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소년의 자아분화 수준 및 자아존중감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lf-differentiation and Self-esteem on School Adjustment among Adolescents 원문보기 논문타임라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3 no.1, 2013년, pp.333 - 341  

이혜순 (동서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청소년의 자아분화, 자아존중감, 학교생활 적응과의 관계와,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는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2011년 5월 9일부터 27일까지 K시에 소재한 2개 중학교 재학생508명이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n (%), t-test, ANOVA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및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자 학교생활 적응은 학년, 성별, 성적, 모 교육수준, 가정경제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상자의 자아분화 총점 평균은 102점, 자아존중감 평균은 27.3점, 학교생활 적응 총점 평균은 63.6점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상자 학교생활 적응은 자아분화(r=.54, p<.001) 및 자아존중감(r=.52, p=.001)과 정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상자 학교생활 적응을 설명해주는 변인으로 자아분화 수준의 하위영역에서 가족퇴행, 정서적 단절, 인지 정서적 기능, 가족투사와 자아존중감, 그리고 일반적 특성에서 성별(여), 모 교육수준(대학교이상), 성적(상)이 확인되었으며, 46.5%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인간의 기본적 발달이 이루어지고 초기 소속집단인 가족적 맥락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청소년기 학교생활 적응 관리를 위한 간호중재 개발 시 가정환경을 고려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of self-differentiation, self-esteem and school adjustment among adolescents.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508 adolescents and analyzed using n (%),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아분화 및 자아존중감과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의 관계를 파악하고, 학교생활 적응에 영향하는 요인을 파악하였다. 특히 자아분화의 어떤 하부요인이 학교생활 적응에 더 중요한 요인인지 파악하기 위하여 인지․정서적 기능, 자아통합, 가족투사, 정서적 단절, 가족퇴행의 영향력을 파악함으로써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을 돕는 중재의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청소년의 자아분화, 자아존중감, 학교생활 적응과의 관계와,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 자아존중감 측정도구는 Rosenberg[20]가 개발하고 전병재[21]가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을 거친 자아존중감 척도(Self-esteem Scale; SES)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간호학과 교수 2인, 교육학과 교수1인, 중학교교사 1인에 의해 청소년에게 적합한지 내용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총 10개 문항, 4점 척도로 5개의 긍정적인 문항과 5개의 부정적인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부정형 문항은 역으로 환산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아분화 및 자아존중감과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의 관계를 파악하고, 학교생활 적응에 영향하는 요인을 파악하였다. 특히 자아분화의 어떤 하부요인이 학교생활 적응에 더 중요한 요인인지 파악하기 위하여 인지․정서적 기능, 자아통합, 가족투사, 정서적 단절, 가족퇴행의 영향력을 파악함으로써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을 돕는 중재의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모든 인간은 소속감을 느끼고 싶어 하는 인간의 기본적인 욕구인 사랑과 소속의 요구를 가지고 있는데 이것이 충족되지 못하면 어떤 문제를 초래하는가? 모든 인간은 소속감을 느끼고 싶어 하는 인간의 기본적인 욕구인 사랑과 소속의 요구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요구가 충족되지 못한 경우 신체적․정서적 문제 및 사회 적응의 문제를 초래한다[3]. 그러나 청소년의 학교생활 만족도는 교육내용 40.
학교생활 적응 영향요인에는 무엇이 있는가? 학교생활 부적응으로 인해 우울수준이 증가하고 자살생각 및 자살로 까지 이어지는 정신적 및 사회적 문제를 유발하고[5] 음주, 흡연 등과 같은 건강위험 행위가 증가한다[6]. 학교생활 적응 영향요인에는 가정환경, 학업성적, 교우관계, 교사만족도[7], 자아분화 수준[8]이 있다.
청소년들이 학교생활 적응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으로 나타나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학교생활 부적응으로 인해 우울수준이 증가하고 자살생각 및 자살로 까지 이어지는 정신적 및 사회적 문제를 유발하고[5] 음주, 흡연 등과 같은 건강위험 행위가 증가한다[6]. 학교생활 적응 영향요인에는 가정환경, 학업성적, 교우관계, 교사만족도[7], 자아분화 수준[8]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김정엽, "간호학생의 자아분화 정도와 스트레스 수준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대한 연구",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2권, 제2호, pp.238-247, 2006. 

  2. 김미경,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아분화가 자아존중감 및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3. 양선희, 손영희, 백훈정, 원종순, 유재희, 전미양, 기본간호학(4판), 현문사, 2009. 

  4.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1/index.board?bmoderead&aSeq247163 

  5. K. K. Fitzpatrick, Parameters of suicidal ideation: efficacy of a brief preventive intervention for suicidal ideation and the courses of suicidal ideation and its correlates, Ohio State Universit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2005. 

  6. 민경태, 우리나라 청소년 흡연예방교육 및 금연교육에 관한 연구, 대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7. 이미현, 부모와의 의사소통과 가족기능이 중학생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8. 송미경, 중학생이 지각한 가족응집성 및 자아분화 수준과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 대구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9. M. P. Nichols, and R. C. Schwartz, Recent Developments in Family Therapy: Integrative Models; in Family therapy: Concepts and methods(7th ed.), Allyn and Bacon, 2006. 

  10. M. Bowen, Family therapy in clinical practice, Jason Aronson, 1978. 

  11. 제석봉, 자아분화와 역기능적 행동과의 관계 : Bowen의 가족체제이론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9. 

  12. D. G. Knauth, E. A. Skowron, and M. Escobar, "Effect of differentiation of self on adolescent risk behavior: test of the theoretical model," Nursing Resarch, Vol.55, pp.336-345, 2006. 

  13. 임수경,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부모와의 관계, 친구관계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14. S. Coopersmith, The antecedents of self-esteem, W. H. Freeman, 1967. 

  15. 정문자, 여종일, "아동의 불안과 우울증상 및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및 사회적 변인", 아동학연구, 제30권, 제3호, pp.71-83, 2009. 

  16. 황매향, 여태철, "초등학생의 적응과 자아존중감의 관계" 아동교육, 제15권, 제3호, pp.165-185, 2006. 

  17. 이혜순, 옥지원, "청소년의 충동성, 자아존중감, 우울수준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호, pp.438-446, 2012. 

  18. N. C. Winters, K. Myers, and L. Proud, "Ten-year review of rating scales. III: scales assessing suicidality, cognitive style, and self-esteem,"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Vol.41, pp.1150-1181, 2002. 

  19. J. Cohen,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2nd ed.),Lawrence Eribaum Associates, 1988. 

  20. M. Rosenberg,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5. 

  21. 전병재, "Self-esteem: A test of its measurability", 연세논총, 제11권, pp.107-130, 1974. 

  22. 박현선, 빈곤청소년의 학교 적응유연성,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8. 

  23. 정미란, 청소년의 발달시기에 따른 자아분화와 정신건강과의 관계,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4. 

  24. 이혜순, "청소년의 자아분화 수준 및 가족기능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아동간호학회지, 제16권, 제4호, pp.297-303, 2010. 

  25. 김정엽, 조현숙, "고등학생의 자아분화 정도 및 가족기능과 스트레스 수준에 대한 연구", 아동간호학회지, 제14권, 제1호, pp.61-70, 2008. 

  26. 강경아, 김신정, 송미경, "중학생이 지각한 자아존중감, 생의 의미 및 영적 안녕에 관한 연구", 아동간호학회지, 제15권, 제4호, pp.343-349, 2009. 

  27. 김영란, 안민주, "결손가정 아동과 정상가정 아동의 성역할 정체감 및 자아존중감 비교 연구", 인간이해, 제26권, pp.105-124, 2005. 

  28. 주소희, 조성우, "이혼가정자녀의 행동적응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요인과 아동의 이혼지각 분석", 한국사회복지학, 제56권, 제4호, pp.215-238. 2004. 

  29. 박연수, 이혼가정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30. H. C. Waxman, S. L. Huang, and Y. N. Padron, "Motivation and learning environment differences between resilient and non-resilient Latino middle school students," Hispanic Journal of Behavioral Sciences, Vol.19, pp.137-155, 1997. 

  31. 김순희,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 적응에 관한 연구,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32. 고명숙, "부모의 양육태도가 가족응집성과 청소년의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 아동간호학회지, 제16권, 제3호, pp.195-202, 2010.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