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알레르기 비염 동물 모델에서 유산균 발효 신이(辛夷)의 효과
The Effects of Probiotics-Fermented Magnolia Denudata in Ovalbumin Induced Allergic Rhinitis Animal Model 원문보기

韓方眼耳鼻咽喉皮膚科學會誌 = The journal of Korean Medicine Ophthalmology & Otolaryngology & Dermatology, v.26 no.1, 2013년, pp.35 - 49  

송민경 (동국대학교 대학원 한의학과 안이비인후피부과교실) ,  홍승욱 (동국대학교 대학원 한의학과 안이비인후피부과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We aimed to determine therapeutic effects of probiotics-fermented Magnolia denudata(MD) in the allergic rhinitis model mice. Methods : Polyphenol production,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NO inhibition of fermented MD by different bacterial strains were evaluated to select the 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辛夷 자체의 생약으로서의 효과 이외에, 발효 辛夷는 biotransformation을 거치므로 약리 활성 증가, 체내 흡수 증가 등의 유익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발효 후 멸균 처리를 거치지 않은 제제는 생균을 함께 투여하게 되므로 유익균으로서의 작용을 유지하게 하여, 생약 투여나 발효 처리로 기대되는 항알레르기 작용 및 면역 조절 등에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 발효에 가장 적합한 균주를 선별하기 위해 각 균주별 발효 辛夷의 폴리페놀 생산량과 DPPH radical 소거 능을 측정하고, 항산화 효과가 가장 높은 균주를 택해 NO 생성 억제율을 측정하여 최적의 발효 시간을 정하였다. 발효 辛夷의 알레르기 비염에 대한 치료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흰 쥐에 난알부민(Ovalbumin, OVA)을 이용하여 알레르기 비염을 유발하고 발효 辛夷를 투여한 후, 혈액학적 변화와 면역학적 변화를 측정하고 행동 평가 및 조직학적 분석을 시행하여 유의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이로 인해 혈관투과성 증가, 국소 부종 등의 알레르기 반응이 나타난다31). 본 실험에서도 OVA 특이 IgE를 측정하여 각 실험군이 IgE 매개 알레르기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정상군에서는 OVA 특이 IgE 항체 역가가 나타나지 않았으므로 본 실험의 항체 분석이 타당함을 보여주며, 대조군에서는 638ng/㎖의 역가를 나타내어 일차 감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 이에 저자는 임상적으로 비염 및 부비동염에 다용되는 약재인 辛夷를 유익균을 사용하여 발효시킴으로서 알레르기 비염의 예방 및 치료에 있어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리라 생각하고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辛夷 자체의 생약으로서의 효과 이외에, 발효 辛夷는 biotransformation을 거치므로 약리 활성 증가, 체내 흡수 증가 등의 유익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 이에 저자는 임상적으로 비염 및 부비동염에 다용되는 약재인 辛夷를 유익균을 사용하여 발효시킴으로서 알레르기 비염의 예방 및 치료에 있어 긍정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으리라 기대하고 본 연구를 하였다. 발효에 가장 적합한 균주를 선별하기 위해 각 균주별 발효 辛夷의 폴리페놀 생산량과 DPPH radical 소거 능을 측정하고, 항산화 효과가 가장 높은 균주를 택해 NO 생성 억제율을 측정하여 최적의 발효 시간을 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辛夷란 무엇인가? 한편 辛夷(Magnolia denudata, MD)는 목련과(Magnoliaceae)에 속한 낙엽 관목인 자목련 혹은 백목련의 花를 건조한 것으로3), 性은 溫, 無毒하고 味는 辛하여 肺, 胃經으로 歸經하며, 散風寒 通鼻竅하는 효능이 있어 風寒頭痛, 鼻淵, 鼻塞不通, 鼻流濁涕 등을主治4)하여 비염, 부비동염 등에 주로 사용된다.
발효 한약재는 발효 전에 비해 어떠한 장점을 지녔는가? 발효법은 한약 修治法 중 하나로, 한약성분의 체내 흡수율과 생체 이용률을 극대화시킨 방법1)이다. 발효 한약재는 발효 전에 비해 대체로 그 성미, 약효, 안전성 등이 증가되어 약효가 뛰어나며 소화도 용이하고 유효성분의 흡수율이 훨씬 높아서2) 그 유용성이 인정되고 있다.
辛夷의 성분에는 무엇이 있는가? 성분으로는 magnolin, magnosalin, magnosalicin 등의 lignan계열의 물질, α-pinene, cineole, citral, metylchavicol 등의 정유, liriodenine, remerine, anonaine, glaucine 등의 alkaloid 등이 알려져 있다5). 약리작용으로는 수렴작용, 모세혈관 확장작용, 항염증작용, 혈압강하작용, 진통, 진정작용, 피부진균과 포도상구균 억제작용 등이 보고되었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Jung YJ, Han DO, Choi BH, Park C, Lee HJ, Kim SH, et al. Effect of Fermented Herbal Extracts, HP-1 on Enzyme Activities and Gene Expressions Related to Alcohol Metabolism in Ethanol-loaded Rats. Korean J.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007;21 (2):387-91. 

  2. Kim YM. A Study on the Trend of Researches in Fermented Herb Medicines. Master's Thesis, Kyungwon University. 2009. 

  3. National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Herbology. Herbology. Seoul:Younglimsa. 2000:133-4. 

  4. The Chinese Medicine Dictionary Compilation Committee. Chinese Medicine Dictionary. Seoul:Jungdam. 1998:3429-34. 

  5. The Pharmacognosy Textbook Compilation Committee. Pharmacognosy. Seoul: Dongmyungsa. 2006:577-9. 

  6. Noh JH. Phylogenetic Analysis and Identification for Molecular Markers of Magnoliae Flos based on the trnL-F and ndhF Sequences. Master's Thesis, Kyunghee University. 2009. 

  7. Lim JP, Park YS.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the Ethanol Extract from Magnoliae Flos on PAR2-mediated Edema. Korean J. Medicinal Crop Sci. 2005;13(6):245-9. 

  8. Kim DY, Jeong WS, Moon HC, Park SJ. Water Extract of Flowers of Magnolia Denudata Inhibits LPS-induced Nitric Oxide and Pro-inflammatory Cytokines Production in Murine Peritoneal Macrophage by Inhibiting NF-kB Activation. Korean J.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007; 21(4):916-20. 

  9. Han YM, Lim GS. Studies on the Inhibitory effect of anaphylactic reaction by Shinisan. The Journal of Oriental Medical Surgery, Ophthalmology & Otolaryngology. 1999;12(1): 1-17. 

  10. Choi SH, Bae EO, Lim DK, Kim YR. Effects of Some Medicinal Plants on 48-hour Homologous Passive Cutaneous Anaphylaxis and Chemical Mediators. Yakhak Hoeji. 1992;36(4):357-69. 

  11. Kim WS, Seo YB, Kil GJ, Lee YC. The Effects of the Extracts form Magnolia Flos(OMF) on an Anti-allergic Action on B cells and Mast cells of the BALB/c Mice Activated by rHRF. Korean J. Oriental Medical Physiology & Pathology. 2001;15 (6):917-26. 

  12. Jeon CK, Hwang CY. Inhibitory Effect of Immediate-Type Allergic Reaction by Magnoliae flos. The Journal of Oriental Medical Surgery, Ophthalmology & Otolaryngology. 1999;12(1):36-46. 

  13. Lee YG, Chae BY. An Experimental Study of Sinichengpaeum on the anti-allergic effect. The Journal of Oriental Medical Surgery, Ophthalmology & Otolaryngology. 2000;13 (2):165-81. 

  14. Kang SH, Shim SY, Byun HS, Kim KJ. An Experimental Study of Sinichengpaeum on the allergic rhinitis. The Journal of Korean Oriental Medical Ophthalmology & Otolaryngology & Dermatology. 2005;18(3): 18-25. 

  15. Kim UH, Kim KJ. The Effects of Sinichengpae-um in Allergic Rhinitis Model Rats. The Journal of Korean Oriental Medical Ophthalmology & Otolaryngology & Dermatology. 2006;19(3):60-7. 

  16.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Otorhinolaryngology. Seoul:Ilchokak. 2007:269-80. 

  17. Son SY, Son BI edit. Sinnongbonchogyeong. Taiwan:Wu zhou publisher. 1985:41. 

  18. Park EJ. Jung KM. A Literature Study on Chronic Sinusitis in childhood. J. Korean Oriental Pediatrics. 1989;3(1):23-40. 

  19. Bradley SM, Neumann VC, Barr K, Troughton PR, Astbury C, Bird HA, et al. Study of bacterial antibody levels and faecal fliora in rheumatoid arthritis patientis taking sulphasalazine. Rheumatology. 1993;32(8):683-8. 

  20. Back YM, Kim KS, Lee YW, Jo JK, Yu HS. Health Improvement and Treatment Effect of Probiotics. Journal of the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Daejeon University. 2010;19(1): 25-34. 

  21. Park MS, Ji GE. Research Trends in Bifidobacterium. KSBB Journal. 2010;25(4): 319-29. 

  22. Han HS, Park WS, Lee YJ. Studies on the Immuno Modulating Activity of Fermented Artemisiae Argyi Folium Extract. J. herbology. 2008;23(3):103-12. 

  23. Park EK, Sung JH, Trinh HT, Bae EA, Yun HK, Hong SS, et al. Lactic acid bacterial fermentation increases the antiallergic effects of Ixeris dentate. J. Microbiol. Biotechnol. 2008;18(12):308-13. 

  24. Kang DH, Kim HS. Functionality Analysis of Korean Medicine Fermented by Lactobacillus Strains. Kor. J. Microbiol. Biotechnol. 2011;39(3):259-65. 

  25. Lee SG, Han KS, Jeong SG, Oh MH, Jang AR, Kim DH, et al. A Study on the Sensory Characteristic of Yogurt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Lactobacillus plantarum LHC52 Isolated from Kimchi.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010;30(2):328-35. 

  26. Hui YH, Meunier-Goddik L, Hansen AS, Josephsen J, Nip WK, Stanfield PS, et al. Kimchi: Handbook of food and beverage fermentation technology. New York:Marcel Dekker. 2004:621-34. 

  27. Chang SK, Kim HJ.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sausage fermented by Leuconostoc citreum. Korean J Food Cookery Sci. 2005;21(1):33-9. 

  28. Lee SH. The Effects of Anti-cancer Response of Bifidobacterium breve. Master's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1995. 

  29. Lee JS. Eosinophil and PAF. Korean Journal of Asthma, Allergy and Clinical Immunology. 1993;15(2):173-4. 

  30. Pitchford SC. Defining a role for platelets in allergic inflammation. Biochem Soc Trans. 2007;35(5):1104-8. 

  31. Niers LE, Timmerman HM, Rijkers GT, Bleek GM, Uden NO, Knol EF, et al. Identification of strong interleukin-10 inducing lactic acid bacteria which downregulate T helper type 2 cytokines. Clin Exp Allergy. 2005;35(11): 1481-9. 

  32. Kim JY, Choi YO, Ji GE. Effect of oral probiotics (Bifidobacterium lactis AD011 and Lactobacillus acidophilus AD031) administration on ovalbumin-induced food allergy mouse model. J Microbiol Biotechnol. 2008;18(8):1393-40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