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Holland 6각형 프로파일을 통한 진로몰입 사례분석
The Case Analysis of Career Commitment using Holland's Hexagonal Model Profile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9 no.3, 2018년, pp.439 - 455  

노양희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직업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Holland 6각형 모형에서 계측성 상관계수가 .16으로서 둘 간 상관이 매우 낮은 탐구형(I)과 진취형(E)이 결합할 때 나타나는 진로몰입과 관련한 행동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탐구형(I)과 진취형(E)이 각각 높은 점수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값을 가진 개인과 각각 낮은 점수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개인은 진로몰입에 대해 다르게 행동하는가? 다르다면 어떻게 다른 행동 특성을 나타내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는 두 코드값 18점 이상자 3명과 18점 미만자 3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진행하여 그 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탐구형(I)과 진취형(E) 코드값이 동시에 높은 연구대상자들은 높은 진로몰입을 보였는데 목표지향성이 매우 강하고 긴 미래시간전망을 가지고 발전을 추구하며 스스로 동기부여를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시에 높은 진로기대감과 진로탄력성을 가지고 진취적으로 자신의 진로를 계획하며 일정한 희생도 감수했다. 독립성을 중시하고 타인이나 외부환경의 영향에 민감하지 않으며 독자적인 진로 의사결정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탐구형(I)과 진취형(E) 코드값이 동시에 낮은 연구대상자들은 진로몰입의 중요성을 잘 알고 의지도 있으며 스스로 몰입하고 있다고 생각하기도 하나 실상은 주변 사람이나 외부 환경의 영향으로 몰입도가 낮아지는 모순을 나타냈다. 이들은 미래 진로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있었지만 자신의 논리에 근거한 일관성이나 계획보다는 주변의 평가나 관계, 외부환경의 끌리는 자극에 민감히 반응하여 결정이나 계획이 움직이는 경향을 보였다. 이 때 진로몰입의 수준과 특성을 결정하는 것은 사회형(S) 코드값의 크기와 관련이 있다. 본 연구는 심층적 진로상담서비스에 활용될 수 있는데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designed to analyze the behavior characteristics of people, who have the same or similar Investigative (I) and Enterprising (E) Holland code scores, toward their career commitment. The calculus of the two codes is .16, which means that they are inconsistent and full of oppositions. Es...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Holland가 발표한 개념들은 무엇인가? 이와 같이 Holland의 성격이론은 청소년기에서의 직업선택이나 직업전환을 위한 직업선택에 탁월한 이론으로 평가된다. Holland는 자신의 이론을 개인이 직업을 선택하여 활동하게 되는 환경이 더 중요하다고 보기 때문에 일관성, 차별성, 정체성, 일치성, 계측성 5개의 개념을 발표하였고 이 개념들은 개인과 환경의 적응 및 갈등 요소 파악에 중요한 틀이 되었다. Holland는 5개 개념 중 일관성, 차별성, 정체성, 일치성에 대하여 대부분을 할애하여 설명하였고 특히 일관성, 차별성, 정체성에 대하여 검증하는 연구에 평생 동안 몰두하였다.
6각형 모형에서 6각형은 무엇을 설명하는가? 계측성에 대하여 Holland는 단지 ‘유형들(환경)내 또는 유형들 간의 관계는 6각형 모형에 따라 정리될 수 있는데, 6각형 모형에서 유형(환경)들 간의 거리는 그것들 사이의 이론적 관계에 반비례한다. 여기서 6각형은 개인(환경) 간 또는 개인 내에 있는 일관성의 정도를 나타내주는 도형으로 이론의 본질적 관계를 설명해 준다[2].'로 언급하는 것이 전부였다.
Holland의 성격이론은 어떻게 평가되는가? Holland[1]는 “직업 선택은 성격의 투사다”라고 하였다. 이와 같이 Holland의 성격이론은 청소년기에서의 직업선택이나 직업전환을 위한 직업선택에 탁월한 이론으로 평가된다. Holland는 자신의 이론을 개인이 직업을 선택하여 활동하게 되는 환경이 더 중요하다고 보기 때문에 일관성, 차별성, 정체성, 일치성, 계측성 5개의 개념을 발표하였고 이 개념들은 개인과 환경의 적응 및 갈등 요소 파악에 중요한 틀이 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J. L. Holland, Making Vocational Choices: A theory of Vocational Personalities and Work Environments(3rd ed.),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Inc., Odessa, FL. 1997. 

  2. J. L. Holland, Making Vocational Choices: A theory of Vocational Personalities and Work Environments(2nd ed.), Englewood Cliffs, New Jersey Prentice-Hall, 1985. 

  3. J. L. Holland, Making Vocational Choices: A theory of Vocational Personalities and Work environments(2nd ed.),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Inc., Odessa, FL. 1992. 

  4. G. J. Blau, "The Measurement and Prediction of Career Commitment", Journal of Occupational Psychology, vol. 58, no. 4 pp. 277-288, 1985. DOI: https://doi.org/10.1111/j.2044-8325.1985.tb00201.x 

  5. V. A. Harren, "A Model of Career Decision Making for College Student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 14, no. 2 pp. 119-133, 1979. DOI: https://doi.org/10.1016/0001-8791(79)90065-4 

  6. S. Aryee, K. Tan, "Attendance and Outcomes of Career Commitmen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 40, no. 3 pp. 288-305, 1992. DOI: https://doi.org/10.1016/0001-8791(92)90052-2 

  7. D. T. Hall, "A Theoretical Model of Career Subidentity Development in Organizational Setting",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Performance, vol. 6, no. 1 pp. 50-76, 1971. DOI: https://doi.org/10.1016/0030-5073(71)90005-5 

  8. K. D. Carson, "Career Commitment: Construction of a Measure and Examination of its Psychometric Propertie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 44, no. 3, pp. 237-262, 1994. DOI: https://doi.org/10.1006/jvbe.1994.1017 

  9. F. Noordin, W. Trevor, C. Zimmer, "Career Commitment in Collectivist and Individualist Cultures: a Comparative Study",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vol. 13, no. 2 pp. 35-54, 2002. DOI: https://doi.org/10.1080/09585190110092785 

  10. Eddie W. L. Cheng, Danny C. K. Ho, "The Influence of Job and Career Attitudes on Learning Motivation and Transfer", Career Development International, vol. 6, no. 1, pp. 20-28, 2001. DOI: https://doi.org/10.1108/13620430110381007 

  11. B. H. Jung, C. G. Ahn, "Career Development of Adults with Artistic and Conventional Occupatio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vol. 14, no. 1, pp. 1-30, 2004. 

  12. B. J. Kim, "Relationships among Congruence Level of Holland Vocational Types, Job Satisfaction and Job Accomplishment",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Ph.D Thesis, 2008. 

  13. M. M. Nauta, "The Development, Evolution, and Status of Holland's of Vocational Personalities: Reflections and Future Directions for Counseling Psychology",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 57, no. 1, pp. 11-22, 2010. DOI: https://doi.org/10.1037/a0018213 

  14. Terence J. G. Tracey, B. Wille, M. R. Durr II, F De Fruyt, "An Enhanced Examination of Holland's Consistency and Differentiation Hypothese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 84, no. 3, pp. 237-247. 2014. DOI: http://dx.doi.org/10.1016/j.jvb.2014.01.008 

  15. T. T. Ishitani, "Exploring the Effects of Congruence and Holland's Personality Codes on Job Satisfaction: An application of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Technique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 76, no. 1, pp. 16-24, 2010. DOI: https://doi.org/10.1016/j.jvb.2009.06.014 

  16. M. O. Wiley, T. M. Magoon, "Holland High-point Social Types: Is Consistency Related to Persistence and Achievemen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 20, no. 1, pp. 14-21, 1982. DOI: https://doi.org/10.1016/0001-8791(82)90059-8 

  17. J. L. Huang, M. Pearce, "The Other Side of the Coin: Vocational Interests, Interest Differentiation and Annual Income at the Occupational level of Analysi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 83, no. 3 pp. 315-326, 2013. DOI: https://doi.org/10.1016/j.jvb.2013.06.003 

  18. B. S. Kim, J. I. Lee, "The Case Study of Consistency and Calculus using Holland's Hexagonal Model on the Career Indecisive Cli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5, no. 20 pp. 828-837, 2014. DOI: http://doi.org/10.5762/KAIS.2014.15.2.828 

  19. S. H. Choi, S. H. Seo, S. Y. Song, "The Analysis of Vocational Behavior in the Inconsistency Profiles using Holland's Hexagonal Model" KAIS, vol. 18, no. 11, pp. 509-525, 2017. 

  20. A. B. Barker, E. Demerouti, "The Job Demands­ Resources Model: State of the Art" The Journal of Managerial Psychology, vol. 22, no. 3 pp. 309-328, 2007. DOI: https://doi.org/10.1108/02683940710733115 

  21. H. D. Kim, J. W. Kim, Y. J. Choi,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Job Characteristics, Job Involvement, and Self-Efficacy of Employees in Domestic Corporations", Journal of Corporate Education and Talent, vol. 16, no. 1 pp. 101-127, 2014. 

  22. S. K, Hwang, "A Study on the Effects of Self-Leadership on Job Involvement: The Mediating Effects of Intrinsic Motivation", pp. 87-103, 2011. 

  23. Y. H. Choi,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nd Practices, Education and Science sa, 2012. 

  24. J. W. Creswell,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Traditions, Hakjisa, 2010. 

  25. R. E. Stake, Art of Case Study Research : Perspectives on Practice, Sage Publications, 1995. 

  26. I. Seidman, Interviewing as Qualitative Research (3rd. Ed.), Hakjisa, 2009. 

  27. S. N. Cho, H. J. Lee, Y. J. Joo, N. Y. Kim, Qualitative Research Design & Practice, Hakjisa, 2011. 

  28. Y. C. Kim, S, W Ju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5: Data Analysis, Seoul: Academi press, 2017.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