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문헌정보학 분야 독서 연구의 경향과 과제
Trends Analysis of Reading Research in the Field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원문보기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44 no.3, 2013년, pp.99 - 124  

김종성 (계명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이 연구는 우리나라 문헌정보학분야 독서 연구의 경향을 분석하고 연구의 발전적인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한국문헌정보학회지,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한국비블리아학회지에 창간호부터 2012년까지 게재된 학술논문 191편을 분석하였다. 학회지, 연도, 연구자, 연구비, 주제, 연구방법 등을 기준으로 논문 현황을 분석하였고 연구에서 나타나는 내용과 방법론을 중심으로 개선과제를 살펴보았다. 연구 논문 분석을 토대로 독서 연구의 발전을 위한 과제로 독서론 연구의 확대, 사회적 독서 이슈에 대한 연구 주도성 강화, 연구 방법론의 적실성 제고 등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s of reading research in Korea. A total of 191 research articles were selected from 3 journal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rticles were analyzed in the aspects of research subjects, research methods, author types, and research funds. The writ...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문헌정보학 분야의 대표적 학회지는? 이러한 점은 이 연구의 한계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문헌정보학 분야의 독서 관련 학술논문은 문헌정보학 분야의 대표적 학회지인 한국문헌정보학회지,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한국비블리아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을 대상으로 하였다. 문헌정보학분야의 다른 학회지에도 독서 관련 논문이 게재되기도 하였지만 그 수가 극히 미미하여 제외하였다.
문헌정보학의 교육과 연구에서 독서가 가지는 이미지는? 고래로 독서는 문헌정보학의 교육과 연구에서 가장 오랫동안 큰 부침 없이 자리를 지켜 왔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어떤 면에서는 ‘낡은 것’이라는 이미지를, 또 다른 면에서는 ‘쉬운 것’이라는 이미지를 가지고 있기도 하다. 그런데 정보와 지식의 생산과 소비 패턴이 바뀐 정보기술의 시대에도 독서는 세상의 관심과 학문적 주목에서 멀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어떤 면에서는 더욱 더 다양한 관심과 탐구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독서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는 분야는? 이 연구에서는 독서를 주제로 하여 문헌정보학 분야에서 생산된 학술 논문만을 대상으로 하였다. 독서에 관한 연구는 교육학, 국어교육학, 문학, 아동학 등의 분야를 포함하여 다양한 영역에서 수행되고 있다. 하지만 연구 대상 논문의 내용을 분석적으로 검토해야하는 이 연구의 성격상 모든 분야의 독서 연구를 다루기는 불가능하기 때문에 문헌정보학 분야로 제한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공정자. "문헌정보학 분야의 어린이 서비스 관련 연구경향 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45권, 제3호(2011. 8), pp.303-325. (Kong, Jeong-Ja. "Analysis for the Tendency to Study Children's Services in the Field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Focused on Masters and Doctoral Theses Submitted from 1981 to 2010."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ol.45, No.3(2011), pp.303-325.) 

  2. 김수경. "독서의 본질과 독서 프로그램 운영."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37권, 제3호(2006. 9), pp.235-263. (Kim, Soo-Kyoung. "The True Meaning of Reading and Operation of Reading Program."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ol.37, No.3(2006). pp.235-263.) 

  3. 김정현. "한국의 자료조직 분야 연구동향: 1970-2010."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42권, 제3호(2011. 9), pp.149-164. (Kim, Jeong-Hyen. "An Analytical Study on Research Trends of Resource Organization in Korea: 1970-2010."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ol.42, No.3(2011), pp.149-164.) 

  4. 김종성. "문헌정보학 분야 어린이서비스 연구의 현황과 과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44권, 제2호(2013. 6), pp.51-75. (Kim, Jong-Sung. "Trends Analysis of Children's Services Research in the Field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ol.44, No.2(2013). pp.51-75.) 

  5. 김종성. "우리나라 학교도서관 연구의 현황과 과제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제24권, 제2호(2013. 6), pp.71-91. (Kim, Jong-Sung. "Trends Analysis of School Library Research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ol.24, No.2(2013), pp.71-91.) 

  6. 김판준. "저자 프로파일링 기법을 이용한 국내 독서 연구 영역 분석." 한국비블리아학회지, 제22권, 제4호(2011. 12), pp.21-44. (Kim, Pan-Jun. "Domain Analysis of Reading Research in Korea Using Author Profiling." Journal of the Korea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ol.22, No.4(2011), pp.21-44.) 

  7. 변우열. "독서교육지원시스템의 구성요소 설정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41권, 제1호(2010. 3), pp.295-318.(Byun, Woo-Yeoul. "A Study on the Components of Web-Based Reading Education System."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ol.41, No.1(2010). pp.295-318.) 

  8. 변회균. "키워드 프로파일링을 통한 분야별 국내독서 연구방향 분석." 한국독서교육학회지, 제1권, 제1호(2013. 6), pp.51-66. (Byeon, Hoi-Kyun. "A Study on the Analysis of Reading Research Trends in Korea Using Keyword Profiling." Journal of the Reading Education Society, Vol.1, No.3(2013), pp.51-66.) 

  9. 설문원. "기록분류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과 과제." 한국기록관리학회지, 제12권, 제3호(2012. 9), pp.203-232. (Seol, Moon-Won. "Research Trends and Issues of Records and Archives Classification in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Vol.12, No.3(2012), pp.203-232.) 

  10. 송현숙. " 대입 논술시험의 역사." 경향신문, 2013. 1. 8, [인용 2013. 8. 7]. (Song, Yyun-Sook. "A History of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The Kyunghyang Shinmun, 2013. 1. 8, [cited 2013. 8. 7].) 

  11. 유연이, 강순애. "경기도 가평지역 초등학교 도서관의 독서인증제 운영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제23권, 제1호(2012. 3), pp.235-255. (Ryu, Yeon-Yi & Kang, Soon-Ae. "A Study on the Management of Reading Certification System by Elementary School Libraries in Gapyeong, Gyeonggi-do." Journal of the Korea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ol.23, No.1(2012), pp.235-255.) 

  12. 윤금선. "민족적 관점에서 본 경성도서관의 사회교육과 독서운동 실태 및 의의."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40권, 제2호(2009. 6), pp.375-407. (Yeun, Keum-Sun. "A Study on Social Education, Reading Movement and Meaning of the Gyeongseong Library Which Observe From Ethnic Viewpoint."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ol.40, No.2(2009), pp.375-407.) 

  13. 윤금선. "1990년대 초 독서 대중화 운동과 독서교육."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39권, 제1호(2008. 3), pp.377-407. (Yeun, Keum-Sun. "A Study on Reading Popularization Movement and Reading Education in the Early Period of 1990'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ol.39, No.1(2008), pp.377-407.) 

  14. 윤금선. "2000년대 독서운동과 독서경향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39권, 제3호(2008. 9), pp.267-297. (Yeun, Keum-Sun. "A Study on Reading Movement and Readers' Interest in the Period of 2000'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ol.39, No.3(2008), pp.267-297.) 

  15. 윤금선. "독서 대중화 운동 연구: 1960년대를 중심으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38권, 제2호(2007. 6), pp.271-294. (Yeun, Keum-Sun. "A Study on Reading Popularization Movement: Focus in 1960'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ol.38, No.2(2007), pp.271-294.) 

  16. 윤희윤. "한국 도서관경영 연구의 성과와 한계."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42권, 제3호(2011. 9), pp.25-44. (Yoon, Hee-Yoon. "Outcomes and Limitations of the Library Management Research in Korea."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ol.42, No.3(2011), pp.25-44.) 

  17. 이소연. "국내 전자기록 연구의 동향 분석: 회고와 전망." 한국기록관리학회지, 제11권, 제2호(2011. 6), pp.8-31. (Lee, So-Yeon. "Trends Analysis of Electronic Records and Archives Research in Korea: Retrospect and Prospec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Vol.11, No.2(2011), pp.8-31.) 

  18. 이연옥. "독서의 사교육화 현상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35권, 제3호(2004. 9), pp.41-63. (Lee, Yeon-Ok. "A Study on the Social Problems of the Private Education of Reading."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ol.35, No.3(2004). pp.41-63.) 

  19. 이연옥. "학교 독서교육 정책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37권, 제3호(2006. 9), pp.209-234. (Lee, Yeon-Ok. "A Critical Study on School Reading Instruction Policy."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ol.37, No.3(2006). pp.209-234.) 

  20. 정재영, 박진희. "한국 문헌정보학의 현장연구 현황 분석."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42권, 제2호(2011. 6), pp.171-191. (Chung, Jae-Young, Park, Jin-Hee. "Analysis of the Trends in the Field Studie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 Korea."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ol.42, No.4(2011), pp.171-191.) 

  21. 최재희. "국내의 기록물 평가론 연구 동향: 회고와 전망." 한국기록관리학회지, 제11권, 제1호(2011. 3), pp.7-22. (Choi, Jae-Hee. "Research Trends in Archival Appraisal Science in Korea: Retrospect and Prospec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Vol.11, No.1(2011), pp.7-22.) 

  22. 한복희. "이용자 연구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도서관학, 제23권(1992), pp.107-125. (Hahn, Bock-Hee. "An Analysis of the Research Trend on the Information User Stud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ol.23(1992), pp.107-125.) 

  23. 황금숙. "국내 독서치료 연구동향 분석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36권, 제1호(2005. 3), pp.117-130. (Hoang, Gum-Sook. "An Analytical Study on Research Trends of Bibliotherapy in Korea."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ol.36, No.1(2005), pp.117-13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