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Holland 유형별 대학생의 진로걱정이 진로결정상태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Vocational Decision Status According to Career Worries of Holland Preference Type's University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6 no.5, 2015년, pp.3111 - 3120  

최민서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직업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대학졸업예정자의 Holland 유형에 따라 진로결정상태를 분석하고 진로결정상태에 진로걱정이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여 매개효과를 밝힘으로서 상담자들이 상담 장면에서 대학생들의 진로걱정의 다양함을 고려한 상담진행으로 내담자의 자기실현을 이루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현재까지 우리나라에서 실시되고 있는 집단 상담 프로그램 및 진로상담의 효과에 관한 연구들이 내담자의 진로걱정의 차이를 고려하지 않고 동일한 프로그램과 상담방식으로 진행해왔음을 고려해 볼 때, 본 연구는 보다 효과적인 진로상담을 위해, 차별적인 상담개입과 전략을 세우기 위한 기초의 연구로서 중요한 의의가 있다. 본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 충정지역의 4년제 대학교 중 4학년 2학기의 졸업예정자 총 606명이며, 자료 수집은 2013년 11월 4일부터 약 2주간에 걸처 표준화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사용하여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Holland 유형별 대학생의 진로걱정과 진로결정상태에 대한 차이를 검증한 결과 진로걱정정도와 진로걱정유형이 Holland 유형별로 다르게 나타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Holland 유형별로 차이를 보인 진로결정상태에서 진로걱정이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진로에 대한 무걱정과 걱정, 그리고 진로결정유형 중 의존성이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진로걱정이 대학생의 진로결정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매개효과를 밝혔다는데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analyzes the decision-making status of expected graduates depending on their Holland preference type, as well as the influence career worries have on vocational decision status. By discovering this mediating effect, career counselors can carry out counseling based on the variety of ca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졸업예정자의 Holland 유형에 따라 진로결정상태를 분석하고 진로결정상태에 진로 걱정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진로결정상태란 무엇인가? 진로결정상태(vocational decision status)는 진로결정 과정에서 개인이 현재 위치하고 있는 지점과 개인이 경험하는 정서를 의미한다[17]. Savickas는 결정성과 편안성 척도의 점수로 '결정한-편안한', '결정한-불편한', ‘미결정한-편안한', '미결정한-불편한'으로 내담자의 결정수 준을 구분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18].
대학졸업예정자에게 취업의 의미는 무엇인가? 대학졸업예정자들에게 취업이란 단순히 직업선택과 관련된 활동만이 아닌 전 생애 활동 중 진로목표 및 진로가치관 형성의 첫발을 내딛는 기초 단계로써 포괄적인 개념이다.
Holland 유형의 6가지 특성은 무엇인가? 첫째, 현실적 유형은 추상적인 것보다 확실한 것을 다루며 보다 현재지향적이며 직접 손을 사용하고, 복잡한 사물들에서 격려되고 보상을 받는 환경을 선호한다. 둘째, 탐구적 유형은 관측, 학습 조사, 분석, 평가, 문제해결 등을 좋아하는 사람들로서, 학문적이거나 과학적인 성공을 선호한다. 셋째, 예술적 유형은 상상적이고 창조적인 것을 지향 하며 심미적․혁신적․직관적 능력을 소유하고 구조화된 작업환경을 싫어한다. 넷째, 사회적 유형은 인간의 문제와 성장, 인간관계 등을 지향하며, 사람과 직접 일하기를 좋아하고 원만한 관계를 갖는다. 다섯째, 진취적 유형은 주장이 강하고 지배적이며, 새로운 도전을 가치 있게 여기고 자기확신을 갖는 경향이 있다. 그들은 대화를 중시하고 설득적이며 영향력 있고, 조직체를 위한 관리나 경제적인 목표 등에 관련된 언어를 사용한다. 여섯째, 관습적 유형은 규칙을 따르고 구조적이며 예언적인 것을 좋아한다. 이들은 자료를 갖고 일하기를 좋아하며, 타인의 지시에 기꺼이 따르고 세부적 활동을 수행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http://www.moe.go.kr(2014. 4) 

  2. http://kosis.kr(2015.01) 

  3. Namhee Goo, A Study of Career Decision-Making Features According to Career Types of Holland, Korean Career Counseling Research, Vol. 3, No. 1, pp. 123-139, 1998. 

  4. Soyeon Hwan, Kum Lan Yu,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ncouragement in the relation between affectivity to career decision status and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on the Student Counseling Center 

  5. Hyeyeon Park. The effect of openness, perfection ism, career compromise and career barriers on career decision status, Konkuk University of Korea master's thesis, 2012. 

  6. Hyunkyun Shin, Jaeyoon Chang, The relationship among personality characteristics, gender, job-seeking stress and mental health in collegeseniors,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22 No. 4 , pp815-827, 2003 

  7. Migyeon Kim, The Effect of Anxiety Level for the Cognition of Employment Possibility of University Student, Kyonggi University of Korea master's thesis, 2008. 

  8. Jeeyoon Suh, Analyses of Relationship Between the Employment Insecurity and The Standard of Selecting Workplace of Senior Students, Kyonggi University of Korea master's thesis, 2008. 

  9. Taylor, K. M., & Popma, J. An examination of the relationships among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areer salience, locus of control and vocational indecisio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37, 17-31. 1990. DOI: http://dx.doi.org/10.1016/0001-8791(90)90004-L 

  10. Sunjoong Kim, The Influence of Career Barriers, Hope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n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Hongik University of Korea master's thesis, 2005. 

  11. Eunyoung Kim, Korean College Students'Career Indecision in Relation to Their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logy, Vol. 19, No. 4, pp.1079-1100, 2007. 

  12. Mikyoung Cho, Eunji Choi, Jiwon Lee, Yuna Lee, Jiyoung Chae, Correlations in Appearance, Job-seeking Stress and Job-seeking Anxiety in Undergraduates,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Vol. 10, No. 2, pp. 141-150, 2013. 

  13. Jeuong-A Kim, The Effects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Job Preparation Behavior, and Stress Coping On Job-Seeking Stress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Secretarial Studies, Journal of Secretarial Science, Vol. 23, No. 1, pp. 141-164, 2014. 

  14. Brown, S. D. & Lent, R. W.A social cognitive framework for career choice counseling. Career Development Quarterly, 44, 354-366.1996. 

  15. Juhyun Park, Hoonjin Lee, The Effects of Worry Specificity on Anxiety and Cognitive Appraisals, Department of Psych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Vol. 13, No. 1, pp. 33-50, 2013. 

  16. Seungwon Seol, Kyungja Oh, Mediating effect of problem orientation The mechanism of the influence of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perceived emotion controllability on worry,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 27,No. 1, pp. 209-235, 2008. DOI: http://dx.doi.org/10.15842/kjcp.2008.27.1.013 

  17. Jones, L. K. & Chenery, M. F. Multiple Subtypes among vocationally undecided college students: A model and assessment instrument,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27, 469-477.1980 DOI: http://dx.doi.org/10.1037/0022-0167.27.5.469 

  18. Namsoon Kim, Jonghoon Bae, Development of Career Decision Profile for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Korean Educational Psychology Association, Vol. 14, No. 3, pp. 83-98, 2000. 

  19. Holland, J. L. & Holland, J. E. Vocational indecision : More evidence and speculation,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24, 404-414. 1997. DOI: http://dx.doi.org/10.1037/0022-0167.24.5.404 

  20. Byong sook Kim, Vocational Psychology, Seoul, Sigmapress, 2006. 

  21. Miran Park, Clusters an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of the Factors Associated with Adolescents'Worry, Incheon University of Korea master's thesis, 2011. 

  22. Suyeon Kim, A study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perfectionism tendency, depression, and self-esteem of the undergraduate students : focused on th APS-R (the Almost Perfectionism Scales-Revised), Yonsei University of Korea master's thesis, 2005. 

  23. Soojeong Kim. The Analtsis of Career Adaptability by Cultural Self-Construal, Preference Type, Work Value Subtypes, Kyonggi University of Korea master's thesis, 2012. 

  24. Seongjin Yoo, Seokman Kwom.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worriers : Cognitive bias in evaluation of and coping to threat and catastrophizing tendency, The Korean Journal ofClinical Psychology, Vol. 20, No. 3, pp. 467-487,2001. 

  25. Jeongim Lee, Junghye Kwon, The Effects of Worry and Emotional Regulation on Sleep and Fatigue,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 27, No. 1, pp. 1-14, 2008. DOI: http://dx.doi.org/10.15842/kjcp.2008.27.1.001 

  26. Seongjin Yoo, Seokman Kwom. Personality Traits of Worriers, Psychological science, Vol. 9,No. 1, pp. 15-37, 2000. 

  27. Hanjoo Kim,. Moderating effects of narcissism and self-compassion on the relationshin between self-esteem and aggression in ego threat situation, Korea University of Korea master's thesis, 2010. 

  28. Suyeon Kim, A study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perfectionism tendency, depression, and self-esteem of the undergraduate students : focused on th APS-R (the Almost Perfectionism Scales-Revised), Yonsei University of Korea master's thesis, 2005. 

  29. Sunhee Park, The Impact of Implicit and Explicit Dependency on Depression, Yonsei University of Korea master's thesis, 2013. 

  30. Hyunju Cho, Myoungho Hyun, The effects of perceived stress and self compa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 criticism and depression,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Vol. 16, No. 1, pp. 49-62, 2011. 

  31. Hyunjung Kim, Sangmin Lee, Boyoung Choi,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career support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iency by the career personality types of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research in education, Vol. 40, No-[2011] pp.31-51,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