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숙아 무호흡을 위한 비강 지속적 양압환기법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Systematic Review of Effects of Nasal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on Apnea of Preterm Infants 원문보기

CHNR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20 no.3, 2014년, pp.225 - 235  

김은주 (상지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본 연구는 국내외 연구의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해 미숙아무호흡에 대한 nCPAP의 효과를 재확인하고 nIPPV 중 nSIPPV를 적용한 연구들을 구별하여 효과 차이가 있는지 확인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고위험신생아 간호전략을 위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서이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1970년 1월부터 2013년 9월까지 미숙아 무호흡증을 대상으로 nCPAP를 제공하고 그 효과를 확인한 연구를 대상으로 검색하였다. 영문 검색어는 'preterm infant', 'prematurity', 'nCPAP', 'apnea', 'trial' 이었으며 국문검색어는 '미숙아', '무호흡', '무호흡중재'로 검색하였다. 총 13편의 논문분석을 위하여 코딩의 준거분석틀에 따라 자료코딩을 하였다. 자료의 코딩에 따른 준거분석틀은 다음과 같다. 먼저 각 연구 특성에 따른 자료의 코딩은 연구자, 게재연도, 표본크기, 중재방법, 중재시간, 주요결과, 적용시간, 실험설계의 편향 유형을 조사하여 제시하였다. 코딩된 자료는 신뢰구간 95%, 통계적 유의수준 5%로 정하며 이용된 프로그램은 STATA 10.0을 이용하였다. 결과 nCPAP의 무호흡감소의 효과와 nIPPV의 차이는 -0.11 (95% CI [-0.64, 0.42])로 유의한 차이가 검증되지 않았다(Z=0.41, p=.680). 그러나 nCPAP와 nSIPPV의 효과차이는 결합추정치 -0.44 (95% CI [-0.81, -0.07)로 nSIPPV가 미숙아무호흡 감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Z=2.35, p=.019). nCPAP의 호흡기치료중지 성공에 대한 효과를 메타분석 한 결과 1.60 (95% CI [0.70, 3.63])이었으며 nIPPV와 차이가 검증되지 않았다(Z=1.12, p=.268). 그러나 nSIPPV는 nCPAP에 비해 결합추정치는 3.94 (95% CI [1.74, 8.90])로 호흡기치료 중지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Z=3.29, p=.0001). 결론 미숙아의 무호흡감소와 호흡기치료의 단축을 위해 nCPAP와 nIPPV 중 nSIPPV의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본 연구결과를 기초로 임상에서 활용 가능한 미숙아 호흡관리 프로토콜 개발을 위해 지속적인 연구들이 진행되어져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is the effects of nasal Continuous Postive Airway Pressure (nCPAP) for preterm infants using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Methods: Thirteen peer-reviewed journals including preterm infants and apnea and nCPAP published between 1973 and 2013 w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RoB의 평가 항목은 선택비뚤림, 실행비뚤림, 결과확인비뚤림, 탈락비뚤림, 보고비뚤림 5가지 항목이며 RoBANS의 평가항목은 선택비뚤림, 실행비뚤림, 결과확인비뚤림, 탈락비뚤림, 그리고 보고비뚤림으로 5가지 항목이였다. 각 항목의 비뚤림위험정도는 낮음, 불확실, 높음으로 평가하였으며 비뚤림위험이 높은 연구는 배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국내외 미숙아 무호흡 감소를 위한 nCPAP 효과를 검증한 실험연구와 그 논문을 대상으로 체계적 고찰과 메타분석을 실시한 서술연구이다.
  • 본 연구는 미숙아의 무호흡감소와 호흡기치료 중지를 위한 nCPAP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nCPAP와 nIPPV 방법은 비침습적 방법으로 출생 초기에 부드럽게 호흡을 보조하여 침습적인 기도 내 삽관을 피하고 효율적인 호흡유지에 도움을 제공한다(Davis et al.
  • 본 연구결과를 기초로 호흡기치료를 지속하였던 무호흡증 미숙아의 무호흡 감소와 호흡기치료 중지를 위해서 nCPAP와 nIPPV의 효과는 차이가 없음을 알게 되었으며 특히 nSIPPV는 nCPAP보다 무호흡과 호흡기치료 중지에 성공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정확한 프로토콜 개발을 위한 국내의 반복적이고 실증적 연구를 제안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미숙아무호흡에 대한 nCPAP 효과 및 적용 방법에 관한 논문들을 체계적으로 검토하고 nIPPV 중 nSIPPV를 적용한 연구들의 효과 차이가 있는지 확인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고위험신생아 간호전략을 위한 기초적인 자료가 제시 되길 기대한다.

가설 설정

  • 병합된 효과크기는 호흡기치료중지 성공 대상자 수의 차이는 이분형 변수이므로 위험비(RR)로 산출하였으며 무호흡 횟수는 연속형 변수로 표준화 평균 차이(SMD)를 산출하여 비교하였다. 각 통계량에 있어 신뢰구간은 95%를 기준으로 하였고 통계적 유의수준은 5%로 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숙아는 어떤 위험에 처할 수 있는가? 미숙아는 세계보건기구(WHO)의 정의에 의하면 출생 시 체중과 무관하게 재태기간 37주 미만 혹은 최종 월경일 259일 미만에 태어난 신생아를 말한다. 미숙아는 생리적 미성숙으로 인한 호흡곤란, 체온조절 장애, 빨기 및 삼키기 장애, 무호흡 발작, 간기능 미숙으로 인한 중증 황달, 저혈당 등의 문제에 당면하기 쉬우며 이는 제태기간이 짧을수록 심하다(Im & Park, 2004). 특히 1,000 g 이하의 초극소저출생체중아의 경우 전체 영아사망률 중 49%에 해당된다(Mathews & MacDorman, 2010).
미숙아는 언제 태어난 아기를 칭하는가? 미숙아는 세계보건기구(WHO)의 정의에 의하면 출생 시 체중과 무관하게 재태기간 37주 미만 혹은 최종 월경일 259일 미만에 태어난 신생아를 말한다. 미숙아는 생리적 미성숙으로 인한 호흡곤란, 체온조절 장애, 빨기 및 삼키기 장애, 무호흡 발작, 간기능 미숙으로 인한 중증 황달, 저혈당 등의 문제에 당면하기 쉬우며 이는 제태기간이 짧을수록 심하다(Im & Park, 2004).
미숙아들이 겪는 호흡기관련 질환들 중 무호흡증은 어떤 조건에서 더 심해지는가? 미숙아들이 겪는 심각한 건강문제는 주로 호흡기관련 질환들이다. 이 중 미숙아 무호흡증은 제태연령이 낮을수록, 감염, 저산소증 그리고 두개 내 질환을 가지고 있을 때 더욱 심해질 수 있다(Henderson-Smart, Subramanian, & Davis, 200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Barrington, K. J., Bull, D., & Finer, N. N. (2001). Randomized trial of nasal synchronized intermittent mandatory ventilation compared with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after extubation of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Pediatrics, 107(4), 638-641. 

  2. Bhandari, V., Finer, N. N., Ehrenkranz, R. A., Saha, S., Das, A., Walsh, M. C., et al. (2009). Synchronized nasal intermittent positive pressure ventilation and neonatal outcomes: A retrospective study. Pediatrics, 124(2), 517-526. http://dx.doi.org/10.1542/peds 2008-1302 

  3. Bhatia, J. (2000). Current options in the management of apnea of prematurity. Clinical Pediatrics, 39, 327-336. http://dx.doi.org/10.1177/000992280003900602 

  4. Bisceglia, M., Belcastro, A., Poerio, V., Raimondi, F., Mesuraca, L., Crugliano, C., et al. (2007). A comparison of nasal intermittent versus continuous positive pressure delivery for the treatment of moderate respiratory syndrome in preterm infants. Minerva Pediatrics, 59(2), 91-95. http://dx.doi.org/10.1542/peds.2008-1302 

  5. Davis, P. G., Lemyre, B., & De Paoli, A. G. (2001). Nasal intermittent positive pressure ventilation versus nasal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 sure for preterm neonates after extubation.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3, CD003212. http://dx.doi.org/10.1002/14651858. CD003212 

  6. Davis, P., Jankov, R., Doyle, L., & Henschke, P. (1998).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nasal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in the extubation of infants weighing 600 to 1,250 g. Archives Disease of Child Fetal Neonatal Edition, 79(1), F54-F57. http://dx.doi.org/10.1136/fn.79.1.F54 

  7. De Paoli, A. G., Davis, P. G., & Lemyre, B. (2003). Nasal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versus nasal intermittent positive pressure ventilation for preterm neonat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Acta Paediatrica, 92(1), 70-75. http://dx.doi.org/10.1111/j.1651-2227.2003.tb00472.x 

  8. De Paoli, A. G., Morley, C., & Davis, P. G. (2003). Nasal cpap for neonates: what do we know in 2003? Archives Disease Child Fetal Neonatal Edition, 88(3), F168-72. http://dx.doi.org/10.1136/adc.2007.117614 

  9. Dunn, M. S., Kaempf, J., de Klerk, A., de Klerk, R., Reilly, M., Howard, D., et al. (2011). Randomized trial comparing 3 approaches to the initial respiratory management of preterm neonates. Pediatrics, 128(5), e1069-1076. http://dx.doi.org/10.1542/peds.2010-3848 

  10. Henderson-Smart, D. J., Subramanian, P., & Davis, P. G. (2005).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versus theophylline for apnea in preterm infants. Cochrane Database Systematic Review, 4, CD001072. http:// dx.doi.org/10.1542/peds.112.5.1031 

  11. Im, H. S., & Park, E. S. (2004). The effects of regular stimulation on the reduction of premature infant's apnea.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10(4), 451-459. 

  12. Khalaf, M. N., Brodsky, N., Hurley, J., & Bhandari, V. (2001). A prospective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omparing synchronized nasal intermittent positive pressure ventilation versus nasal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as modes of extubation. Pediatrics, 18(1), 13-17. http:// dx.doi.org/10.1542/peds.108.1.13 

  13. Kiciman, N. M., Andreasson, B., Bernstein, G., Mannino, F., Rich, W., Henderson, C., et al. (1998). Thoracoabdominal motion in newborns during ventilation delivered by endotracheal tube or nasal prongs. Pediatric Pulmonology, 25(3), 175-181. 

  14. Kilgour, E., Rankin, N., Ryan, S., & Pack, R. (2004). Mucocillary function deteriorates in the clinical range of inspired air temperature and humidity. Intensive Care Medicine, 30(7), 1491-1494. http://dx.doi. org/10.1007/s00134-004-2235-3 

  15. Kim, J. S., & Lee, E. J. (2011). Effect of optimal humidification for extremely low birth weight infants during nasal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Journal of Korean Academy Child Health Nursing, 17(2), 145-152. http://dx.doi.org/104094/jkachn.2011.17.2.145 

  16. Kim, Y. J., Jung, B. K., & Lee, S. G. (2003).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early use of nasal CPAP in the weaning of mechanical ventilators. Journal of the Korean Pediatric Association, 46(12), 1200-1206. 

  17. Kirpalani, H., Millar, D., Lemyre, B., Yoder, B. A., Chiu, A., & Roberts, R. S. (2013). A trial comparing noninvasive ventilation strategies in preterm infants.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69(7), 611-620. http:// dx.doi.org/10.1056/nejm197106172842401 

  18. Klausner, J. F., Lee, A. Y., & Hutchison, A. A. (1996). Decreased imposed work with a new nasal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device. Pediatric Pulmonolgy, 22(3), 188-194. http://dx.doi.org/10.1002/(SICI) 1099-0496(199609)22:3 

  19. Lemyre, B., Davis, P. G., & De Paoli, A. G. (2002). Nasal intermittent positive pressure ventilation versus nasal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for apnea of prematurity.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1, CD002272. http://dx.doi.org/10.1002/14651858.CD002272 

  20. Lin, C. H., Wang, S. T., Lin, Y. J., & Yeh, T. F. (1998). Efficacy of nasal intermittent positive pressure ventilation in treating apnea of prematurity. Pediatric Pulmonology, 26, 349-353. 

  21. Mathews, T. J., & MacDorman, M. F. (2010). Synchronized nasal intermittent positive pressure ventilation and noenatal outcomes: A retrospective study. Pediatrics, 124(2), 517-526. http://dx.doi.org/10.1542/peds. 2008-1302 

  22. Miller, M. J., DiFiore, J. M., Strohl, K. P., & Martin, R. J. (1990). Effects of nasal CPAP on supraglottic and total pulmonary resistance in preterm infants.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68(1), 141-146. 

  23. Pantalitschka, T., Sievers, J., Urschitz, M. S., Herberts, T., Reher, C., & Poets, C. F. (2009). Randomized crossover trial of four nasal respiratory support systems for apnoea of prematurity in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Archives of Disease Fetal Neonatal Edition, 94(4), F245-F248. http://dx.doi.org/10.1136/adc.2008.148981 

  24. Park, S. K. (1996). Apnea of prematurity. Journal of the Korean Pediatric Association, 39(3), 306-312. 

  25. Ryan, C. A., Finer, N. N., & Peters, K. L. (1989). Nasal intermittent positive- pressure ventilation offers no advantages over nasal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in apnea of prematurity. American Journal of Disease of Children, 143, 1196-1198. 

  26. So, B. H., Tamura, M., Watanabe, T., & Kamoshita, S. (1995). Application of nasal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to early extubation in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Archives of Disease in Childhood, 72, F191-F193. 

  27. Tang, S., Zhao, J., Shen, J., Hu, Z., & Shi, Y. (2013). Nasal intermittent positive pressure ventilation versus nasal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in neonat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Indian Pediatrics, 50(16), 371-376. 

  28. Williams, R. N., Rankin, N., Smith, T., Galler, D., & Seakins, P. (1996). Relationship between the humidity and temperature of inspired gas and the function of the airway mucosa. Critical Care Medicine, 24, 1920-1929. 

  29. Wright, C. J., & Kipalani, H. (2011). Targeting inflammation to prevent bronchopulmonary dysplasia: Can new insight be translated into therapies? Pediatrics, 128(1), 111-126. http://dx.doi.org/10.1542/peds.2010-387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