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적좌표 세계측지계 변환성과의 지적공부 적용 및 활용 방안
A Plan for Applying Cadastral Record to the Transformation of Cadastral Coordinates into the World Geodetic System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9 no.2, 2021년, pp.195 - 202  

홍성언 (청주대학교 지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장기적 관점에서 지적좌표 세계측지계 변환성과를 도해 및 수치지역의 지적공부에 단계적으로 적용·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현재 추진되고 있는 지적좌표의 세계측지계 변환성과는 변환 전후 면적의 차이가 불규칙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사례가 있었다. 또한 지적불부합 지역의 변환 오차의 누적 및 지적기준점에 대한 세계측지계 성과취득 기간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 2020년말까지 1차적으로 세계측지계 변환이 완료된 도면에 대해서는 연속지적도 등의 고도화를 통해 공간정보 및 관련 분야에 제공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지적측량 목적으로 사용되는 도면은 도해지역과 수치지역의 특성에 부합하도록 장기적으로 수치형태로 지적공부에 적용하는 방향으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세계측지계 변환성과를 도해 및 수치지역을 구분해 적용 및 활용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지적공부의 반영이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from a long-term perspective, we tried to find and present a plan to apply the results of transformation of cadastral coordinates to the world geodetic system in stages for cadastral records of graphical and digital cadastral area. There was a case where the difference in area before ...

주제어

표/그림 (8)

참고문헌 (17)

  1.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08). Surveying, Waterway Survey and Cadastral Law(Legislation Drafts). 

  2. I. S. Gwak, J. H. Kim, D. H. Nam & G. H. Jee. (2013). An Experimental Study of WGS Coordinate Transformation in Graphical Map Based Area. Journal of Cadastre & Land InformatiX, 43(2), 113-126. 

  3. Y. S. Bak. (2014). A Study on the Verification of Results in Transforming Local Coordinate to the World Coordinate and Its Accuracy Improvement. Master's thesis. Cheongju University, Cheongju. 

  4. H. N. Jeong. (2016). A Study on the Accuracy Analysis of World Geodetic System Transformation Using Azimuth and Distance. Master's thesis. The University of Seoul, Seoul. 

  5. C. H. Kim, W. H. Lee & M. S. Seo. (2016). A Study on Improvement and Problem of Application Method Using Common Points for the World Geodetic Coordinate Transformation of Cadastral Map. Journal of the Korean Cadastre Information Association, 18(2), 61-71. 

  6. G. B. Kim, G. H. Jeong & J. B. Jeon. (2019). Problems and Improvement Measures for the transformation of World Geodetic System. Journal of the Korean Cadastre Information Association, 49(2), 123-134. 

  7. I. L. Kim. (2020). An Analysis on the Application of Cadastral Survey to World Geodetic System Transformed Cadastral Map. Journal of the Korean Cadastre Information Association, 22(1), 3-17. 

  8. Korea Land and Geospatial Informatix Corporation&The Korean Society of Cadastre. 2020). Newest Cadastral Surveying, Seoul : Goomibook Publishing. 

  9. C. S. Park. (2010). A Study on Converting Cadastral Coordinate System into Global Coordinate System. Master's thesis. Cheongju University, Cheongju, 15. 

  10. The Seoul Institute. (2004). Countermeasure of Geographic Information in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ccording to World Geodetic System Transformation, 17. 

  11. W. C. Yeo. (2011). A Study on Change Detection of Boundary Point Coordinates According to Transformation of World Geodetic System. Doctor's thesis. Mokpo National University, Mokpo, 18-19. 

  12.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8). Global Geodetic System Transformation Regulations for Cadastral Record(Article 8-19). 

  13.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20). Cadastral Statistical Annual Report. 

  14. S. B. Lee & G. W. Kim. (2012). Accuracy Analysis of the Cadastral Control Point Coordinates based on Regional Geodetic Reference System Estimated by the World Geodetic Reference System Coordinates. Journal of the Korean Cadastre Information Association, 14(1), 3-20. 

  15. G. W. Kim & S. B. Lee. (2012). A Study on Transformation to World Geodetic Reference System of the Cadastral Map in Local Government(Jinju Ci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adastre, 6(1), 15-24. 

  16. S. E. Hong. (2015). Plans for Cadastral Information Quality Improvement.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3(2), 185-192. 

  17. S. E. Hong. (2020).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Improvement Plans of Expected Cadastral Coordinate Mapping for Cadastral Confirmation Surveying,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8(2), 73-8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