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문헌정보학 분야 어린이서비스 연구의 현황과 과제
Trends Analysis of Children's Services Research in the Field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원문보기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44 no.2, 2013년, pp.51 - 75  

김종성 (계명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이 연구는 우리나라 문헌정보학분야의 어린이서비스 연구의 경향을 분석하고 연구의 발전적인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한국문헌정보학회지,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한국비블리아학회지, 정보관리학회지에 창간호부터 2012년까지 게재된 학술논문 113편을 분석하였다. 연도, 학회지, 연구자, 주제, 연구방법, 연구비 등을 기준으로 논문현황을 분석하였고 연구에서 나타나는 내용과 방법론을 중심으로 개선과제를 살펴보았다. 연구 논문 분석을 토대로 어린이서비스의 발전을 위한 과제로 어린이 도서 연구의 활성화, 어린이서비스 연구 전반의 실효성 제고, 연구의 현장 근접성 강화 등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s of children's services research in Korea. A total of 113 research articles were selected from 4 journal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rticles were analyzed in the aspects of research subjects, research methods, author types, and research fun...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에서 도서관의 어린이서비스가 시작된 연도는? 우리나라에서 도서관의 어린이서비스가 시작된 것은 총독부도서관의 부녀자문고와 경성도서관의 아동열람실이 설치된 1923년의 일이다. 하지만 일제시대와 6.
어린이서비스가 본격적으로 활성화하기 시작한 것은 언제인가? 25, 그리고 억압적인 정치사회적 상황이 지배하던 산업화시기를 지나는 동안 어린이서비스는 크게 성장하지 못하였다. 어린이서비스가 본격적으로 활성화되기 시작한 것은 2000년대에 들어선 이후라고 할 수 있다. 1980년대 이후 우리 사회의 전반적인 변화 속에서 어린이를 위한 독서와 도서관 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였고 이러한 흐름이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여러 가지 가시적인 성과를 만들어 내기 시작했다.
어린이서비스 현장의 학계 연구의 과거와 최근은 어떤 차이가 있나? 이렇게 어린이서비스 현장이 성장하고 발전하는 과정에서 그에 대한 학계의 연구도 크게 활성화되었다. 과거에는 어린이 독서교육이나 어린이 책에 대한 연구가 간간이 발표되었으나 최근에는 어린이를 위한 도서관 서비스의 여러 측면들을 다루는 연구가 활발하게 수행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리고 어린이서비스를 연구하는 인력도 계속 늘어나고 있으며 연구의 양과 질에서 급속한 성장을 보여주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공정자. "문헌정보학 분야의 어린이 서비스 관련 연구경향 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45권, 제3호(2011. 8), pp.303-325. Kong, Jeong-Ja. "Analysis for the Tendency to Study Children's Services in the Field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Focused on Masters and Doctoral Theses Submitted from 1981 to 2010."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ol.45, No.3(2011), pp.303-325. 

  2. 김규환, 장보성, 이현정. "우리나라 기록관리학 분야의 연구영역 분석: 논문제목의 구문 및 의미구조를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43권, 제3호(2009. 9), pp.417-439. Kim, Gyu-Hwan, Jang, Bo-Seong, Yi, Hyun-Jung. "A Study on Intellectual Structure of Records Management and Archives in Korea: Based on Syntactic and Semantic Structure of Article Titl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ol.43, No.3(2009), pp.417-439. 

  3. 김수경. "한국 전래동화의 독서치료적 가치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46권, 제3호(2012. 9), pp.271-295. Kim, Soo-Kyoung, "A Study on the Bibliotherapeutic Values of Korean Folk-tales: Focused on Establishing and Analyzing their Situation for Multi-cultural Famil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ol.46, No.3(2012), pp.271-295. 

  4. 김정현. "한국의 자료조직 분야 연구동향: 1970-2010."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42권, 제3호 (2011. 9), pp.149-164. Kim, Jeong-Hyen. "An Analytical Study on Research Trends of Resource Organization in Korea: 1970-2010."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ol.42, No.3(2011), pp.149-164. 

  5. 김종성. "학교도서관 연구 현황과 과제." 한국비블리아학회지, 제24권, 제2호(2013. 6), pp.71-91. Kim, Jong-Sung. "Trends Analysis of School Library Research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ol.24, No.2(2013), pp.71-91. 

  6. 김종성. 어린이서비스론. 대구 : 태일사, 2011. Kim, Jong-Sung. Library Services for Children. Daegu : Taeilsa, 2011. 

  7. 남태우, 이진영. "우리나라 기록관리학 연구 동향 분석."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40권, 제2호 (2009. 6), pp.451-473. Nam, Tae-Woo, Lee, Jin-Young. "A Study on the Research Trends of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in Korea."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ol.40, No.2(2009), pp.451-473 

  8. 류반디. "만화의 독서 효용성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제22권, 2호(2011. 6), pp.123-139. Ryu, Bandee. "A Study on the Reading Efficiency of Comic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ol.22, No.2(2011), pp.123-139. 

  9. 박현주, 이상복. "어린이전문사서를 위한 교육과정 모형 개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제21권, 제2호(2010. 6), pp.97-110. Park, Hyunju, Lee, Sangbok. "Curriculum Planning for Children's Librarian."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ol.21, No.2(2010), pp.97-110. 

  10. 설문원. "기록분류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과 과제." 한국기록관리학회지, 제12권, 제3호(2012. 9), pp.203-232. Seol, Moon-Won. "Research Trends and Issues of Records and Archives Classification in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Vol.12, No.3(2012), pp.203-232. 

  11. 손정표. "한국의 문헌정보학분야 석?박사 학위논문의 연구동향 분석: 1959-2002."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34권, 제4호(2003. 12), pp.21-42. Sohn, Jung-Pyo. "An Analytical Study on Research Trends of the Master's & Doctor's Dissertations in the Field of Library & Infromation Science in Korea: 1959-2002."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ol.34, No.4(2003), pp.21-42. 

  12. 손정표. "한국의 문헌정보학분야 연구동향 분석: 1957-2002."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34권, 제3호(2003. 6), pp.9-32. Sohn, Jung-Pyo. "An Analytical Study on Research Trend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 Korea: 1957-2002."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ol.34, No.3(2003), pp.9-32. 

  13. 송정숙. "전래동화 해님과 달님의 이본(異本) 비교."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36권, 제1호 (2005. 3), pp.47-69. Song, Jung-Sook. "Comparison with the Alternative Versions of the Korean Fairy Tale The Sun and the Moon."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ol.36, No.1(2005), pp.47-69. 

  14. 송정숙. "한국 문헌정보학의 연구현황 분석: 2001년-2010년 발행 석.박사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41권 제4호(2010. 12), pp.333-353. Song, Jung-Sook. "Trend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in Korea: Focused on Master's Theses and Doctoral Dissertations from 2001 to 2010."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ol.41, No.4(2010), pp.333-353. 

  15. 오세훈, 이두영. "우리나라 정보학 연구 동향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제22권, 제1호(2005. 3), pp.167-189. Oh, Se-Hoon, Lee, Too-Young. "Research Trends of Information Science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Vol.22, No.1(2005), pp.167-189. 

  16. 유사라. "메타데이터 주제 국내 연구동향 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44권, 제2호(2010. 6), pp.404-425. Yoo, Sarah. "A Diagnostic Analysis of Metadata R&D Statu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ol.44, No.2(2010), pp.404-425. 

  17. 유소영. "우리나라 전래동화 연구의 서지적 고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37권, 제2호(2003. 6), pp.253-268. Yoo, Soyoung. "A Bibliographical Analysis on the Folktale Studie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ol.37, No.2(2003), pp.253-268. 

  18. 윤희윤. "한국 도서관경영 연구의 성과와 한계."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42권, 제3호(2011. 9), pp.25-44. Yoon, Hee-Yoon. "Outcomes and Limitations of the Library Management Research in Korea."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ol.42, No.3(2011), pp.25-44. 

  19. 이란주, 임지혜. "한국의 서지학 연구 동향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33권, 제1호 (2002. 3), pp.323-344. Lee, Lan-Ju, Lim, Ji-Hea. "A Study on the Research Trends of Bibliography in Korea."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ol.33, No.1(2002), pp.323-344. 

  20. 이명희. "내용분석법에 의한 문헌정보학 학술지 연구논문 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36권, 제3호(2002. 9), pp.287-310. Lee, Myeong-Hee. "Recent Trends in Research Method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Content Analysis of the Journal Articl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ol.36, No.3(2002), pp.287-310. 

  21. 이소연. "국내 전자기록 연구의 동향 분석: 회고와 전망." 한국기록관리학회지, 제11권, 제2호 (2011. 6), pp.8-31. Lee, So-Yeon. "Trends Analysis of Electronic Records and Archives Research in Korea: Retrospect and Prospec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Vol.11, No.2(2011), pp.8-31. 

  22. 이종문. "학습만화에 대한 초등학생과 학부모의 인식 분석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43권, 제2호(2012. 6), p.227-246. Lee, Jong-Moon. "An Analysis on the Perception of Students and Parents to Comics for Learning in Elementary School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ol.43, No.2(2012), pp.227-246. 

  23. 장로사, 김유승. "한국의 기록관리학 연구동향 분석에 관한 연구: 정보학 영역을 중심으로." 한국비블리아학회지, 제20권, 제1호(2009. 3), pp.87-100. Chang, Ro-Sa, Kim, You-Seung. "An Analytical Study on Research Trends of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Science in Korea: Focused on the Information Science."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ol.20, No.1(2009), pp.87-100. 

  24. 장윤미, 정연경. "분류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한국비블리아학회지, 제24권, 제1호(2013. 3), pp.24-44. Chang, Yun-Mee, Chung, Yeon-Kyoung. "A Study o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about Classification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ol.24, No.1(2013), pp.24-44. 

  25. 정재영, 박진희. "한국 문헌정보학의 현장연구 현황 분석."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42권, 제2호 (2011. 6), pp.171-191. Chung, Jae-Young, Park, Jin-Hee. "Analysis of the Trends in the Field Studie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 Korea."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ol.42, No.4(2011), pp.171-191. 

  26. 정혜미?차미경. "공공도서관 어린이사서를 위한 문헌정보학 교과과정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제18권, 제2호(2007. 12), pp.161-181. Jeong, Hye-Mi, Cha, Mi-Kyeong. "A Study on the Undergraduate Curriculum Developmen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for Children's Librarian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ol.18, No.2(2007), pp.161-181. 

  27. 최재희. "국내의 기록물 평가론 연구 동향: 회고와 전망." 한국기록관리학회지, 제11권, 제1호 (2011. 3), pp.7-22. Choi, Jae-Hee. "Research Trends in Archival Appraisal Science in Korea: Retrospect and Prospec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Vol.11, No.1(2011), pp.7-22. 

  28. 한복희. "어린이사서 양성을 위한 문헌정보학 교과과정과 계속교육의 발전 방안."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44권, 제3호(2010. 8), pp.267-288. Hahn, Bock-Hee. "Developing Curricula in th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nd Continuing Education for Children's Librarian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ol.44, No.3(2010), pp.267-288. 

  29. 한복희. "이용자 연구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도서관학, 제23권(1992), pp.107-125. Hahn, Bock-Hee. "An Analysis of the Research Trend on the Information User Stud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ol.23(1992), pp.107-125. 

  30. 한윤옥. "한국 아동문학 도서의 표지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24집(1993. 6), pp.113-137. Han, Yoon-Ok. "A Study of Characteristics of Bookjacket of Children's Book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ol.24(1993), pp.113-137. 

  31. 한윤옥. "아동문학도서에 나타난 주인공의 민족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31권, 제2호(1997. 6), pp.59-77. Han, Yoon-Ok. "East Asian American Character's Characteristics in Children's Fictional Literatur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ol.31, No.2(1997), pp.59-77. 

  32. 한윤옥. "아동의 심리발달과 도서 선호의 변화." 도서관학, 제17집(1989), pp.105-159. Han, Yoon-Ok. "A Study on the Relationship Children's Development and Book Preferenc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ol.17(1989), pp.105-159. 

  33. 황금숙. "국내 독서치료 연구동향 분석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36권, 제1호(2005. 3), pp.117-130. Hoang, Gum-Sook. "An Analytical Study on Research Trends of Bibliotherapy in Korea."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ol.36, No.1(2005), pp.117-13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