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학생이 경험한 시뮬레이션 기반 간호교육의 디브리핑에 대한 내용분석: 호흡곤란증후군 신생아 간호를 중심으로
Content Analysis of Debriefing after Simulation-based Nursing Education on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원문보기 논문타임라인

CHNR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24 no.2, 2018년, pp.208 - 219  

강경아 (삼육대학교 간호학과) ,  김성희 (중앙대학교 적십자간호대학) ,  김신정 (한림대학교 간호학부.간호학연구소) ,  이명남 (강원대학교 보건과학대학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nursing students' experiences of debriefing after simulation-based learning and to obtain fundamental data to support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teaching strategies. Methods: Sixty-seven nursing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from April to Ma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신생아집중치료실에서 빈번하게 관찰되는 호흡곤란증후군 상황을 기반으로 시뮬레이션 실습 교육 후 디브리핑 내용을 분석하여 시뮬레이션 학습에서 효과적인 전략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시뮬레이션 실습에서 중요한 부분으로 고려되는 디브리핑 경험을 분석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그러나 일개 지역의 간호대학 4학년 학생만을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는 데는 제한점이 있다.
  • 본 연구는 신생아집중치료실에 입원한 호흡곤란증후군 환아 시나리오로 시뮬레이션 기반 간호교육 후 디브리핑을 한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이를 고려한 학습설계를 구축하여 시뮬레이션 학습의 효과적인 전략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실습 내용이 녹화된 동영상과 실습 전 학생들에게 사전 공지된 디브리핑 토론내용을 기술, 분석, 적용의 세 단계로 구조화한 질문내용에 대해 학생들이 서술한 것을 내용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호흡곤란증후군 환아 시뮬레이션 후 학생 주도의 구조화한 자가 디브리핑에 대한 내용을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 신생아집중치료실에 입원한 호흡곤란증후군 환아 시나리오로 시뮬레이션 기반 간호교육 후 학생주도의 구조화된 디브리핑 내용을 분석하기 위하여 질문을 구성하였다. Fanning과 Gaba [8]는 디브리핑의 첫 단계인 기술(description) 단계는 학습자가 체계적인 설명과 분석을 하는 도입부로써 시뮬레이션 동안 일어났던 일에 대한 재수집과 묘사 단계라고 하였고, 유추/분석(analogy/analysis) 단계는 개인이나 그룹을 포함하여 느꼈던 감정을 표현하고 시뮬레이션동안 경험했던 느낌을 발견하거나 인상 받은 내용을 토의하는 단계이며, 적용(application) 단계에서는 각각 참여자가 형성한 다양한 관점을 확립하고 실제 상황과 비교하여 경험을 일반화 및 적용하며, 그 적용가능성과 행동에 대해 평가하는 단계라고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신생아집중치료실에 입원한 호흡곤란증후군 환아 시나리오로 시뮬레이션 기반 간호교육 후 디브리핑 내용을 분석하여 이를 고려한 학습설계를 구축하여 성공적인 시뮬레이션 학습의 효과적인 전략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내용분석 방법이란? 본 연구는 시뮬레이션 기반 간호교육 후 학생주도의 구조화된 디브리핑 내용을 분석하였기 때문에 이러한 연구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내용분석 방법(content analysis)을 사용하였다. 내용분석 방법이란 내용을 기술하고 체계적으로 범주화하며, 기록된 정보의 내용을 조사하기 위해 고안된 체계적, 객관적인 방법이다[22]. 따라서 간호학생들이 신생아집중치료실에 입원한 호흡곤란증후군 환아 시나리오로 시뮬레이션 실습 후 학생주도의 구조화된 디브리핑 내용을 분석하는 방법으로 내용 분석을 선택하였다.
간호교육에서 시뮬레이션 교육의 장점은? 이에 임상현장과 유사한 상황을 안전하게 구현할 수 있는 환자 시뮬레이터(human patient simulator)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이 대두되어 현장실습을 보완하는 한 유형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시뮬레이션 교육은 임상의 실제 상황과 비슷한 시나리오를 사용하여 안전한 환경 하에서 환자 및 보호자와 의료인과의 의사소통 능력, 환자 안전 관리 능력, 다른 의료팀과의 협력 능력, 상황관리 능력을 습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2]. 더욱이 한국간호평가원에서는 간호교육 기관의 질 관리를 위해 간호대학 인증평가 시 시뮬레이션 기반 간호교육을 임상실습 교육의 10%까지 허용하였으며, 다양한 시뮬레이터 등을 필수적으로 준비해야 할 기자재로 선정하여 시뮬레이션 기반 간호교육이 점점 증대되고 있다[3].
간호교육 기관과 간호학생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나타난 영향은? 최근의 병원환경은 첨단의료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빠르게 변화하고 환자의 권리 향상 및 안위와 안전에 대한 인식이 증대됨에 따라 임상교육 환경도 변화가 불가피하게 되었다[1]. 더욱이 간호교육 기관과 간호학생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한정된 실습지로 인해 간호학생이 직접 간호를 수행하는 기회가 축소되고 관찰 위주의 실습교육이 증가하게 되었다. 이에 임상현장과 유사한 상황을 안전하게 구현할 수 있는 환자 시뮬레이터(human patient simulator)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이 대두되어 현장실습을 보완하는 한 유형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Lee MN, Kim HS, Jung HC, Kim YH, Kang KA.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scenario for simulation learning of care for children with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13;19(1):1-11. https://doi.org/10.5468/CHNR.2013.19.1.1 

  2. Kim JH, Park IH, Shin S. Systematic review of Korean studies on simulation within nursing educatio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3;19(3):307-319. https://doi.org/10.5977/jkasne.2013.19.3.307 

  3.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Certification criteria and handbook [internet]. Seoul: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2017 [cited 2017 May 10]. Available from: http://kabone.or.kr/kabon02/index04.php. 

  4. Kardong-Edgren S, Willhaus J, Bennett D, Hayden J. Results of the national council of state boards of nursing national simulation survey: Part II. Clinical Simulation in Nursing. 2012;8(4):e117-e123. https://doi.org/10.1016/j.ecns.2012.01.003 

  5. Fey MK, Scrandis D, Daniels A, Haut C. Learning through debriefing: Students' perspectives. Clinical Simulation in Nursing. 2014; 10(5):e249-e256. https://doi.org/10.1016/j.ecns.2013.12.009 

  6. Komasawa N, Sanuki T, Fujiware S, Haba M, Ueki R, Kaminoh Y, et al. Significance of debriefing methods in simulation-based sedation training courses for medical safety improvement in Japan. SpringerPlus. 2014;28(3):637. https://doi.org/10.1186/2193-1801-3-637 

  7. Dreifuerst KT. The essentials of debriefing in simulation learning: A concept analysis. Nursing Education Perspectives. 2009;30(2):109-114. 

  8. Fanning RM, Gaba DM. The role of debriefing in simulation-based learning. Simulation in Healthcare. 2007;2(2):115-125. https://doi.org/10.1097/SIH.0b013e3180315539 

  9. Lee CM, So HS, Kim Y, Kim JE, An M. The effects of high fidelity simulation-based education on clinical competence and confidence in nursing students: A systematic review.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4;14(10):850-861. 

  10. Hyland JR, Hawkins MC. High-fidelity human simulation in nursing education: A review of literature and guide for implementation. Teaching and Learning in Nursing. 2009;4(1):14-21. https://doi.org/10.1016/j.teln.2008.07.004 

  11. Neill MA, Wotton K. High-fidelity simulation debriefing in nursing education: A literature review. Clinical Simulation in Nursing. 2011;7(5):e161-e168. https://doi.org/10.1016/j.ecns.2011.02.001 

  12. Lee EJ. The cognition type of nursing student on debriefing in simulation learning: A q-methodological approach [master's thesis]. Seoul: Hanyang University; 2013. p. 1-69. 

  13. Lindamood KE, Weinstock P. Application of high-fidelity simulation training to the neonatal resuscitation and pediatric advanced life support programs. Newborn and Infant Nursing Reviews. 2011;11(1):23-27. https://doi.org/10.1053/j.nainr.2010.12.010 

  14. Statistics Korea. 2014 Causes of death statistics in 2014 [Internet]. Seoul: Statistics Korea; 2014 [cited 2017 May 15].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index.action. 

  15. Jang YS. The survey on the actual conditions of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and analysis of survival rate of high-risk newborn infants. Health Promotion Report. Seoul: Samsung Medical Center; 2010 November. Report No.:10-11. 

  16. Kim JY. Development of a scenario of simulation and analysis of the effect of debriefing: Focused on case of cerebral hemorrhage patients [master's thesis]. Daejeon: Eulji University; 2012. p. 1-75. 

  17. Sawyer T, Sierocka-Castaneda A, Chan D, Berg B, Lustik M, Thompson M. The effectiveness of video-assisted debriefing versus oral debriefing alone at improving neonatal resuscitation performance: A randomized trial. Simulation in Healthcare. 2012;7(4):213-221. https://doi.org/10.1097/SIH.0b013e3182578eae 

  18. Waznonis AR. Methods and evaluations for simulation debriefing in nursing education. The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2014;53(8):459-465. https://doi.org/10.3928/01484834-20140722-13 

  19. Jeong HI. Effects of simulation training with debriefing on knowledge and performance skill of basic CP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mong some students in health-related departments [master's thesis]. Gwangju: Chosun University; 2013. p. 1-38. 

  20. Jeong KI, Choi JY. Effect of debriefing based on the clinical judgment model on simulation based learning outcomes of end-of-life care for nursing students: A non-randomized controlled tria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7;47(6):842-853. https://doi.org/10.4040/jkan.2017.47.6.842 

  21. Cochran WG. Sampling techniques. 3rd ed. New Delhi: Wiley India; 2007. p. 10-20. 

  22. Krippendorff K. Content analysis: An introduction to its methodology. 2nd ed. Thousand Oaks, California: Sage; 2004. p. 5-20. 

  23. Kim DK, Yu JC. Mass media research. 1st ed. Seoul: Nanam; 2005. p. 25-35. 

  24. Eom MR, Kim HS, Kim EK, Seong K. Effects of teaching method using standardized patients on nursing competence in subcutaneous injection,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and problem solving abili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0;40(2):151-160. https://doi.org/10.4040/jkan.2010.40.2.151 

  25. Boet S, Bould MD, Sharma B, Revees S, Naik VN, Triby E, et al. Within-team debriefing versus instructor-led debriefing for simulation-based educatio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nnals of Surgery. 2013;258(1):53-58. https://doi.org/10.1097/SLA.0b013e31829659e4 

  26. Ha EH, Song HS. The effects of structured self-debriefing using on the clinical competency, self-efficacy,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in nursing students after simulatio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5;21(4):444-453. https://doi.org/10.5977/jkasne.2015.21.4.445 

  27. Brannagan KB, Dellinger A, Thomas J, Mitchell D, Lewis-Trabeaux S, Dupre S. Impact of peer teaching on nursing students: Perceptions of learning environment, self-efficacy, and knowledge. Nurse Education Today. 2013;33(11):1440-1447. https://doi.org/10.1016/j.nedt.2012.11.018 

  28. Linton DL, Pangle WM, Wyatt KH, Powell KN, Sherwood RE. Identifying key futures of effective active learning: The effects of writing and peer discussion. CBE Life Sciences Education. 2014;13(3):469-477. https://doi.org/10.1187/cbe.13-12-0242 

  29. Jung MS, Kwon HJ. A structural equation model on core competencies of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5;21(2):256-265. http://www.dbpia.co.kr/Article/NODE06298393 

  30. Kane J, Pye S, Jones A. Effectiveness of a simulation-based educational program in a pediatric cardiac intensive care unit. Journal of Pediatric Nursing. 2011;26(4):287-294. https://doi.org/10.1016/j.pedn.2010.05.0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