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채굴적에 의한 지반침하 사례 분석을 통한 침하발생 범위의 추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diction of Surface Subsidence Zone through the Case Studies on Mined-out Area 원문보기

터널과 지하공간: 한국암반공학회지 =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v.23 no.1, 2013년, pp.31 - 41  

김병렬 (강원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대학원) ,  이승중 (강원대학교 공과대학 에너지.자원공학과) ,  최성웅 (강원대학교 공과대학 에너지.자원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폐광산에서의 지표침하의 영향범위를 추정하기 위하여 많이 적용되어 왔던 도식법은 수평탄층에서 흔히 발생하는 트러프형 침하의 영향범위를 추정하는데 그 적용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국내 광산의 광체들은 대부분 급경사이며, 침하 형태 또한 함몰형의 빈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기 때문에, 국내 침하지에 도식법을 직접적으로 적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폐광산 지역에서 발생한 총 163개의 지표침하 발생지에 대한 사례분석을 실시하여, 채굴적의 위치를 기준으로 광체의 경사방향 및 광체의 경사반대방향으로의 지표침하 발생범위를 규명하였다. 또한 이를 토대로 채굴적의 심도를 고려한 지표침하 발생범위에 대한 추정각을 산정하였으며, 기존의 도식법과의 비교분석 및 지표침하 발생 사례 적용분석을 통해 최종적으로 이 추정각의 범위를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raphical method has been widely applied to the prediction of subsidence area, and is known to have advantages in analysis of trough subsidence which is common in horizontally seamed mine area. However, it is reported that most of the ore bodies in Korea are geologically inclined from sub-horizontal...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지질 및 지반조건에 적합한 지표침하의 발생범위를 추정하기 위하여, 도식법의 기초 이론을 수정하여 이를 단순화하였고, 국내 지반침하 사례조사에 적용하여 기존의 조사결과를 재검토하였다. 또한 조사된 각 요인들의 상관성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사례조사 자료에 근거한

    가설 설정

    • 후)수직 연장선을">수직연장선을 기준으로 조사하였다. 이때 지표면의 지형적인 조건은 분석 모델의 단순화를 위해 평평한 지표면으로 가정하였다. α1 및 α3은 다음의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주요 침하영향 인자들을 분석하여 침하발생 이전에 이를 예측하고 평가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최근 발생한 두 침하사례 뿐만 아니라, 국내 휴・폐광산에서 발생한 침하형태는 대부분 함몰형 침하이며, 이러한 침하 형태의 경우, 침하발생 이전에 뚜렷한 징조가 없어 발생시기를 예측하기가 어렵다. 또한 침하깊이가 비교적 얕은 트러프(trough)형 침하에 비해 함몰형 침하의 깊이는 수 m~수십 m에 달하기 때문에 도로, 철도, 주거지역 등에서 발생할 경우, 대규모의 재산 및 인명 피해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지반침하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주요 침하영향 인자들을 분석하여 침하발생 이전에 이를 예측하고 평가할 수 있는 능동적인 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
도식법은 어디에, 어떻게 적용되어 왔는가? 폐광산에서의 지표침하의 영향범위를 추정하기 위하여 많이 적용되어 왔던 도식법은 수평탄층에서 흔히 발생하는 트러프형 침하의 영향범위를 추정하는데 그 적용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국내 광산의 광체들은 대부분 급경사이며, 침하 형태 또한 함몰형의 빈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기 때문에, 국내 침하지에 도식법을 직접적으로 적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최근 발생한 대표적인 지반침하 사례는 무엇이 있는가? 최근 국내 휴・폐광산에서의 지반침하 사례가 언론을 통해 보도되면서, 지반침하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최근 발생한 대표적인 지반침하 사례로는, 2012년 9월 충청북도 청원군 가덕면에서 발생한 지름 약 10 m, 깊이 약 20 m 규모의 함몰형 침하가 있으며, 같은 해 10월 충청북도 옥천군 청산면 농경지에서도 지름 약 5 m, 깊이 약 3 m 규모의 함몰형 침하가 발생한 바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2)

  1. Brady, B. H. G. & Brown, E. T., 1985, Rock mechanics for underground mining, George Allen & Unwin., 527. 

  2. Kim, J. W., Jeon, S. W. and Suh, Y. H., 2004, A study on the effect of underground opeings on the stability of surface structures using scaled model tests, Tunnel & Underground Space, 14, 1, 43-53. 

  3. Choi, S. O., Kim, J. D. and Choi, G. S., 2009, Application of fuzzy reasoning method for prediction of subsidence occurrences in abandoned mine area, Tunnel & Underground Space, 19, 5, 463-472. 

  4. Choi, S. O., Jeon, Y. S., Park, E. S., Jung, Y. B. and Chun, D. S., 2005a, Analysis of subsidence mechanism and development of evaluation program, Tunnel & Underground Space, 15, 3, 195-212. 

  5. Choi, S. O., Shin, H. S. and Deb D., 2005b, Possibility analysis of sinkhole occurrences over abandoned mine area using fuzzy reasoning techniques, Symposium of ground subsidence survey, design and construct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113-125. 

  6. Deb, D., Choi, S. O. and Shin, H. S., 2004, Analysis of sinkhole formation over abandoned mine using activepassive- active finite elements, Tunnel & Underground Space, 14, 6, 411-422. 

  7. Goel, S. C. and Page, C. H., 1982, An empirical method for predicting the probability of chimney cave occurrence over a mining area, Int. J. Rock Mech. and Mining Sci. & Geomech. Abst., 19, 6, 325-337. 

  8. Han, K. C., Cheon, D. S., Ryu, D. W. and Park, S. G., 2007, Analysis of ground subsidence on Gyochon residential region of Muan city, Tunnel & Underground Space, 17, 1, 66-74. 

  9. Jung, Y. B., Song, W. K. and Kang, S. S., 2008, Development of subsidence hazard estimation method based on the depth of gangway, Tunnel & Underground Space, 18, 4, 272-279. 

  10. Lee, D. K., Jo, Y. D., Jung, Y. B. and Song, W. K., 2008, Characteristics analysis of mine subsidence in Korea by case investigation, KIGAM Bulletin, 12, 1, 1-10. 

  11. Lee, H. J., Jung, Y. B. and Choi, S. O., 2008,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bulking factor of rock mass for subsidence behavior analysis, Tunnel & Underground Space, 18, 1, 33-43. 

  12. Lee, S. J., Jung, Y. B. and Choi, S. O., 2008, A study on the volumetric expansion ratio of rock mass for subsidence behavior analysis II, Tunnel & Underground Space, 18, 6, 436-446. 

  13. MIRECO, 1997a, Basic survey report of ground stability on Jeomchon region. 

  14. MIRECO, 1997b, Basic survey report of ground stability on Simpo-ri region. 

  15. MIRECO, 1998, Basic survey report of ground stability on Gangneung region. 

  16. MIRECO, 1999, Detailed survey report of ground stability on Simpo-ri region. 

  17. MIRECO, 2000a, Basic survey report of ground stability on Samsu region. 

  18. MIRECO, 2000b, Basic survey report of ground stability on Sinseong region. 

  19. MIRECO, 2001a, Basic survey report of ground stability on Hwadong region. 

  20. MIRECO, 2001b, Basic survey report of ground stability on Oesan region. 

  21. MIRECO, 2002a, Basic survey report of ground stability on Hogye region. 

  22. MIRECO, 2002b, Basic survey report of ground stability on Nongam region. 

  23. MIRECO, 2003, Basic survey report of ground stability on Goyo region. 

  24. MIRECO, 2004a, Basic survey report of ground stability on Buk-myeon region. 

  25. MIRECO, 2004b, Basic survey report of ground stability on Jeongam region. 

  26. MIRECO, 2004c, Basic survey report of ground stability on Mitan region of Jungdong district. 

  27. MIRECO, 2005a, Basic survey report of ground stability on Macha region of Yeongwol distirct. 

  28. MIRECO, 2005b, Basic survey report of ground stability on Misan region. 

  29. MIRECO, 2005c, Basic survey report of ground stability on Mungok region. 

  30. MIRECO, 2005d, Basic survey report of ground stability on Oeeo and Jaesan region. 

  31. MIRECO, 2005e, Basic survey report of ground stability on Wangsan region. 

  32. MIRECO, 2006a, Basic survey report of ground stability on Buljeong region of Mungyeong city. 

  33. MIRECO, 2006b, Basic survey report of ground stability on Hongsan region of Buyeo district. 

  34. MIRECO, 2006c, Basic survey report of ground stability on Ungcheon region of Boryeong city. 

  35. MIRECO, 2006d, Detailed survey reoprt of ground stability on Buk-myeon region of Jeongseon district. 

  36. MIRECO, 2007a, Basic survey report of ground stability on Boryeong mine. 

  37. MIRECO, 2007b, Basic survey report of ground stability on Bukpyeong regoin of Jeongseon district. 

  38. MIRECO, 2007c, Basic survey report of ground stability on Dojik region of Gangneung city. 

  39. MIRECO, 2007d, Basic survey report of ground stability on Gangdong region of Gangneung city. 

  40. MIRECO, 2007e, Basic survey report of ground stability on Hadong region of Yeongwol district. 

  41. MIRECO, 2007f, Basic survey report of ground stability on Nam-myeon regoin of Jeongseon district. 

  42. MIRECO, 2007g, Basic survey report of ground stability on Nawon region of Boryeong city. 

  43. MIRECO, 2007h, Basic survey report of ground stability on Yeonsu copper mine. 

  44. MIRECO, 2007i, Basic survey reporty of ground stability on Deoksang region of Danyang district. 

  45. MIRECO, 2008, Basic survey report of ground stability on Cheongyang mine. 

  46. MIRECO, 2009, detailed survey report of ground stability on Cheongseong region. 

  47. National Coal Board, 1975, Subsidence Engineer's Handbook, National Coal Board Mining Department, London, 111. 

  48. Piggott, R. T. and Eynon, P., 1977, Ground movements arising from the presence of shallow abandoned mine workings, In Large Ground Movements & Structures, Pentech, 749-780. 

  49. Ren, G., Reddish, D. J. and Whittaker, B. N., 1987, Mining subsidence and displacement prediction using influence function methods, Mining Science and Technology, 5, 89-104. 

  50. Ren, G., Reddish, D. J. and Whittaker, B. N., 1989, Mining subsidence and displacement prediction using influence function methods for steep seams, Mining Science and Technology, 8, 235-252. 

  51. Rom, H., 1964, A limit angle system, Mitt. Markscheidew., 71, 197-199. 

  52. Ryu, D. W., Synn, J. H., Song, W. K., Kim, T. K. and Park, J. Y., 2007, A study on the evaluation method of subsidence hazard by a diffusion equation and its application, Tunnel & Underground Space, 17, 5, 372-380.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