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뇌 뇌졸중 환자에서 실조로 인한 균형장애에 대한 시각적 피드백 훈련 기반 테트락스의 치료적 효과: 후향적 연구
Therapeutic Effect of Tetrax based on Visual Feedback Training on Balance Dysfunction due to Ataxia in Subjects with Cerebellar Stroke: A Retrospective Study 원문보기

대한물리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v.11 no.4, 2016년, pp.105 - 114  

김민수 (원광대학병원 재활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herapeutic effect of Tetrax on balance dysfunction caused by ataxia in cerebellar stroke. METHODS: A total of thirty subjects with cerebellar stroke were recruited. The participants was divided into two groups, the experimental (n=15) and the control group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주로 소뇌 뇌졸중 후 발생하는 실조에 대하여 시각적 피드백 치료의 효과에 대해서는 현재까지 연구된바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뇌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Tetrax를 이용한 시각적 피드백 훈련이 실조로 인한 균형장애 회복에 기여하는 효과에 대해 조사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소뇌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Tetrax를 이용한 시각적 피드백 훈련이 실조와 그로 인한 균형장애에 미치는 치료적 효과를 조사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 시각적 피드백 훈련과 일반적인 재활치료를 함께 받은 환자들에서 일반적인 재활치료만 받은 환자들에 비하여 실조와 그로 인한 균형기능이 더 많이 호전되었음을 확인하였다.
  • 대상자가 힘판에 발을 위치시키고 섰을 때 힘판에 주어지는 압력에 대한 데이터는 증폭 및 필터링을 거친 후 컴퓨터로 전달되며,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된다(Kim 등, 2009). 이 장비는 시각적 피드백을 이용하여 자세 균형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환자는 스크린을 통해 자신의 무게 중심의 이동을 직접 볼 수 있으며 이를 이동하여 모니터에 제시된 과제를 수행해 나가는 방법으로 훈련을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실조란? 실조(ataxia)란 균형과 움직임을 조화롭게 조절하는 기전이 손상되어 보행, 수의적인 상하지 운동, 발화, 안구 움직임의 조절에 장애가 발생하는 것을 지칭한다 (Deluca 등, 2011). 이러한 기능은 우리 뇌에서 주로 소뇌가 담당하고 있으며, 주로 소뇌 기능 장애가 발생했을때 실조가 주로 발생하기 때문에 흔히 소뇌 실조라고도 한다(Ye 등, 2010).
뇌졸중에서 소뇌 뇌줄중이 차지하는 비율은? 이러한 기능은 우리 뇌에서 주로 소뇌가 담당하고 있으며, 주로 소뇌 기능 장애가 발생했을때 실조가 주로 발생하기 때문에 흔히 소뇌 실조라고도 한다(Ye 등, 2010). 뇌졸중에서 소뇌 뇌졸중은 약 3∼15%를 차지하고 있으며 편마비, 실어증 등과 같은 뇌졸중의 전형적인 증상보다 실조로 인한 장애가 흔하다 (Kelly 등, 2001; Konczak 등, 2010). 균형기능장애로 인한 정적 자세와 흔들리는 불안정한 보행이 대표적인 증상이며 2-5㎐의 활동 떨림, 팔다리의 협응운동이상 (dyssynergia), 측정이상(dysmetria) 등과 같은 증상이 동반될 수 있다(Marsden과 Harris, 2011).
실조가 있는 뇌졸중 환자들에게는 시각적 피드백 훈련을 다른 재활치료와 함께 시행하는 것이 추천되는 이유는? 소뇌 뇌졸중에서 실조는 대표적인 뇌졸중 후 균형장애의 원인이다. 시각적 피드백 훈련과 병행하여 시행한 재활치료는 단독 재활치료에 비하여 더 유의하게 실조로 인한 균형장애를 호전시켰으며, 낙상위험도 감소와 이동성 증가, 일상생활의 독립성 증진에 기여하였다. 따라서 실조가 있는 뇌졸중 환자들에게는 시각적 피드백 훈련을 다른 재활치료와 함께 시행하는 것이 추천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Akkaya N, Doganlar N, Celik E, et al. Test-retest reliability of tetrax static posturography system in young adults with low physical activity level. Int J Sports Phys Ther. 2015;10(6):893-900. 

  2. An SH, Kim JH, Song CH. The comparison of postural assesment scale for stroke (PASS: 5 items-3 level) and Berg balance scale (BBS: 7 items-3 Level) used for patients with stroke. J Korean Soc Phys Med. 2010;5(1):89-99. 

  3. Armutlu K, Karabudak R, Nurlu G. Physiotherapy approaches in the treatment of ataxic multiple sclerosis: a pilot study. Neurorehabil Neural Repair. 2001;15(3):203-11. 

  4. Baram Y, Miller A. Virtual reality cues for improvement of gait in patients with multiple sclerosis. Neurology. 2006;66(2):178-81. 

  5. Bultmann U, Pierscianek D, Gizewski ER, et al. Functional recovery and rehabilitation of postural impairment and gait ataxia in patients with acute cerebellar stroke. Gait Posture. 2014;39(1):563-9. 

  6. Corbetta D, Imeri F, Gatti R. Rehabilitation that incorporates virtual reality is more effective than standard rehabilitation for improving walking speed, balance and mobility after stroke: a systematic review. J Physiother. 2015;61(3):117-24. 

  7. Deluca C, Moretto G, Di Matteo A, et al. Ataxia in posterior circulation stroke: clinical-MRI correlations. J Neurol Sci. 2011;300(1-2):39-46. 

  8. Gialanella B, Bertolinelli M, Monguzzi V, et al. Walking and disability after rehabilitation in patients with cerebellar stroke. Minerva Med. 2005;96(5):373-8. 

  9. Hatzitaki V, Koudouni A, Orologas A. Learning of a novel visuo-postural co-ordination task in adults with multiple sclerosis. J Rehabil Med. 2006;38(5):295-301. 

  10. John VB, Steven LW. Therapeutic Exercise (5th ed). Baltimore. Williams & Wilkins. 1990. 

  11. Kelly PJ, Stein J, Shafqat S, et al. Functional recovery after rehabilitation for cerebellar stroke. Stroke. 2001;32(2):530-4. 

  12. Kim BR, Lee JY, Kim MJ, et al. Korean version of the scale for the assessment and rating of ataxia in ataxic stroke patients. Ann Rehabil Med. 2014;38(6):742-51 

  13. Kim CH, Bae SS. The comparison of effect of treadmill and ergometer training on gait and balance in stroke. J Korean Soc Phys Med. 2010;5(3):435-43. 

  14. Kim CL, Lee JA, Jeon MH. Assessments of balance control using Tetra-ataxiametric posturography. Ann Rehabil Med. 2009;33(4):429-35. 

  15. Konczak J, Pierscianek D, Hirsiger S, et al. Recovery of upper limb function after cerebellar stroke: lesion symptom mapping and arm kinematics. Stroke. 2010;41(10):2191-200. 

  16. Laver KE, George S, Thomas S, et al. Virtual reality for stroke rehabilitation.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11;9:CD:008349. 

  17. Lee NH, Lee J, Lee GR. The effects of treatment with a Tetrax on balance and mobility in acute stroke patients. Phys Ther Korea. 2010;17(3):11-9. 

  18. Lee SG, Park SK. The Effects of a video strength exercise on grip strength, balance, TUG in the frail elderly women. J Korean Soc Phys Med. 2013;8(1):91-8. 

  19. Liu-Ambrose T, Pang Y, Eng J. Executive function is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performances of balance and mobility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after mild stroke: implications for falls prevention. Cerebrovasc Dis. 2007;23(2-3):203-10. 

  20. Marquer A, Barbieri G, Perennou D. The assessment and treatment of postural disorders in cerebellar ataxia: a systematic review. Ann Phys Rehabil Med. 2014;57(2):67-78. 

  21. Marsden J, Harris C. Cerebellar ataxia: pathophysiology and rehabilitation. Clin Rehabil. 2011;25(3):195-216. 

  22. Park CS, Kang KY. Effect of visual biofeedback simulation training for balance in patients with incomplete spinal cord injury.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2011;11(11):194-203. 

  23. Saleh S, Bagce H, Qiu Q, et al. Mechanisms of neural reorganization in chronic stroke subjects after virtual reality training. Conf Proc IEEE Eng Med Biol Soc. 2011;8118-21. 

  24. Schow T, Harris P, Teasdale TW, et al. Evaluation of a four month rehabilitation program for stroke patients with balance problems and binocular visual dysfunction. NeuroRehabilitation. 2016;38(4):331-41. 

  25. Seob SW, Kim BS, Bang DH. Effects of pressure sense perception training on unstable surface on somatosensory, balance and gait function in patients with stroke. J Korean Soc Phys Med. 2015;10(3):237-45. 

  26. Sheehy L, Taillon-Hobson A, Sveistrup H, et al. Does the addition of virtual reality training to a standard program of inpatient rehabilitation improve sitting balance ability and function after stroke? Protocol for a single-blind randomized controlled trial. BMC Neurol. 2016;16:42. 

  27. Shin WS, Lee DH, Choi SJ, et al. Comparison of visual and auditory biofeedback during sit-to-stand training for performance and balance in chronic stroke patients. J Korean Soc Phys Med. 2015;10(4):59-68. 

  28. Song YB, Chun MH, Kim W, et al. The effect of virtual reality and tetra-ataxiometric posturography programs on stroke patients with impaired standing balance. Ann Rehabil Med. 2014;38(2):160-6. 

  29. Srivastava A, Taly AB, Gupta A, et al. Post-stroke balance training: role of force platform with visual feedback technique. J Neurol Sci. 2009;287(1-2):89-93. 

  30. Van Peppen RP, Kortsmit M, Lindeman E, et al. Effects of visual feedback therapy on postural control in bilateral standing after stroke: a systematic review. J Rehabil Med. 2006;38(1):3-9. 

  31. Vaz DV, Schettino Rde C, Rolla de Castro TR, et al. Treadmill training for ataxic patients: a single-subject experimental design. Clin Rehabil. 2008;22(3):234-41. 

  32. Wada N, Sohmiya M, Shimizu T, et al. Clinical analysis of risk factors for falls in home-living stroke patients using functional evaluation tools. Arch Phys Med Rehabil. 2007;88(12):1601-5. 

  33. Yang S, Hwang WH, Tsai YC, et al. Improving balance skills in patients who had stroke through virtual reality treadmill training. Am J Phys Med Rehabil. 2011;90(12):969-78. 

  34. Ye BS, Kim YD, Nam HS, et al. Clinical manifestations of cerebellar infarction according to specific lobular involvement. Cerebellum. 2010;9(4):571-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