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천골에 발생하는 드문 질환인 거대 세포종의 치료 방법에 따른 특성과 예후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0년부터 2012년까지 천골의 거대 세포종으로 진단받고 본원에서 치료받은 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평균 연령은 23.6세였고, 남자가 2예, 여자가 5예였으며 평균 추시 기간은 52.3개월(15-73개월)이었다. 5명의 환자에서 병소내 절제술을, 1명의 환자에서 변연 절제술을 시행하였으며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지 않은 1명은 방사선 치료만 시행하였다. 방사선 치료만을 시행한 환자와 변연 절제술을 시행한 환자는 국소 재발 없이 추시 중이다. 그 외 병소내 절제를 시행한 5명 중 1예는 한 번의 수술로, 다른 두 예는 두 차례 수술 후 재발 없이 추시 관찰 중이다. 나머지 두 예는 추가 치료에도 병변의 진행을 보였다. 결론: 천골 거대 세포종 환자의 치료법으로써 병소내 절제는 신경학적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종양을 치료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수술적 치료가 어려운 경우 방사선 치료가 대안으로 사용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We analyzed the treatment outcomes of patients with sacral giant cell tumor.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7 patients with giant cell tumor of the sacrum who were treated at out institution between 1990 and 2012. Results: There were 2 men and 5 women with mean age of 23...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러한 이유로 수술적 치료 이외에도 방사선 치료나 보조제, 동맥 색전술 등의 사용이 거론되고 있다.7) 본 연구에서는 천골에 위치한 거대 세포종으로 진단 및 치료받은 7명의 환자를 분석하여 보고하려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천골의 거대 세포종은 어디에 호발하는가? 천골은 척추 부위 중 거대 세포종이 가장 많이 호발하는 곳으로서 슬부와 요골 다음으로 호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3) 천골의 거대 세포종은 주로 편심성으로 발생하지만 간혹 중앙선의 양측을 모두 침범하거나 천골 전면의 공간에 발생하기도 한다.1,5,6) 보통 피질이 얇아 연부 조직으로 종양이 침범하기도 한다.
골에 발생하는 거대 세포종에 대한 치료는 무엇인가? 골에 발생하는 거대 세포종은 원발성 골 종양의 약 4-5%를 차지하며, 대부분 단발성으로 발생하는 양성 종양으로 알려져 있다.1-3) 그러나, 치료에 있어서 페놀(phenol), 골 시멘트 충전술, 냉동요법 등의 추가적인 처치에도 불구하고 20% 이상의 비교적 높은 재발 율을 보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 또한, 거대 세포종은 양성 종양이지만 드물게 악성변환(malignant transformation)을 보이기도 하는데, 대부분 방사선 조사 후에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저절로 발생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골에 발생하는 거대 세포종의 특징은 무엇인가? 골에 발생하는 거대 세포종은 원발성 골 종양의 약 4-5%를 차지하며, 대부분 단발성으로 발생하는 양성 종양으로 알려져 있다.1-3) 그러나, 치료에 있어서 페놀(phenol), 골 시멘트 충전술, 냉동요법 등의 추가적인 처치에도 불구하고 20% 이상의 비교적 높은 재발 율을 보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Sung HW, Shu WP, Wang HM, Yuai SY, Tsai YB. Surgical treatment of primary tumors of the sacrum. Clin Orthop Relat Res. 1987;(215):91-8. 

  2. Turcotte RE. Giant cell tumor of bone. Orthop Clin North Am. 2006;37:35-51. 

  3. Campanacci M, Baldini N, Boriani S, Sudanese A. Giant-cell tumor of bone. J Bone Joint Surg Am. 1987;69:106-14. 

  4. Feigenberg SJ, Marcus Jr RB, Zlotecki RA, Scarborough MT, Berrey BH, Enneking WF. Radiation therapy for giant cell tumors of bone. Clin Orthop Relat Res. 2003;(411):207-16. 

  5. McDonald DJ, Sim FH, McLeod RA, Dahlin DC. Giant-cell tumor of bone. J Bone Joint Surg Am. 1986;68:235-42. 

  6. Sung HW, Kuo DP, Shu WP, Chai YB, Liu CC, Li SM. Giant-cell tumor of bone: analysis of two hundred and eight cases in Chinese patients. J Bone Joint Surg Am. 1982;64:755-61. 

  7. Guo W, Ji T, Tang X, Yang Y. Outcome of conservative surgery for giant cell tumor of the sacrum. Spine (Phila Pa 1976). 2009;34:1025-31. 

  8. Leggon RE, Zlotecki R, Reith J, Scarborough MT. Giant cell tumor of the pelvis and sacrum: 17 cases and analysis of the literature. Clin Orthop Relat Res. 2004;(423):196-207. 

  9. Thangaraj R, Grimer RJ, Carter SR, Stirling AJ, Spilsbury J, Spooner D. Giant cell tumour of the sacrum: a suggested algorithm for treatment. Eur Spine J. 2010;19:1189-94. 

  10. Martin C, McCarthy EF. Giant cell tumor of the sacrum and spine: series of 23 cases and a review of the literature. Iowa Orthop J. 2010;30:69-75. 

  11. Rock MG, Sim FH, Unni KK, et al. Secondary malignant giant-cell tumor of bone. Clinicopathological assessment of nineteen patients. J Bone Joint Surg Am. 1986;68:1073-9. 

  12. Laskin WB, Silverman TA, Enzinger FM. Postradiation soft tissue sarcomas. An analysis of 53 cases. Cancer. 1988;62:2330-40. 

  13. Dray MS, Miller MV. Paget's osteosarcoma and post-radiation osteosarcoma: secondary osteosarcoma at Middlemore Hospital, New Zealand. Pathology. 2008;40:604-10. 

  14. Kong CB, Hong YS, Lee KY, et al. Malignant transformation of benign giant cell tumor. J Korean Bone Joint Tumor Soc. 2012;18:14-9. 

  15. Lackman RD, Khoury LD, Esmail A, Donthineni-Rao R. The treatment of sacral giant-cell tumours by serial arterial embolisation. J Bone Joint Surg Br. 2002;84:873-7. 

  16. Hosalkar HS, Jones KJ, King JJ, Lackman RD. Serial arterial embolization for large sacral giant-cell tumors: mid- to longterm results. Spine (Phila Pa 1976). 2007;32:1107-15. 

  17. Bertoni F, Present D, Sudanese A, Baldini N, Bacchini P, Campanacci M. Giant-cell tumor of bone with pulmonary metastases. Six case reports and a review of the literature. Clin Orthop Relat Res. 1988;(237):275-85. 

  18. Thomas D, Henshaw R, Skubitz K, et al. Denosumab in patients with giant-cell tumour of bone: an open-label, phase 2 study. Lancet Oncol. 2010;11:275-80. 

  19. Branstetter DG, Nelson SD, Manivel JC, et al. Denosumab induces tumor reduction and bone formation in patients with giant-cell tumor of bone. Clin Cancer Res. 2012;18:4415-2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