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천골 및 골반골에 발생한 거대세포종에 대한 동맥 색전술 치료의 효용성 분석
Analysis for Usefulness of Arterial Embolization on Sacral and Pelvic Giant Cell Tumors 원문보기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The Journal of the Korean Bone and Joint Tumor Society, v.19 no.2, 2013년, pp.50 - 55  

김승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 ,  윤길성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 ,  조용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 ,  신규호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 ,  서진석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영상의학과) ,  양우익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병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천골 및 골반골에 발생한 거대세포종에 대한 동맥 색전술의 효용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6년 12월부터 2008년 5월까지 연속적 동맥 색전술을 시행한 9예를 대상으로 그 임상 결과 및 동맥 색전술에 대한 거대세포종의 치료 반응성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9예 중 6예에서 거대세포종이 진행되어 연속적 동맥 색전술은 천골 및 골반골 거대세포종 치료에 있어서 효과적인 치료 방법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5예의 경우에서는 수술, 방사선 치료 등의 추가적인 치료를 시행 했음에도 불구하고 거대세포종이 진행되었다. 9예 중 3예에서 거대세포종의 호전 및 완치 소견을 보여, 카이제곱 검정을 통해 이와 관련된 인자들에 대해 분석하였다. 첫 혈관조영술 시행 시 거대세포 종양의 영양 혈관수가 6개 미만인 경우(p=0.048), 측부 순환의 개수가 3개 미만인 경우(p=0.048) 만이 동맥 색전술에 대한 치료 반응성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첫 동맥 색전술 시행 후 잔존 종양 염색 유무와 반복 시행 횟수는 연관이 없었다. 결론: 천골 및 골반골 거대세포종의 치료에 있어서 연속적 동맥 색전술은 일반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효과적인 치료 방법은 아니나, 첫 혈관 조영술 시행 시 종양의 혈관 분포가 적은 경우에 한해서 시행한 다면 좋은 치료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usefulness of arterial embolization on sacral and pelvic giant cell tumor (GCT).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9 patients who had undergone serial arterial embolization between December 1996 and May 20...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런 상황에서, 본 연구는 연속적 동맥 색전술을 이용한 천골 및 골반골 거대세포종 치료의 임상 결과와 동맥 색전술에 대한 거대세포종의 치료 반응성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동맥 색전술의 효용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거대세포종은 무엇인가? 거대세포종은 양성종양이나, 매우 침습적인 임상 경과를 보이며 심지어는 폐 전이를 일으키기도 한다.1,2) 천골 및 골반골에서 발생하는 거대세포종의 발생률은 매우 낮으나, Turcotte 등의 보고에 따르면 천골에서 발생하는 거대세포종의 비율은 전체 거대세포종의 8%를 차지하며, 이는 대퇴골 원위부, 경골 근위부, 요골 원위부에 발생한 경우에 이어 4번째로 높은 비율이다.
천골 및 골반골 거대세포종의 대체 치료법과 보조 치료법은 무엇이며 그 한계점은 무엇인가? 이런 이유로, 천골 및 골반골 거대세포종의 수술 외 대체 치료법과(alternative treatment)보조 치료법들이(adjuvant treatment) 많이 보고되어 왔다. 방사선치료,11,12) 동맥 색전술,13-16) 파골세포 억제제,17-19) 등이 대표적이나, 방사선 치료의 경우는 이차성 악성 신생물(secondary malignant neoplasm) 발생, 동맥 색전술의 경우는 낮은 성공률, 파골 세포 억제제의 경우는 빈약한 전향적 무작위 임상 시험(prospective randomized clinical trial) 결과가 거대세포종 치료에 사용되기에 제한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천골 및 골반골 거대세포종 수술에서 가장 위험한 인자는 무엇인가? 천골 및 골반골 거대세포종 수술 시 가장 큰 위험 인자는 과도한 출혈이며, 수술 중 출혈 양이 수혈에도 불구하고 환자의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경우도 흔하다.9) 특히 병소내 소파술을 시행할 경우 과도한 출혈의 위험은 더 커진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Wulling M, Engels C, Jesse N, Werner M, Delling G, Kaiser E. The nature of giant cell tumor of bone. J Cancer Res Clin Oncol. 2001;127:467-74. 

  2. Cheng JC, Johnston JO. Giant cell tumor of bone. Prognosis and treatment of pulmonary metastases. Clin Orthop Relat Res. 1997;(338):205-14. 

  3. Turcotte RE, Sim FH, Unni KK. Giant cell tumor of the sacrum. Clin Orthop Relat Res. 1993;(291):215-21. 

  4. Campanacci M, Baldini N, Boriani S, Sudanese A. Giant-cell tumor of bone. J Bone Joint Surg Am. 1987;69:106-14. 

  5. Kivioja AH, Blomqvist C, Hietaniemi K, et al. Cement is recommended in intralesional surgery of giant cell tumors: a Scandinavian Sarcoma Group study of 294 patients followed for a median time of 5 years. Acta Orthop. 2008;79:86-93. 

  6. Balke M, Schremper L, Gebert C, et al. Giant cell tumor of bone: treatment and outcome of 214 cases. J Cancer Res Clin Oncol. 2008;134:969-78. 

  7. Wanebo HJ, Koness RJ, Turk PS, Cohen SI. Composite resection of posterior pelvic malignancy. Ann Surg. 1992;215:685- 93; discussion 693-5. 

  8. Guo W, Sun X, Zang J, Qu H. Intralesional excision versus wide resection for giant cell tumor involving the acetabulum: which is better? Clin Orthop Relat Res. 2012;470:1213-20. 

  9. Guo W, Ji T, Tang X, Yang Y. Outcome of conservative surgery for giant cell tumor of the sacrum. Spine (Phila Pa 1976). 2009;34:1025-31. 

  10. Leggon RE, Zlotecki R, Reith J, Scarborough MT. Giant cell tumor of the pelvis and sacrum: 17 cases and analysis of the literature. Clin Orthop Relat Res. 2004;(423):196-207. 

  11. Feigenberg SJ, Marcus Jr RB, Zlotecki RA, Scarborough MT, Berrey BH, Enneking WF. Radiation therapy for giant cell tumors of bone. Clin Orthop Relat Res. 2003;(411):207-16. 

  12. Caudell JJ, Ballo MT, Zagars GK, et al. Radiotherapy in the management of giant cell tumor of bone.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2003;57:158-65. 

  13. Hosalkar HS, Jones KJ, King JJ, Lackman RD. Serial arterial embolization for large sacral giant-cell tumors: mid- to longterm results. Spine (Phila Pa 1976). 2007;32:1107-15. 

  14. Lackman RD, Khoury LD, Esmail A, Donthineni-Rao R. The treatment of sacral giant-cell tumours by serial arterial embolisation. J Bone Joint Surg Br. 2002;84:873-7. 

  15. Lin PP, Guzel VB, Moura MF, et al. Long-term follow-up of patients with giant cell tumor of the sacrum treated with selective arterial embolization. Cancer. 2002;95:1317-25. 

  16. Martin C, McCarthy EF. Giant cell tumor of the sacrum and spine: series of 23 cases and a review of the literature. Iowa Orthop J. 2010;30:69-75. 

  17. Cornelis F, Truchetet ME, Amoretti N, et al. Bisphosphonate therapy for unresectable symptomatic benign bone tumors: A long-term prospective study of tolerance and efficacy. Bone. 2013;58C:11-6. 

  18. Chaudhary P, Khadim H, Gajra A, Damron T, Shah C. Bisphosphonate therapy is effective in the treatment of sacral giant cell tumor. Onkologie. 2011;34:702-4. 

  19. Chawla S, Henshaw R, Seeger L, et al. Safety and efficacy of denosumab for adults and skeletally mature adolescents with giant cell tumour of bone: interim analysis of an open-label, parallel-group, phase 2 study. Lancet Oncol. 2013;14:901-8. 

  20. Thangaraj R, Grimer RJ, Carter SR, Stirling AJ, Spilsbury J, Spooner D. Giant cell tumour of the sacrum: a suggested algorithm for treatment. Eur Spine J. 2010;19:1189-9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REEN

저자가 공개 리포지터리에 출판본, post-print, 또는 pre-print를 셀프 아카이빙 하여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