소 공급과 흡인 수행능력은 신생아 상황에 맞게 수정 보완한 OSCE 평가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 본 연구는 고위험 신생아에게서 흔히 발생하는 호흡곤란 증후군 환아의 실제사례를 바탕으로 시뮬레이션 학습 시나리오를 개발하여 구체적인 평가기준 마련하고 및 그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신생아 중환자실의 RDS 환아 시나리오의 개발 및 적용에 따른 학습 수행을 평가하기 위한 단일군 사후설계 연구이다.
  • 시뮬레이션은 재현된 임상현장 및 상황을 통해 학습자가 지식, 기술, 태도를 통합적으로 적용하여 실무자로서 직접 경험하고 대처하게 함으로써 총체적인 상황에서의 실무대처능력 향상을 목적으로 하는 교수-학습전략이다(Bond & Spillane, 2002). 본 연구에서는 Laerdal사에서 만든 SimBaby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임상실제 상황을 재현하였으며 시나리오 사례를 통해 학습자가 학습한 내용을 파악하고 임상 상황에서 필요한 비판적 사고와 통합 적용 능력을 함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 교육을 말한다.
  • 연구의 목적은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한 호흡곤란증후군(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RDS) 환아 사례의 시뮬레이션 학습 시나리오를 개발하고, 학습 수행을 평가하는데 있다.
  • 간호학 4년 과정을 졸업하고 고위험 아동간호영역의 간호사에게 요구되는 역량을 갖추기 위해서는 실제적인 임상실습경험이 요구되지만 신생아 중환자실이라는 특수환경의 실습장소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며, 미숙아 및 고위험 신생아의 감염 및 안전문제로 인하여 간호학생들에게 신생아 중환자실이 실습현장으로 제공되는 것이 현실적으로 여의치 않아 현재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실습과정 개발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현실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고위험 아동간호 영역의 시뮬레이션 교육이 매우 절실하여 본 연구팀은 고위험 아동간호학 영역에서 호흡곤란 증후군 아동을 간호함에 있어 간호학생들의 비판적 사고훈련과 종합적 상황판단 및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시뮬레이션 학습내용을 개발하게 되었다.

가설 설정

  • 1) 호흡곤란증후군의 병태 생리를 이해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시뮬레이션 교육의 장점은 무엇인가? 보건의료분야에 적용되는 시뮬레이션 교육은 최근 해마다 급격히 증가하여, 국내에서도 여러 간호대학에 시뮬레이션 센터가 설립되었다. 시뮬레이션은 교실에서 강의로 배운 이론을 임상 수행능력으로 발휘시키는 데 탁월한 효과가 있어 Objective Structured Clinical Examination (OSCE), Evidence Based Learning (EBL), Standardized Patient (SP), Problem Based Learning (PBL), Clinical Performance Examination (CPX) 등과 함께 의과대학 및 간호대학에서 실습교육방법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자리잡아가는 추세이다(You, 2005).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실습은 실제 임상 현장과 유사한 가상의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환자 시뮬레이터를 활용하여 실제적이고 상호작용적인 임상실습 환경을 제공한다(Kim & Choi, 2011). 또한, 실제 임상현장에서 하기 어려운 경험을 환자에게 해를 가하지 않고 직접 체험할 수 있고 반복연습으로 학생들의 자신감이 상승되고 임상적 상황을 어떻게 적절히 관리하는 지에 대한 기술을 배우고 익히며 올바른 의사소통 기술 및 임상적 판단과 복합적 건강상태에 대한 인식이 증가되며, 디브리핑(debrieng)을 통해 비판적 사고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Eom, Kim, Kim, & Seong, 2011; Kim et al., 2010; Siassakos et al.
임상에서 요구되는 지식과 기술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부족하게 된 배경은 무엇인가? 그러나 최근 임상현장은 소비자의 건강권 보호에 대한 권리의식이 강화되고 의료기관의 질 평가 및 환자의 안위와 안전이 중요시 되었다. 더욱이 빠르게 변화되는 실무 환경 및 업무량 가중 등의 이유로 간호 학생들이 환자들에게 직접간호를 수행하는 기회는 매우 축소되고 관찰 위주의 실습교육이 증가하여 임상에서 요구되는 지식과 기술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부족한 실정이다(Kim & Choi, 2011; Kim, Kim, & Kang, 2010; Lee et al., 2010).
간호학 교육과정에서 임상 실습의 목적은 무엇인가? 간호학 교육과정에서 임상 실습의 목적은 간호 대상자와 관련된 실무상황의 복잡성, 불확실성, 갈등을 다룰 수 있는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며, 전문직에 적합한 사고과정을 개발하고 습득된 지식과 기술을 통합하여 총체적인 간호 지식을 얻도록 하는 데 있다(Yang & Park, 200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Bond, W. F., & Spillane, L. (2002). The use of simulation for emergency medicine resident assessment. Academic Emergency Medicine, 9, 1295-1298. 

  2. Broussard, L., Myers, R., & Lemoine, J. (2009). Preparing pediatric nurses: e role of simulation-based learining. Issues in Comprehensive Pediatric Nursing, 32, 4-15. 

  3. Durham, C. F., & Alden, K. R. (2008). Enhancing patient safety in nursing education through patient simulation. Patient Safety and Quality: An Evidence-Based Handbook for Nurses. Vol. 3. U.S.: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4. Eom, M. R., Kim, H. S., Kim, E. K., & Seong, K. Y. (2011). Eects of teaching method using standardized patients on nursing competence in subcutaneous injection,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and problem solving abili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0, 151-160. http:// dx.doi.org/10.4040/jkan.2010.40.2.151 

  5. Falcone, R. A., Daugherty, M., Schweer, L., Patterson, M., Brown, R. L., Garcia, V. F. (2008). Multidisciplinary pediatric trauma team training using high-fidelity trauma simulation. Journal of Pediatric Surgery, 43, 1065-1071. 

  6. Kane, J., Pye, S., & Jones, A. (2011). Effectiveness of a simulation-based educational program in a pediatric cardiac intensive care unit. Journal of Pediatric Nursing, 26, 287-294. 

  7. Kim, H. R., & Choi, E. J. (2011). Development of a scenario and evaluation for SimBaby simulation learning of care for children with fever in emergency unit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1, 279-288. 

  8. Kim, H. S., Kang, K. A., Kim, S. J., Kim, H. O., Moon, S. Y., Yang, E. Y., et al. (2012). Child Health Nursing. Seoul: Koon-Ja Publishing Co. 

  9. Kim, M. W. (2008, June). The present of evaluation of clinical nursing education. In: Oh, P. J. (Chair), Application of OSCE for evaluation of clinical practice ability. Seoul: the Korean Academy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0. Kim, Y. H., & Jang, K. S. (2011). Effect of a simulation-based education on cardio-pulmonary emergency care knowledge,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and problem solving process in new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1, 245-255. http://dx.doi.org/10.4040/jkan.2011. 41.2.245 

  11. Kim, Y. H., Kim, Y. M., & Kang, S. Y. (2010).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simulation based critical care nursing education used with $MicroSim^{(R)}$ .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6, 24-32. 

  12. Ko, I. S., Kim, H. S., Kim, I. S., Kim, S. S., Oh, E. G., Kim, E. J., et al. (2010). Development of a scenario and evaluation for simulation learning of care for patients with asthma in emergency uni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 Nursing, 17, 371-381. 

  13. Lee, S. J., Roh, Y. S., Kim, J. O., Jang, K. I., Ryoo, E. N., & Park, Y. M. (2010). Comparison of multi-mode simulation and $SimMan^{(R)}$ simulation on evaluation of nursing care for patients with dyspnea.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6, 51-60. 

  14. Lindamood, K. E., & Weinstock, P. (2011). Application of high-fidelity simulation training to the neonatal resuscitation and pediatric advanced life support programs, Newborn & Infant Nursing Reviews, 11, 23-27. 

  15. Lindsay, J. (2010). Introducing nursing students to pediatric end-of-life issues using simulation. Dimension of Crinical Care Nursing, 29, 175-178. 

  16. Park, J. W., & Woo, O. H. (1999). The effects of PBL(problem-based learning) on problem solving process by learner's metacognitive level.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15(3), 55-81. 

  17. Richard, J. J. (2009). Beginning experiences with simulation: Asthma in a pediatric patient. Clinical Simulation in Nursing, 5, e5-e8. 

  18. Siassakos, D., Draycott, T., Brien, K., Kenyon, C., Bartlett, C., & Fox, R. (2010). Exploratory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hybrid obstetric simulation training for undergraduate students. Journal of the Society for Simulation in Healthcare, 5, 193-198. 

  19. Yang, J. J., Park, M. Y. (2004). The relationship of clinical competency and self-directed learning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0, 271-277. 

  20. Yoo, M. S., Yoo, I. Y. (2001). The effectiveness of standardized patient managed instruction for a fundamentals of nursing course. Journal of Nursing Query, 10, 89-109. 

  21. You, E. Y. (2005). Medical Simulation. Seoul: Korean Medical Association.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