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 및 기능적 특성을 고려한 복합환승시설 유형분류
Classification of Multi-modal Transfer Center Considering the Regional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원문보기

LHI journal of land, housing, and urban affairs, v.4 no.1, 2013년, pp.89 - 98  

김태균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이삼수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변완희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초록

최근 도시의 정책적 패러다임이 지속가능한 도시성장관리 중심으로 전환됨에 따라 교통정책도 승용차중심에서 대중교통중심으로 정책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복합환승센터의 도입은 매우 필연적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국가에서 주도하는 국가기간망중심의 환승센터 뿐 만 아니라 광역 및 지역중심의 환승시설에 대한 도입도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효과적인 복합환승시설 도입을 위해 다양한 지역적 특성(영향권, 입지위치, 도시규모, 도시기능)과 환승시설기능(환승공간 이용방법, 연계교통수단)을 고려하여 66개의 사례를 유형화하였다. 또한 통계적인 유의성 검정을 통해 영향권-연계교통수단-도시기능조합과 도시규모-입지위치조합의 2가지 복합화된 유형을 제시하였다. 유형분류를 이용한 기존의 66개 사례지역을 정리해 본 결과 국내외 모두 비교적 규모가 큰 대도시를 중심으로 지역간 연계를 기반으로 하는 복합환승시설이 주류를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향후 복합환승시설에 대한 자료가 지속적으로 축적되어질 경우 좀 더 신뢰성이 높은 유형분류의 결과를 기대해 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recent years, it was recognized that aurban policy paradigm of sustainable urban growth management and transportation policies have been shifted : from the era of automobile-oriented policy to the era of public transport policy. Against this backdrop, the introduction of the multi-modal transfer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사업지구 계획단계에서의 효율적인 복합환승시설 도입을 위한 유형분류를 영향권별, 환승공간 이용방법, 연계교통수단, 도시규모, 입지위치, 도시기능에 따른 유형분류의 대분류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각 대분류의 주제별 카테고리를 토대로 카테고리를 복합화하여 복합환승시설의 유형을 분류하고자 하였다.
  • 그러나 카테고리를 복합화 할 경우 영향권-연계교통수단도시기능은 복합화가 가능하나 도시규모-입지위치까지 연계되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복합카테고리 설정을 위한 유의한 카테고리 선정은 영향권-연계교통수단-도시기능의 조합과 도시규모-입지위치의 조합 두가지 경우가 나타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영향권-연계교통수단-도시기능의 조합과 도시규모-입지위치 조합에 대해 각각의 복합카테고리를 설정하기로 하였다.
  • 을 대상으로 지역 및 기능적 특성을 고려하여 6개의 유형분류에 적용하였다. 또한 합리적인 유형분류를 위해 각 카테고리간 독립성 검증을 통해 유의성을 확보하여 각 유형분류 카테고리를 복합화하여 복합환승시시설의 유형을 재분류하고자 하였다.
  • 합리적인 유형분류를 위해 설명변수로서 각 카테고리간 동질한 성질이 배제되어야 하므로 이에 대한 검정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각 카테고리간의 독립성 검정을 통해 각 카테고리간의 유의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 그러나 「제1차 복합환승센터 개발 기본계획(2011-2015)」에서 제시하고 있는 유형분류는 매우 포괄적이며, 그 외의 기존연구에서도 기술적인 부문에 치중하고 있어 사전검토에 적용하기에는 다소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복합환승시설을 기능 및 지역적 특성에 따라 유형분류하고, 유형분류를 통해 계획 및 운영되고 있는 대표적인 복합환승시설의 유형을 분석하여 시설도입을 위한 계획단계부터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특정사업지구에 대중교통 복합환승시설을 도입하는데 있어서 시설유형을 결정하는데 필요한 특성을 분류하고자 하였다. 특성분류에 필요한 유형은 「개발기본계획」, 선행연구 및 전문가의견 수렴을 통해 영향권, 환승공간 이용방법, 연계교통수단, 도시규모, 입지위치, 도시기능 등 6개의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효과적인 복합환승시설 도입을 위해 다양한 지역적 특성(영향권, 입지위치, 도시규모, 도시기능) 과 환승시설기능(환승공간 이용방법, 연계교통수단)을 유형화하고 이를 복합화하여 향후 복합환승시설 도입계획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는 통계적인 유의성 검정을 통해 영향권-연계교통수단-도시기능조합과 도시규모-입지위치조합의 2가지 복합화된 유형을 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최근 도시정책의 패러다임은 어떻게 바뀌고 있는가? 최근 도시정책의 패러다임은 개발위주의 정책에서 세계적인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도시 경제・사회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꾀하는 운영관리중심의 정책으로 전환되고 있다.
지속가능한 도시발전을 위해 정부가 추진하는 것은? 이러한 배경하에 정부는 철도역, 버스터미널, 공항, 항만 등 주요 교통시설에서 대중교통수단을 자유롭게 갈아타고, 상업・문화・업무 등 다양한 사회경제활동을 영위할 수 있도록 복합환승센터로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현재 국가에서 계획 중인 복합환승센터는 「제1차 복합환승센터 개발 기본계획(2011-2015)」을 기준으로 유형을 분류하고 있다.
현재 국가에서 계획 중인 복합환승센터는 무엇을 기준으로 유형을 분류하고 있는가? 이러한 배경하에 정부는 철도역, 버스터미널, 공항, 항만 등 주요 교통시설에서 대중교통수단을 자유롭게 갈아타고, 상업・문화・업무 등 다양한 사회경제활동을 영위할 수 있도록 복합환승센터로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현재 국가에서 계획 중인 복합환승센터는 「제1차 복합환승센터 개발 기본계획(2011-2015)」을 기준으로 유형을 분류하고 있다. 그러나 국가에서 주도하고 있는 복합환승센터 개발계획은 주로 KTX역사를 중심으로 계획되어 있어 배후지역의 교통체계가 대중교통중심의 교통체계가 아닌 승용차중심의 교통체계인 경우 그 효과는 기대에 못 미치게 될 것으로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건설교통부(2004), 대중교통환승센터 표준화 설계기준 및 모형에 관한 연구. 

  2. 국토해양부(2011), 입체.복합 공간계획 사례집. 

  3. 국토해양부(2011), 제1차 복합환승센터 개발 기본계획('11-'15). 

  4. 권영종, 김황배(2005), "대중교통환승센터 유형별 설계기준 정립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40(2): 121-131. 

  5. 김수철, 임재경(1995), 대중교통환승체계의 구축방안, 교통개발연구원. 

  6. 김응철, 조용선(2008), "입체환승시설의 유형분류 및 기능분석", 한국도로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89-96. 

  7. 김태균, 최대식, 장인석(2010), 사업지구내 신교통시스템 도입 방안 연구, 토지주택연구원. 

  8. 조성윤(2005), 대중교통 환승센터의 체계정립 방안에 관한 연구, 울산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9. 한국교통연구원(2009), 세계 복합환승센터 사례집. 

  10. 황연하(2007), "환승센터 설계기준 개발방향에 관한 연구", 교통기술과 정책, 4(1): 115-130. 

  11. Kasprisim, R. and M. LaFond (1991), Major Activity Center PRT Circulator System Intermodal Transfer Station Design and Visual Impact Study. 

  12. Peterson, S. G. and R. H. Braswell (1972), "Planning and Design Guidelines for Mode Transfer Facilities", Traffic Quarterly, 26(3): 405-423. 

  13. Reynolds, M. M. and C. D. Hixson (1992), "Transit vehicle meets system : A method for measuring transfer times between transit routes",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349: 35-41. 

  14. Volinski, J. and O. Page (2006), "Developing Bus Transfer Facilities for Maximum Transit Agency and Community Benefit",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955: 3-7. 

  15. Vuchic, V. R. and R. M. Stanger (1979), Design of Bus-Rail Transit Facilities. 

  16. Vuchic, V. R. and S. Kikuchi (1974), "Design of Outlying Rapid Transit Station Areas",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505: 1-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