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각 통제를 이용한 다중감각 훈련이 아급성 뇌졸중 환자의 균형 및 체간위치감각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Balance and Trunk Repositioning Sense with Multisensorial Training using Visual Cue Deprivation in Subacute Stroke Patient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4 no.2, 2013년, pp.737 - 743  

소동학 (삼육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이완희 (삼육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윤미정 (삼육대학교 물리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시각 통제를 이용한 다중감각 훈련이 아급성 뇌졸중 환자의 균형 및 체간위치감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뇌졸중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다중감각 훈련군은 시각통제 후 훈련을 실시하였고, 대조군은 안대로 눈을 가린 것을 제외하고는 실험군과 동일한 훈련을 실행 하였다. 두 군 모두 훈련 과정은 4주간 주 5회 60분 동안 실시하였다. 대상자들은 사전, 사후 평가로 정적 균형, 동적 균형 및 체간위치감각을 검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중감각 훈련군에서 훈련 전, 후를 비교한 결과 정적 균형, 동적 균형, 체간위치감각에서 유의한 향상이 나타났고(p<.05), 두 그룹 사이에서는 동적 균형, 체간위치감각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다중감각 훈련은 동적 균형 및 체간위치감각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훈련방법으로 제시 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balance and trunk repositioning sense through multisensorial training using visual cue deprivation in subacute stroke patients. Multisensorial training group practiced after visual deprivation, control group practiced in the same training except visual d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리고 고유수용성과 관련된 체간 조절 능력의 체간위치감각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아급성 뇌졸중 환자들을 시각 통제를 이용한 다중감각 훈련군과 대조군으로 나누어 다중감각 훈련이 균형과 체간 위치감각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함으로써 아급성 뇌졸중 환자의 다중감각 훈련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아급성 뇌졸중 30명을 대상으로 4주간 시각 통제를 이용한 다중감각 훈련을 실시하였을 때 균형 능력 및 체간위치감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아급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시각통제를 이용한 다중감각 훈련을 통하여 균형 및 체간위치 감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자 실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졸중 환자의 기능적인 회복을 위해 필요한 것? 뇌졸중 환자의 신경학적인 회복은 첫 2주에 가장 빨리 일어나며, 기능적인 회복은 6-12개월에 걸쳐 서서히 일어나지만 기능적인 회복은 처음 3개월에 이루어진다고 하였다[2]. 그러나 일상생활의 독립성을 유지하는 것이 재활치료의 목적이므로 3개월 이후 아급성기에도 적극적인 재활치료를 지속하는 것이 장기적으로 뇌졸중 환자의 기능적 독립에 도움이 된다[3].
급성과 아급성 뇌졸중 사이의 경계를 어떻게 정의하는가? 중추신경계 손상으로 인한 뇌졸중 환자는 급성, 아급 성, 만성기로 구분되며, 급성과 아급성 뇌졸중 사이의 경계를 1주일 또는 1개월로, 아급성과 만성 뇌졸중의 경계 를 6개월 또는 12개월로 구분하여 정의하였다[1]. 뇌졸중 환자의 기능의 회복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은 재활치료, 치료 개시 시점, 치료 정도와 기간을 들 수 있다.
중추신경계 손상으로 인한 뇌졸중 환자는 어떻게 구분되나? 중추신경계 손상으로 인한 뇌졸중 환자는 급성, 아급 성, 만성기로 구분되며, 급성과 아급성 뇌졸중 사이의 경계를 1주일 또는 1개월로, 아급성과 만성 뇌졸중의 경계 를 6개월 또는 12개월로 구분하여 정의하였다[1]. 뇌졸중 환자의 기능의 회복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은 재활치료, 치료 개시 시점, 치료 정도와 기간을 들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Winstein CJ, Miller JP, Blanton S, et al., "Methods for a multisite randomized trial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in improving upper extremity function among adults recovering from a cerebrovascular stroke", Neurorehabil Neural Repair, Vol. 17, No. 3, pp. 137-152, 2003. DOI: http://dx.doi.org/10.1177/0888439003255511 

  2. Wade DT, Wood VA, Hewer RL. "Recovery after stroke the first 3months", J Neorol Neurosurg Psychiatry, Vol 48, pp7-13, 1985. DOI: http://dx.doi.org/10.1136/jnnp.48.1.7 

  3. J. H. Lee, S. B. Kim, K. W Lee, et al., "The effect of prolonged Inpatient rehabilitation therapy in subacute stroke patients", Ann Rehabil Med, Vol. 36, pp.16-21, 2012. DOI: http://dx.doi.org/10.5535/arm.2012.36.1.16 

  4. Mahabir D, Bidcman L, Gulliford MC, "Stroke in trinidad and tobago: burden of illness and risk factors", Rev panam Salud Publica, Vol. 4, No. 4, pp. 233-237, 1998. DOI: http://dx.doi.org/10.1590/S1020-49891998001000002 

  5. De Haart M, Geurts AC, Huide koper SC, et al., "Recovery of standing balance in post acute stroke patients: a rehabilitation cohort study", Arch Phys Med Rehabil, Vol. 85, No. 6, pp. 886-895, 2004. 

  6. Nyberg L, Gustafson Y, "Patient Fall in stroke Rehabilitation", Stroke, Vol. 26, No. 1, pp. 838-842, 1995. DOI: http://dx.doi.org/10.1161/01.STR.26.5.838 

  7. Dickstein R, Abulaffio N, "Postural sway of the affected and non affected pelvis and leg instance of hemiparetic patients", Arch Phys Med Rehabil, Vol. 81, No. 3, pp. 364-367, 2000. DOI: http://dx.doi.org/10.1016/S0003-9993(00)90085-6 

  8. Kerrigan DC, Karvosky EM, Riley PO, "Spastic Paretic Stiff-Legged Gait: joint kinetics", Arch Phys Med Rehabil, Vol. 80, No. 4, pp. 244-249, 2001. DOI: http://dx.doi.org/10.1097/00002060-200104000-00002 

  9. Carr J, Shepherd R, "Stroke Rehabilitation: Guidelines for Exercise and Training to Optimize Motor Skill", Oxford: Elsevier, 2004. 

  10. Varoqui D, Froger J, Lagarde J, et al., "Changes in preferred postural patterns following stroke during intentional ankle/hip coordination", Gait and Posture, Vol. 32, No. 1, pp. 34-38, 2010. DOI: http://dx.doi.org/10.1016/j.gaitpost.2010.03.004 

  11. Horak FB., Henry SM., Shumway-Cook A. "Postural perturbations: new insights for treatment of balance disorders", Phys Ther, Vol. 77, No. 3, pp. 517-533, 1997. 

  12. Bonan MD, Alain P, Yelnik MD, "Subjective Visual Vertical Perception Relates to Balance in Acute Stroke", Arch Phys Med Rehabil, Vol. 87, No. 4, pp. 642-646, 2006. DOI: http://dx.doi.org/10.1016/j.apmr.2006.01.019 

  13. Yelnik AP, Le Breton F, Colle FM, et al., "Rehabilitation of balance after stroke with multisensorial training: a single-blind randomized controlled study", Neurorehabil Neural Repair, Vol. 22, No. 5, pp. 468-476, 2008. DOI: http://dx.doi.org/10.1177/1545968308315996 

  14. Massion J, Amblard B, Assaiante C, et al., "Body orientation and control of coordinated movements in microgravity", Brain Res Brain Res Rev, Vol. 28, No.1-2, pp. 83-91, 1998. DOI: http://dx.doi.org/10.1016/S0165-0173(98)00029-0 

  15. Shumway-Cook A, Wollacott M, "Attentional demands and postural control: the effect of sensory context", J Gerontol A Biol Sci Med Sci, Vol. 55, No. 1, pp. 245-356, 2000. 

  16. Bonan MD, Eric Vicaut MD. "Reliance on Visual Information After Stroke. PartII: Effectiveness of a Balance Rehabilitation Program With Visual Cue Deprivation After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rch Phys Med Rehabil, Vol. 85, No. 2, pp. 274-278, 2004. DOI: http://dx.doi.org/10.1016/j.apmr.2003.06.016 

  17. Marigold DS, Eng J. "The relationship of asymmetric weight-bearing with postural sway and visual reliance in stroke", Gait and Posture, Vol. 23, No. 2, pp. 249-255, 2005. DOI: http://dx.doi.org/10.1016/j.gaitpost.2005.03.001 

  18. Yelnik AP, Kassouha A, Bonan IV, et al., "Postural visual dependence after recent stroke: assessment by optokinetic stimulation", Gait and Posture, Vol. 24, No. 3, 262-269, 2005. DOI: http://dx.doi.org/10.1016/j.gaitpost.2005.09.007 

  19. K. T. Yoo, "12 weeks complex exercise's effects on daily living activity, proprioceptive perception, muscle activities and balance of hemiplegia patients", dissertation, Kyung Hee University, Korea, 2008. 

  20. Ryerson S, Byl NN, Brown DA, et al., "Altered trunk position sense and its relation to balance functions in people post-stroke", J Neurol Phys Ther Vol 32, No 1, pp. 14-20, 2008. 

  21. Podsiadlo D, Richardson S, "The timed "Up and Go": a test of basic functional mobility for frail elderly persons", J Am Geriatr Soc, Vol. 39, No. 2, pp. 142-148, 1991. 

  22. Ryerson S, By NN, Brown DA, et al., "Altered trunk position sense and its relation to balance function sin people post-stroke", J Neurol Phys Ther, Vol. 32, No. 1, pp. 14-20, 2008. 

  23. L. Y. Seop, "The Effects of Visual control Balance training on the Balance in the Patients with Stroke", Master's thesis, Daege University, 2009. 

  24. J. S. Kuk, "The Effect of Balance with Visual Cue Deprivation and Visual Feedback Training in Stroke Patients", Master's thesis, Daege University, 2010. 

  25. Walker C, Brouwer BJ, Culham EG, "Use of visual feedback in retraining balance following acute stroke", Phys Ther, Vol. 80, No. 9, pp. 886-895, 2000. 

  26. K. H. Cho, W. H. Lee, "Changes to Balance and Trunk Repositioning Sense According to Frequency of falls in stroke patients", Korean J Health Promot, Vol. 11, No. 1, pp. 48-55, 2011. 

  27. Goldberg A, Hernandez ME, Alexander NB, "Trunk repositioning errors are increased in balance-impaired older adults", J Gerontol A Biol Sci Med Sci, Vol. 60, No. 10, pp. 1310-1314, 2005. DOI: http://dx.doi.org/10.1093/gerona/60.10.1310 

  28. Marigold DS, Eng JJ, "The relationship of asymmetric weight-bearing with postural sway and visual reliance in stroke", Gait and Posture, Vol. 23, No. 2, pp. 249-255, 2006. 

  29. Preuss R, Grenier S, McGill S, "The effect of test position on lumbar spine position sense", J Orthop Sports Phys Ther, Vol. 33, No. 2, pp. 73-78, 2003. DOI: http://dx.doi.org/10.1016/j.gaitpost.2005.03.0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