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생의 직업기대와 능력지각 및 흥미 일치도 분석
Corresponde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ticipated Vocations, Perceived Competencies, and Interest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4 no.1, 2013년, pp.184 - 193  

서지윤 (경기대학교 대학원 직업학과) ,  김미경 (경기대학교 대학원 직업학과) ,  송수용 (경기대학교 대학원 직업학과)

초록

본 연구는 Holland의 RIASEC 모형을 중심으로 초등학생의 직업기대와 능력지각 및 흥미 일치도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초등학생 659명을 대상으로 직업기대, 능력지각, 흥미 검사결과를 토대로 Kappa 일치 지표를 이용하여 각 변인들의 일치도 분석과 성별, 학년에 따른 일치도 분석을 실시하여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직업기대-능력지각, 직업기대-흥미, 능력지각-흥미 일치도는 일반 Kappa, 가중치 Kappa 두 지표 모두 유의미하게 검증되었다. 초등학생의 성별에 따른 일치도 분석 결과 직업기대-능력지각에서는 남자, 여자 모두 유의미한 일치도를 나타냈다. 직업기대-흥미, 능력지각-흥미에서는 남자만 유의미한 일치도를 나타냈고, 학년에 따른 일치도 분석은 직업기대-능력지각에서는 5학년, 6학년 모두 유의미한 일치도를 나타냈다. 직업기대-흥미, 능력지각-흥미에서는 5학년만 유의미한 일치도를 나타냈고, 6학년은 흥미 항목에 대해 C(관습형)로 응답한 사람이 없었기 때문에 통계량을 계산할 수 없었다. 전체적으로 초등학생의 직업기대, 능력지각, 흥미 간에는 유의미한 일치 관계가 있음을 나타냈다. 이는 초등학교 5, 6학년이 되면 직업인식에서 능력과 흥미요인을 고려한다는 것을 뜻하며, 진로지도와 교육에 있어 이를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a correspondence of children's anticipated vocations, perceived competencies, and interests. For the purpose, this study asked 659 primary school students what activities they liked, those they thought they were good at, and what job they expected when they grew up. The respons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진로발달의 초기 단계에서 기초적인 진로인식을 형성하는 중요한 시기인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그들의 직업기대와 능력지각 그리고 흥미 간의 일치도를 Holland의 RIASEC 모형을 분류도구로 활용하여 살펴보고 그것이 성별과 학년별로 차이를 나타내는 지에 대한 검증에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연구결과를 살펴보고 이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직업기대와 능력지각 그리고 흥미 요인을 통합해서 그 일치도를 살펴본 우리나라에서의 최초의 연구이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 초등학생들이 그들의 직업인식에서 능력과 흥미 요인을 고려하고 있음을 살펴보았고, 기존연구와는 다르게 더 빠른 시점에서 진로 발달이 이루어진다는 결과를 나타냈다.
  • 본 연구는 진로발달의 초기 단계에서 기초적인 진로인식을 형성하는 중요한 시기인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그들의 직업기대와 능력지각 그리고 흥미 간의 일치도를 Holland의 RIASEC 모형을 분류도구로 활용하여 살펴보고 그것이 성별과 학년별로 차이를 나타내는 지에 대한 검증에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연구결과를 살펴보고 이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 또한 김병진[46]은 성격유형과 전공, 직업의 유형이 일치할수록 만족도와 성취도가 높게 나타남을 밝혔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직업기대와 능력지각 및 흥미를 Holland의 RIASEC 코드로 전환하여 그 일치도를 살펴봄으로써 그들의 진로인식 및 진로발달에 대한 단초를 살펴보고자 한다.
  •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5, 6학년 초등학생들의 직업 기대와 능력지각 그리고 흥미 간에는 유의미한 일치관계가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초등학생의 진로지도와 진로교육에 어떠한 시사점을 주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직업기대와 능력지각 및 흥미 간의 관계를 Holland의 RIASEC 모형을 중심으로 일치도를 살펴봄으로써 진로인식의 초기 직업적 자기개념을 형성해 가야할 초등학생을 위한 진로교육과 진로지도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와 유사한 연구가 이탈리아에서 진행되었다.
  • 첫째, 초등학생의 직업기대, 능력지각, 흥미 일치도는 어떠한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진로란 무엇인가? 진로의 위기 시대가 왔다고 할 수 있다. ‘진로’란 개인이 그의 일생을 통해서 하는 일의 총체를 일컫는 개념이다[1]. 이러한 진로에 대해 조금 더 일찍 충분히 숙고하고 준비하지 못했기 때문에 나타난 현상이라고 볼 수 있다.
자기 자신과 일의 세계에 대한 기본적인 인식을 통해 직업적 자아개념을 형성하는 시기는 언제인가? 이러한 진로에 대해 조금 더 일찍 충분히 숙고하고 준비하지 못했기 때문에 나타난 현상이라고 볼 수 있다. 자기 자신과 일의 세계에 대한 기본적인 인식을 통해 직업적 자아개념을 형성하는 시기가 바로 초등학교 시기이다[2]. 따라서 초등학교 시기부터 진로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준비를 해가는 것이 개인의 생애 발달에 대단히 중요하다.
청년실업 문제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이 현상을 무엇 때문에 나타난 현상이라고 보는가? ‘진로’란 개인이 그의 일생을 통해서 하는 일의 총체를 일컫는 개념이다[1]. 이러한 진로에 대해 조금 더 일찍 충분히 숙고하고 준비하지 못했기 때문에 나타난 현상이라고 볼 수 있다. 자기 자신과 일의 세계에 대한 기본적인 인식을 통해 직업적 자아개념을 형성하는 시기가 바로 초등학교 시기이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Kim Choong Ki, Kim Hyun-ok, Career education and career counseling, Kunkook University, Seoul, 1993. 

  2. Kim Choong Ki, Career education and career guidance, Baeyoungsa, Seoul. 1992. 

  3. Lee, Young Dae, "Development Strategy of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in the Life Long Learning Society", Business Education and Research, 3(1), 2001. 

  4. Gong, Younn Jung, "The Influences of Career-Related Parental Support and Children`s Locus of Control on Children`s Career Development", The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Vol.21 No.3, 2008. 

  5. Super, D. E. Career and life development. In D. Brown & Brooks(Eds). Career choice and evelopment. San Francisco: Jossey-Bass Publishers, 1984. 

  6. Holland, J. L. Exploring careers with a typology. American Psychologist, 51, 397-406, 1996. DOI: http://dx.doi.org/10.1037/0003-066X.51.4.397 

  7. Kim, Seon Yeong, Differences in Psychological Well-being of Undergraduate Students in Correspondence Level Between Vocational Personality and Degree Preference of Holland's Theory, MA Thesi, Pusan National University, 2009. 

  8. Prime, D. R., Nota, L. Ferrari, Schultheiss, K. E., Soresi, S., & Tracey, T. J. G. Correspondence of children's anticipated vocations, perceived competencies, and interests: Results from an Italian sample.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77, 58-62, 2010. DOI: http://dx.doi.org/10.1016/j.jvb.2010.02.012 

  9. Johnson, L. A multidimensional analysis of the vocational aspirations of college students. Measurement & Evaluation in Counseling & Development, 28(1), 25-44, 1995. 

  10. Rojewski, S. W. Occupational aspirations: Constructs, meaning, and application. In S. D. Brown, & R. W. Lent (Eds.), Career development and counseling: Putting theory and research to work (pp. 131-154), 2005. 

  11. Gottfredson, L. S. Circumscription and Compromise: A Developmental Theory of occupational Aspiration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28(6), pp.545-579, 1981. DOI: http://dx.doi.org/10.1037/0022-0167.28.6.545 

  12. Helwig, A. A. A test of Gottfredson's theory using a ten-year longitudinal study. Journal of Career Development, 28, 77-95, 2001. DOI: http://dx.doi.org/10.1023/A:1012578625948 

  13. Lent, R. W., Brown, S. D., & Hackett, G. Toward a unifying social cognitive theory of career and academic interest, choice, and performance.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45, 79-122, 1994. DOI: http://dx.doi.org/10.1006/jvbe.1994.1027 

  14. Phipps, B. Career dreams of preadolescent students. Jouranl of Career Development, 22, 19-32, 1995. DOI: http://dx.doi.org/10.1007/BF02247893 

  15. White, R. W. Motivation Reconsidered: The Concept of Competence. Psychological Review, 66, 297-333, 1960. DOI: http://dx.doi.org/10.1037/h0040934 

  16. Cause, A. M. School and peer competence in early adolescence: A test of domain specific self perceived competence. Developmental Psychology, 23, 287-291, 1987. DOI: http://dx.doi.org/10.1037/0012-1649.23.2.287 

  17. Kim, Hyun-ok, "Effect of Children's Social Network on Self-Perceived Competence, Ego-Resilienc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Ph.D. dissertation, Dongduk Women's University, 2010. 

  18. Harter, S. The perceived competence scale for the children. Child Development, 53, 87-97, 1982. DOI: http://dx.doi.org/10.2307/1129640 

  19. Han, Jong Hye, "Perceived Competence and self-esteem, according to the child's social network", Ph.D. dissertation, Kyung Hee University, 1996. 

  20. Fryer, D. The measurement of interests. Henry Hold & Co. Inc., New York, 1931. 

  21. Guilford, J. P. Personality. McGraw Hill Book Co. Inc., New York, 1959. 

  22. Chang In Hee,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behavior perceived by adolescent and self-perceived competence", MA Thesi, Korea University, 2004. 

  23. Sharf, R. S. Applying Career Development Theory to Counseling(4th ed). Belmont, CA: Thomson, Brooks/Cole, 2006. 

  24. Lee, Jong Bum, "(The)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career development inventory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Ph.D.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5. 

  25. Super, D. E. Psychology of Careers, New York: Haper & Row, 1967. 

  26. Savickas, M. L., & Spokane, A. R. Vocational interest: Meaning, measurement, and counseling use. Palo Alto: Davies-Black Publishing, 1999. 

  27. Hartung, P. J., Profeli, E. J., & Vondreck, F. W. Child vocational development: A review and reconcideratio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In Press, Corrected Proof, Available online 11 September 2004. 

  28. Tracey, T. J. G., & Ward, C. C. The structure of children's interests and competence perception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5(3), 290-303, 1998. DOI: http://dx.doi.org/10.1037/0022-0167.45.3.290 

  29. Kim, Byung Sook, & Kim, Duck Hwan & Kim, Min jung, "Value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in the Holland Personality Type cerebral hemisphere dominant characteristics and relationship analysis", The Journal of Career Education Research, 24(3), 77-98, 2011. 

  30. Holland, J. L. Making Vocational Choices A Theory of Careers, Englewood Cliffs, N. J.: Prentice-Hall, 1973. 

  31. Song, Eun Ja, "A Study on the Developmental Variability of Sex-role Identities and Vocational Aspiration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MA Thesi, Pusan National University, 2004. 

  32. Lee, Jung Im, "Identity and career aspiration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roles", MA Thesi, Aju University, 2008. 

  33. Lim Eun Kyung, "(The) Development of Vocational Aspirations in Grade School Children", Ph.D. dissert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2000. 

  34. Yang Nan Mi, Lee Eun Kyung, "Academic involvement and learning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 the career aspirations of parents self-efficac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research", Korean Journal of Psychological and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0(2), 455-472, 2008. 

  35. Jun, Sun Mi, "Variables Associated with Vocational : Aspirations Formation in Rural Area Elementary Students", MA Thesi, Che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09. 

  36. Nota, L. Ferrari, L, Solberg, V. S. H., & Soresi, S. Career search self-efficacy, family support, and career indecision with Italian yourth.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15(2), 181-193, 2007. DOI: http://dx.doi.org/10.1177/1069072706298019 

  37. Lent, R. W., Tracey, T. J. G., Brown, S. D., Soresi, S., & Nota, L. Development of interests and competency beliefs in Italian adolescents: An exploration of circumplex structure and bidirectional relationship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3(2), 181-191, 2006. DOI: http://dx.doi.org/10.1037/0022-0167.53.2.181 

  38. Tracey, T. J. G. Development if interests and competency beliefs: A 1-year longitudinal study of fifth-to eight-grade students using the ICA-R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9(2), 148-163, 2002. DOI: http://dx.doi.org/10.1037/0022-0167.49.2.148 

  39. Tracey, T. J. G. The development of structure of interests in children: Setting the stage.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59(1), 89-104, 2001. DOI: http://dx.doi.org/10.1006/jvbe.2000.1787 

  40. Gong, In Sook, "Children's perception of parental warmth and control and their self-porceived competence", MA Thesi, Seoul National University, 1989. 

  41. Lee, Juri, "Home Environment and Children's Self-Perceived Competence", Journal of the Korean Home Managemenr Research, Vol.9, No.1, 131-144, 1994. 

  42. Kim, Chi Young, "Children's Perceived Competence and It's Relation to Academic Achievement", MA Thesi, Sookmyung Women's University, 1987. 

  43. Kang, Tae Won, "Study on the perception of social support and children's own abilities", MA Thesi, Dong-a Universiry, 1999. 

  44. Cho Boong Hwan, "Multicultural families, elementary school students' learning interests and career development", The Journal of Career Education Research, 24(2), 219-245, 2011. 

  45. Patton, W. & Creed, P.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Variables and Occupational Aspirations and Expectaions for Australian High School Adolescents. Jouranl of Career Development, 34, 127-148, 2007. DOI: http://dx.doi.org/10.1177/0894845307307471 

  46. Kim, Byung Jin, "Relationships among Congruence Level of Holland Vocational Types, Job Satisfaction and Job Accomplishment", Ph.D. dissert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