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3 no.1, 2013년, pp.467 - 481
김미용 (새일초등학교) , 배영권 (대구교육대학교 컴퓨터교육과)
The smart education recognized new educational paradigm is going to be introduced in earnest in the field from 2015. We develop the instructional design model for smart education to be able to provide a guide to design the instruction which has a speciality compared to current instruction. Furthermo...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스마트교육이 본격적으로 도입된 시기는? | 이미 올 3월부터 세종시에는 미래형 학교인 스마트스쿨이 신설되어 운영되고 있으며, 전국적으로 교과부 및 각 시·도 교육청 지정 스마트교육 모델 연구학교가 41개교에서 운영되고 있다[5]. 스마트교육은 이러한 시범운영 기간을 거쳐 2015년부터 일선 현장에 본격적으로 도입될 전망이다. | |
미래형 학교인 스마트스쿨이 신설된 지역은? | 이미 올 3월부터 세종시에는 미래형 학교인 스마트스쿨이 신설되어 운영되고 있으며, 전국적으로 교과부 및 각 시·도 교육청 지정 스마트교육 모델 연구학교가 41개교에서 운영되고 있다[5]. 스마트교육은 이러한 시범운영 기간을 거쳐 2015년부터 일선 현장에 본격적으로 도입될 전망이다. | |
스마트교육을 하는데 있어 수업이란? | 수업이란 학습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 학습 상황을 의도적으로 조성하는 일련의 과정으로[18], 수업 설계란 수업을 실행하는데 있어 필요한 제반 활동과 구체적인 요소들을 계획하는 활동을 말한다[19]. 따라서 수업 설계자가 어떠한 설계 관점을 가지고 수업을 설계하느냐에 따라 목표 달성의 정도는 매우 달라진다[20]. |
교육과학기술부, '스마트교육 추진 전략' 보도자료, 2011. 06. 27.
2011년 6월 교육과학기술부에서는 ‘스마트교육 추진 전략’을 발표하였으며[2], 그 이후 약 4달 만에 ‘스마트 교육 본격 도입을 위한 실행계획’이 발표되었다[3].
교육과학기술부, '스마트교육 본격 도입을 위한 실행계획 발표' 보도자료, 2011. 10. 12.
2011년 6월 교육과학기술부에서는 ‘스마트교육 추진 전략’을 발표하였으며[2], 그 이후 약 4달 만에 ‘스마트 교육 본격 도입을 위한 실행계획’이 발표되었다[3].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스마트교육 모델 연구학교워크숍 자료집', 연구보고 TM 2012-17.
이미 올 3월부터 세종시에는 미래형 학교인 스마트스쿨이 신설되어 운영되고 있으며, 전국적으로 교과부 및 각 시·도 교육청 지정 스마트교육 모델 연구학교가 41개교에서 운영되고 있다[5].
김미용, 배영권, "스마트교육 현장 적용을 위한 스마트교육 모형 개발",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제13권, 제5호, pp.77-92, 2012.
정부의 이러한 구체적인 정책의 영향으로 학계에서도 스마트교육에 관한 연구 및 각종 포럼 등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그 연구의 폭 또한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6][7].
또한 김미용․배영권[6]은 스마트교육의 총체적인 방향을 제시한 바 있다.
따라서 스마트교육이 국가의 교육 정책의 일환으로, 미래사회를 대비하는 혁신적인 교육 형태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일선 교사들이 스마트교육 환경 하에서 어떤 형태로 수업을 진행하여야 하는가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을 제공할 수 있는 수업 설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6][7].
김미용․배영권[6]은 스마트교육을 교수자적 관점에서 접근하여 학습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학습자 중심의 지능형 맞춤 교육 형태로 정의하였으며, 최신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상호작용을 강조하였다.
이는 이미 오래전부터 강조해 오던 상호작용을 통한 학습자 중심의 활동이라는 개념 외에 개방, 공유, 참여를 기반으로 한 웹 2.0의 정신에 부합하는 상호작용으로 스마트교육은 웹 2.0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6][7][17].
다만 임걸[8]이 수업체제개발(ISD: Instructional Systems Development)의 대표적인 모형인 ADDIE 모형을 근간으로 스마트교육 교수․ 학습 모형을 제시한 바 있으며, 김미용․배영권[6]은 스마트교육을 위한 교육 방법으로 도입, 전개, 정리에 따른 단계적 절차를 제시한 바 있다.
21세기 학습자의 역량에 관해 용어상의 차이는 다소 있으나 스마트교육의 목표로 문제해결력, 협업, 의사소통, 창의성, 인성 등을 공통적으로 중요하게 지목하였으며, 특히 가장 중요한 항목으로 문제해결력 향상을 목표로 삼았다는 사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6].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선행연구로 김미용․배영권[6]은 스마트교육의 교육 방법으로 도입, 전개, 정리에 따른 절차적 성격을 띤 교수·학습 단계를 제시한 바 있다.
스마트교육에 적합한 교육 내용으로는 일상생활과 연계된 내용이 효과적이며[6][7], 학생들은 문제 상황을 인지하고 토론과 의사소통을 통해 생각을 모은다.
강인애, 임병노, 박정영, "스마트러닝의 개념화와 교수학습전략 탐색: 대학에서의 활용을 중심으로", 교육방법연구, 제24권, 제2호, pp.238-303, 2012.
정부의 이러한 구체적인 정책의 영향으로 학계에서도 스마트교육에 관한 연구 및 각종 포럼 등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그 연구의 폭 또한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6][7].
그러나 스마트교육에 관한 이론적 기틀이나 실제 수업에 직접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현장지향적인 연구는 미흡한 편이다[7].
최근 임걸[8]이 스마트러닝 설계 원리를 바탕으로 스마트러닝 교수․학습 모형을 제시한 바 있으며, 강인애 외[7]는 스마트러닝 교수․학습 전략을 제안하였다.
따라서 스마트교육이 국가의 교육 정책의 일환으로, 미래사회를 대비하는 혁신적인 교육 형태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일선 교사들이 스마트교육 환경 하에서 어떤 형태로 수업을 진행하여야 하는가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을 제공할 수 있는 수업 설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6][7].
강인애 외[7]는 스마트기기 등을 활용하여 학습에서의 상호작용을 최대화한 학습이라고 정의하였으며, 스마트러닝의 특징을 반영한 학습 환경을 강조하였다.
또한 강인애 외[7]는 사회성, 상시성, 적응성, 실제성, 테크놀로지 기반을 스마트러닝 환경에서의 학습 활동의 특성으로 제시하였다.
이는 이미 오래전부터 강조해 오던 상호작용을 통한 학습자 중심의 활동이라는 개념 외에 개방, 공유, 참여를 기반으로 한 웹 2.0의 정신에 부합하는 상호작용으로 스마트교육은 웹 2.0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6][7][17].
스마트교육에 적합한 교육 내용으로는 일상생활과 연계된 내용이 효과적이며[6][7], 학생들은 문제 상황을 인지하고 토론과 의사소통을 통해 생각을 모은다.
임걸, "스마트 러닝 교수학습 설계모형 탐구", 한국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제14권, 제2호, pp.33-45, 2011.
최근 임걸[8]이 스마트러닝 설계 원리를 바탕으로 스마트러닝 교수․학습 모형을 제시한 바 있으며, 강인애 외[7]는 스마트러닝 교수․학습 전략을 제안하였다.
한편 스마트교육의 특징을 제안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김희봉 외[17]는 이동성, 편재성, 쌍방향성, 즉시성, 현실성, 협력성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하였으며, 임걸[8]은 풍부한 학습자원의 활용, 상호작용을 통한 참여적 환경, 실제적 맥락과 경험을 스마트러닝의 설계를 위한 특징적 요소로 파악하였다.
다만 임걸[8]이 수업체제개발(ISD: Instructional Systems Development)의 대표적인 모형인 ADDIE 모형을 근간으로 스마트교육 교수․ 학습 모형을 제시한 바 있으며, 김미용․배영권[6]은 스마트교육을 위한 교육 방법으로 도입, 전개, 정리에 따른 단계적 절차를 제시한 바 있다.
이미 임걸[8]은 ADDIE 모형을 기반으로 스마트교육을 위한 교수․ 학습 모형을 개발한 바 있으나, 수업 설계를 위한 구체적인 안내는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조영남, "구성주의와 객관주의 수업설계 모형의 비교 연구", 중등교육연구, 제56권, 제3호, pp.67-92, 2008.
학교 교육의 핵심은 수업으로, 교사의 전문성은 수업을 설계하는 데 있다[9][10].
수업 설계 모형은 수업 목표를 달성하는데 있어 필요한 수업체제의 제반 구성요소들이 상호 유기적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9][24].
박기용, 배영직, 강이철, "교육실습에서 예비교사의 수업설계 과정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6권, 제3호, pp.169-197, 2009.
학교 교육의 핵심은 수업으로, 교사의 전문성은 수업을 설계하는 데 있다[9][10].
김용, 손진곤, 스마트폰 활용을 위한 초?중등 교육용 이러닝 시스템 설계에 관한 연구,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제12권, 제4호, pp.135-143, 2011.
J. Stav, K. Nielsen, G. Hansen-Nygard, and T. Thorseth, "Experiences Obtained with Integration of Student Response Systems of iPod Touch and iPhone into e-Learning Environments," Electronic Journal of e-Learning, Vol.8, No.2, pp.179-190, 2010.
스마트교육에 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스마트폰이나 스마트패드와 같은 최신 테크놀로지를 교육 분야에 활용한 연구에서부터 스마트교육 환경과 관련한 기술 및 시스템 구축에 이르기까지 그 연구의 폭은 매우 넓고 다양한 편이다[11-15].
C. Cheong, V. Bruno, and F. Cheong, "Designing a Mobile-app-based Collaborative Learning System,"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Education, Vol.11, pp.97-119, 2012.
스마트교육에 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스마트폰이나 스마트패드와 같은 최신 테크놀로지를 교육 분야에 활용한 연구에서부터 스마트교육 환경과 관련한 기술 및 시스템 구축에 이르기까지 그 연구의 폭은 매우 넓고 다양한 편이다[11-15].
이금자, 전우천, "발달장애학생을 위한 상황학습 기반 스마트러닝 시스템의 개발", 한국초등교육, 제23권, 제1호, pp.251-268, 2012.
스마트교육에 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스마트폰이나 스마트패드와 같은 최신 테크놀로지를 교육 분야에 활용한 연구에서부터 스마트교육 환경과 관련한 기술 및 시스템 구축에 이르기까지 그 연구의 폭은 매우 넓고 다양한 편이다[11-15].
김희봉, 김소현, 박종민, "스마트러닝 환경에서 토론 활성화 방안 도출", 학습과학연구, 제5권, 제1호, pp.79-113, 2010.
한편 스마트교육의 특징을 제안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김희봉 외[17]는 이동성, 편재성, 쌍방향성, 즉시성, 현실성, 협력성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하였으며, 임걸[8]은 풍부한 학습자원의 활용, 상호작용을 통한 참여적 환경, 실제적 맥락과 경험을 스마트러닝의 설계를 위한 특징적 요소로 파악하였다.
이는 이미 오래전부터 강조해 오던 상호작용을 통한 학습자 중심의 활동이라는 개념 외에 개방, 공유, 참여를 기반으로 한 웹 2.0의 정신에 부합하는 상호작용으로 스마트교육은 웹 2.0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6][7][17].
스마트교육 환경에서는 기존의 교육 환경과 차별화된 이동성, 쌍방향성, 즉시성의 특성을 갖고 있으므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활용함으로써 기존 환경에서 할 수 없었던 학생들의 다양한 학습 활동을 가능하게 한다[17].
J. Jarolimek, and C. D. Foster,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elementary school(8th ed.), NJ: Prentice Hall, 2004.
수업이란 학습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 학습 상황을 의도적으로 조성하는 일련의 과정으로[18], 수업 설계란 수업을 실행하는데 있어 필요한 제반 활동과 구체적인 요소들을 계획하는 활동을 말한다[19].
김형균, "반성적 실과수업을 위한 수업 설계 모형과 전략", 제15권, 제1호, pp.23-48, 2008.
수업이란 학습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 학습 상황을 의도적으로 조성하는 일련의 과정으로[18], 수업 설계란 수업을 실행하는데 있어 필요한 제반 활동과 구체적인 요소들을 계획하는 활동을 말한다[19].
엄우용, "설계이론과 수업체제설계: 성찰적 비판", 교육정보방송연구, 제6권, 제2호, pp.109-129, 2000.
따라서 수업 설계자가 어떠한 설계 관점을 가지고 수업을 설계하느냐에 따라 목표 달성의 정도는 매우 달라진다[20].
허희옥, 임규연, 서정희, 김영애, '21세기 학습자 및 교수자 역량 모델링',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구보고 KR 2011-2.
이는 2011년 한국교육학술정보원[21]에서 21세기 학습자 역량에 대해 조사한 내용과 거의 비슷한 연구 결과로, 이 보고서에 의하면 21세기에 필요한 학습자 역량으로 문제해결능력, 협력, 창의적 능력, 의사소통능력, 윤리의식 등을 강조하였다.
American Association of School Librarians, "Standards for the 2lst-century learner", 2009, Available at http://www.ala.org/aasl/guidelinesand - standards/learningstandards/standards, http://formanlibrary.wikispaces.com/file/view/A ASL+Implementation+plan.pdf
또한 국외에서도 21세기 학습자의 기본 역량에 대한 기준안(Standards)을 개발한 바 있는데[22], 그 내용을 살펴보면 21세기 학습자에게 필요한 리터러시(literacy), 테크놀로지, 분석적 사고, 정보 기술(skills)에 대한 기준안을 4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제시하였으며, 이 지표 안에는 앞에서 강조했던 21세기 학습자의 역량들이 포함되어 있다.
정재삼, "교수설계(ID)와 교수체제개발(ISD)의 최근 경향과 논쟁 -21세기를 대비하는 교수공학의 지식기반 구축을 위하여-", 교육공학연구, 제 12권, 제1호, pp.41-74, 1996.
전통적인 수업체제개발의 대표적인 모형인 ADDIE 모형은 분석(Analysis), 설계(Design), 개발(Development), 실행(Implementation), 평가(Evaluation)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5가지 구성요소는 수업이라는 체제를 개발하기 위한 핵심 활동으로 알려져 있다[23].
이혜정, 최명숙, "중등학교 교사를 위한 웹기반 수업설계지원시스템(WIDSS)의 개발 및 적용", 교육정보미디어연구, 제16권, 제2호, pp.223-248, 2010.
수업 설계 모형은 수업 목표를 달성하는데 있어 필요한 수업체제의 제반 구성요소들이 상호 유기적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9][24].
이유나, 이상수, "창의적 문제해결을 위한 블렌디드 수업모형 개발", 교육공학연구, 제23권, 제2호, pp.135-159, 2007.
박남수, "초기 사회과에서의 문제해결학습의 수용과 그 한계", 사회과교육연구, 제17권, 제2호, pp.65-76, 2010.
아이디어 생성이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산출하기 위해 발산적 사고를 사용한다는 측면에서 창의적 문제해결 모형(CPS, Creative Problem Solving)에서 말하는 단계와 흡사하나, 창의적 문제해결 모형이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사고과정에 초점이 맞춰져있는 반면[26], 본 연구에서 제안한 수업 설계 모형은 협업을 통한 문제해결력을 강조한다는 측면에서 차이점이 있다.
따라서 사전설계 단계에서 제시한 교수․학습 절차가 문제해결학습의 일련의 과정인 ‘문제파악-문제추구-문제해결’과 비슷하게 설정되어 있기는 하나[26], 협업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고, 문제해결 과정에서 공유와 참여를 바탕으로 한 상호작용을 도모한다는데 차이점이 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