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비일관성의 Holland 6각형 프로파일 직업행동 분석
The Analysis of Vocational Behavior in the Inconsistency Profiles using Holland's Hexagonal Model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8 no.11, 2017년, pp.509 - 525  

최선희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직업학과) ,  서설화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직업학과) ,  송수용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직업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Holland의 일관성 개념과 6각형 모형에서 나타난 성격유형간의 상대적 거리에서 비일관성을 보이는 유형이 진로경로에서 보이는 독특한 문제해결방법 및 태도, 특징적인 흥미 성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대상은 한국직업상담협회, 한국자활연수원, 한국장애인고용공단 등에서 연수를 받은 87명의 대상자 중에서 Holland 6각형 프로파일에서 비일관성이 나타난 6명을 대상으로 면담하여 주제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한 결과, 비일관성 3코드를 지닌 연구대상자들은 4가지 특징-세 가지 이상의 진로 경험, 다양한 흥미 추구, 진로몰입도, 진로정체성 등으로 나타났다. 비일관성의 연구대상자들은 개인이 갖는 Holland 3코드에 의해 직업행동에 영향을 받으며, 사람-환경 적합 이론의 Holland 이론에서 벗어난 직업행동을 보이고, 진로정체성에 대하여 긍정, 양가적, 혼돈 등의 형태를 보였다. 또한 같은 비일관성 유형 내에서도 관습형(C)-탐구형(I)-사회형(S) 3코드와 예술형(A)-진취형(E)-현실형(R) 3코드를 갖고 있는 연구대상자의 진로경로 개척시에 직업행동 특징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이는 Holland 3코드가 갖는 의미와 관련이 있다. 본 연구는현 재 우리나라에서 제공되고 있는 직업상담서비스의 개선점을 제시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a unique method of problem-handling, attitudes, and specific interest propensity in the career path of the type with inconsistency in the relative distance between personality type in Holland's hexagonal model. In-depth interviews and theme analysis with six clients who showed in...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Holland가 제시한 5가지의 개념은 무엇을 파악하는 틀이 되는가? Holland[2]는 이러한 6각형 모형의 분석에 바탕이 되는 일관성, 차별성, 일치성, 정체성, 계측성 등 5가지의 개념을 제시하였다. 이 개념은 진로에 대한 사람과 환경의 적응에서 갈등요소를 파악하는 틀이 되고 있다.
일관성을 조작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무엇인가? 예를 들어 탐구적(I)이고 관습적(C)인 활동에 흥미를 가진 현실형(RIC)은 설득적(E)이고 사회적(S)인 활동에 선호를 나타내는 현실형(RES)보다 더 일관성이 크다. 일관성을 조작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Holland 코드 첫 두 문자를 사용하는 것이다. 첫 두 문자가 육각형에서 바로 인접해 있을 때 일관성이 높게 나타난다(예 : RI 또는 SE).
Holland 6각형 모형은 무엇인가? Holland 6각형 모형[1]은 Holland 이론의 성격유형인 RIASEC을 각각 6각형의 한 지점에 위치시켜 각 유형들 간의 관계와 심리적 유사성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고안된 기하학적 모형이다. 즉 6각형 모형의 왼쪽 상단부터 현실적(realistic; R)・탐구적(investigative; I)・예술적(artistic; A)・사회적(social; S)・진취적(enterprising; E)・관습적(conventional; C) 등이 시계방향으로 배열되어 있어 사람의 성격유형이나 환경유형의 프로파일 패턴을 손쉽게 비교 분석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J. L. Holland, Making vocational choices : A theory of vocational personality and work environments(3rd ed.),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1997. 

  2. J. L. Holland, Making Vocational Choices(2nd ed.),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1992. 

  3. L. V. Gordon, The measurement of interpersonal values, Science Research Associates, 1975. 

  4. R. Sweet, Work values and Holland typologies-Some side excursions Research Workshop, Australian Council for Educational Research, 1982. 

  5. M. H. Seo, "Evaluating the Cross-Cultural Validity of Holland's Theory in Korea", Ewha Women's University, MA. Thesis, 2001. 

  6. J. T. Kim, M. J. Kim, H. S. Sim, "A Study of Korean Standardization of Strong Interest Inventory",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vol. 16, no. 3 pp. 383-405, 2004. 

  7. H. J. Kim, "Applicability of Holland's Vocational Interest Model for Korean University Students", Korea Journal of Counseling, vol. 8, no. 2 pp. 603-619, 2007. DOI: https://doi.org/10.15703/kjc.8.2.200706.603 

  8. B. H. Jung, C. G. Ahn, "Career Development of Adults with Artistic and Conventional Occupatio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vol. 14, no. 1 pp. 1-30, 2004. 

  9. C. Y. Cho, "Relationship between Childcare Teacher's Vocational Personality Type and Their Job Satisfaction by Holland Aptitude Exploration Inventory",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M. A. Thesis, 2010. 

  10. J. M. O'Neil, T. M. Magoon, "The predictive power of Holland's investigative personality type and consistency levels using the Self-Directed Search",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 10, pp. 39-46, 1977. DOI: http://dx.doi.org/10.1016/0001-8791(77)90040-9 

  11. J. M. O''Neil, T. M. Magoon, T. J. Tracey, "Status of Holland's investigative personality types and their consistency levels seven years later",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 25, pp. 530-535, 1978. DOI: http://dx.doi.org/10.1037/0022-0167.25.6.530 

  12. M. O. Wiley, T. M. Magoon, "Holland high-point social types: Is consistency related to persistence and achievemen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 20, pp. 14-21, 1982. DOI: http://dx.doi.org/10.1016/0001-8791(82)90059-8 

  13. B. S. Kim, J. I. Lee, "The Case Study of consistency and calculus using Holland's Hexagonal model on the career indecisive cli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5, no. 20 pp. 828-837, 2014.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4.15.2.828 

  14. S. J. Kim, "The Analysis of Career Adaptability by Cultural Self-Construal, Preference Types, Work Value Subtype", Department of Vocation Graduate School, Kyonggi University, Ph.D, Thesis, pp. 10-12, 2012. 

  15. B. S. Kim, Job cards for the youth and the general public category guidelines(2nd. Ed.), Korea Vocational Counseling Association, 2011. 

  16. S. N. Cho, H. J. Lee, Y. J. Joo, N. Y. Kim, Qualitative Research Design & Practice, Hakjisa, 2011. 

  17. U. Flick, An Introduction to Qualitative Research, Hanwool, 2009. 

  18. J. W. Creswell, Qualitative Inquiry &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eve Approaches(2nd ed.), Hakjisa, 2010. 

  19. S. O. Han, "A analysis on career adaptability and the recovery processes of career capital for career capital-damaged experiencers", Kyonggi University, Ph. D, Thesis, pp. 40, 2016. 

  20. H. F. Wolcott, Transforming qualitative data: Description, analysis, and interpretation. Thousand Oaks, CA: Sage, 1994. 

  21. Y. C. Kim. Nitride Research Methodology, Seoul : akademi peuleso, 2010. 

  22. J. H. Kim,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Work Values Scale for University Students based on Holland's Vocational Personality Type", Jeju National University, Ph. D, Thesis, pp. 26-29, 20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