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VRS GNSS의 지적측량에 적용을 위한 정확도 분석
The Accuracy Analysis of VRS GNSS for Applying Cadastral Surveying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4 no.1, 2013년, pp.94 - 100  

홍성언 (청주대학교 지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VRS GNSS(GPS/GLONASS)를 이용하여 지적측량에서의 위치결정 정확도를 분석하여 보고, 이를 토대로 성과결정의 정확도 향상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GPS 위성데이터만을 수신 한 결과 보다 GPS/GLONASS 위성데이터을 통합으로 수신해 위치를 결정한 결과가 대략 3cm 정도 위치정확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VRS GNSS 통합 수신 방식이 지적측량에 도입된다면 위치 정확도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ccuracy of position determination in cadastral surveying using VRS GNSS(GPS/GLONASS), and is to suggest a possibility to improvement of accuracy in decision making of cadastral surveying result based on this result.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position accurate of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RTK GPS 측량의 거리제약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도입이 연구되고 있는 VRS에 측량에 대해 GPS 위성데이터만을 독립적으로 수신하여 위치를 결정하였을 경우와 GPS/GLONASS통합 수신해 위치를 결정하였을 경우의 정확도를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 분석 내용을 기초로 지적측량에 올바른 적용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 본 연구에서는 RTK GPS 측량의 거리제약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도입이 연구되고 있는 VRS에 측량에 대해 GPS 위성데이터만을 독립적으로 수신하여 위치를 결정하였을 경우와 GPS/GLONASS통합 수신해 위치를 결정하였을 경우의 정확도를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 분석 내용을 기초로 지적측량에 올바른 적용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VRS GNSS(GPS/GLONASS)를 이용하여 지적측량에서의 위치결정 정확도를 분석하여 보고, 이를 토대로 성과결정의 정확도 향상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VRS(RTK GPS)를 지적측량에 도입함에 있어 기존 GPS 위성데이터만을 수신하였을 경우와 GPS와 GLONASS 위성데이터를 통합으로 수신했을 경우의 위치결정의 정확도를 비교분석하여 보고자 한다. 실험지역은 충청북도 청원군 오송읍 봉산리 일부 지역을 선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RTK GPS이란 무엇인가? RTK GPS는 알고 있는 한 점에 기준국을 설치하고 미지의 다른 점에 이동국을 설치한 후, 기준국에서 이동국으로 보정치를 전송함으로써 이동국의 위치를 cm 정확도로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 방법은 항상 기준국과 이동국으로 구성된 2개의 수신기를 필요로 하며, 기준국과 이동국간의 거리가 15Km 이내로 제한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RTK GPS 방식의 단점은 무엇인가? RTK GPS는 알고 있는 한 점에 기준국을 설치하고 미지의 다른 점에 이동국을 설치한 후, 기준국에서 이동국으로 보정치를 전송함으로써 이동국의 위치를 cm 정확도로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 방법은 항상 기준국과 이동국으로 구성된 2개의 수신기를 필요로 하며, 기준국과 이동국간의 거리가 15Km 이내로 제한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로 인하여 일정 거리를 초과하게 되면 위치결정의 정확도가 저하되거나 기준국과 이동국간의 데이터 수신이 되지 않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GPS는 어떤 분야에 사용되는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는 현재 측량, 항법 및 교통 GIS Mapping, 기상 및 해양, 재난 및 레저 등 여러 분야에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지적측량 분야에서의 GPS의 활용은 주로 지적기준점(지적삼각점 및 지적삼각보조점)의 위치결정 부분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MLTM, A Study on Preparation of Basis for Cadastral Re-Survey Project, Vol.5, p. 35, 2011. 

  2. Kwon, Kee Wook, Introduction to Satellite Surveying, DongHwa Technology Publishing, 2011. 

  3. Kim, Myong Ki, "Analysis of Readjustment Survey Data by Using VRS-focused on housing land development district in Gyeonggi province-", Master of Engineering, MyongJi University, 2011. 

  4. Park, Un Yong, Kim, Hui Gyu, Gwag, Du Ho, Baeg, Gi Seog, "The Analysis of Baseline Accuracy with the Combined GPS/GLONASS", Proceedings of the KSCE conference(2001),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pp. 2351-2354, 2001. 

  5. Sin, Dong Yun, Kim, Jin Soo, "Accuracy Estimation of Cadastral Control Point using the VRS RTK GP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adastre, Vol.24, No.2, pp. 127-134, 2008. 

  6. Lim, Won Ho, "Estimation of Work Efficiency using VRS RTK in Cadastral Surveying", Master of Engineering,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2009 

  7. Jang, Sang Kyu, Kim, Jin Soo, Jeong, Gong Uhn, "Accuracy Evaluation of Boundary Corner Point Using VRS GP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Vol.17, No.1, pp. 37-42, 2009. 

  8. Choi, Woo Seok, "A Study on the Cadastral Surveying Accuracy Analysis Using Permanent GPS Networks and VRS-RTK-Focused on the Cases of GeojeCity-", Master of Engineering,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pp. 1-2, 2011. 

  9. Choi, Yoon Su, Lee, Yong Chang, Kwon, Jae Hyeun, Lee Jae One,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GPS Virtual Reference System in South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ol.22, No.2, pp. 105-116, 2004. 

  10. Han, Joong Hee, Kwon, Jay Hyoun, Hong, Chang Ki, "Analysis of Network-RTK(VRS) Positioning Accuracy for Surveying Public Control Poi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Vol.18, No.2, pp. 13-20, 2010. 

  11. Hong, Sung Eon, "The Accuracy Analysis of Parcel Surveying by RTK-GPS and RTK-GPS/GLONASS", Journal of GISAK, Vol.14, No.2, pp.211-221, 2006. 

  12. http://www.topcon.co.k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