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성인의 식품섭취빈도 유사성에 따른 당뇨병 및 공복혈당장애 유병율
Prevalence of Diabetes and Impaired fasting glucose according to Food frequency Similarity in Korea 원문보기 논문타임라인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4 no.2, 2013년, pp.751 - 758  

전소혜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공학교실) ,  김남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공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에서 공복혈당장애군의 식품섭취빈도와 당뇨병군의 식품섭취빈도를 대조군과 Pearson 상관계수 산출방법을 통해 두 가지의 식품섭취빈도에서의 상관관계에 따른 공복혈당장애 유병율과 당뇨병 유병율 수치를 분석함으로써 특정 질병군과 유사한 식품섭취빈도가 유병율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하였다.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제 4기(2007-2009) 자료를 이용하여 공복혈당장애군의 식품섭취빈도 평균과 당뇨병군의 식품섭취빈도 평균을 산출하여 30-59세 대상자들과의 상관관계 비교 후 유사도 집단별 공복혈당장애와 당뇨병 유병율을 산출하였다. 또한 집단별 식품섭취빈도 평균차를 통해 식품섭취빈도 유사도 집단별 다빈도 섭취식품을 분석하였다. 공복혈당장애군과 유사한 식품섭취빈도군은 공복혈당장애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당뇨병 유병율에서는 가장 유사한 집단이 가장 비유사한 집단에 비해 높은 유병율이 산출되었다. 당뇨병군에서 역시 공복혈당장애의 유병율은 유의하지 않았으나, 당뇨병 유병율에서는 유의한 결과를 산출하였다. 본 논문의 분석방법을 통해 국가표본조사 데이터를 이용하여 특정 질병을 가진 집단의 식품섭취빈도와 유사할 경우 특정 질병의 유병율의 경향을 보임으로써 식품섭취의 관계 연구에 기여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estimate risk of diabetes by analyzing dietary patterns, we examined prevalence of diabetes and impaired fasting glucose among Korean adults who are similar in food frequency to diabetes and impaired fasting glucose. The mean of food frequency of diabetes and impaired fasting glucose wa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당뇨병군 뿐만 아니라 당뇨병으로의 진행이 가능한 공복혈당장애군의 식품섭취빈도 추출을 통해 식품섭취빈도 유사도에 따른 당뇨병과 공복혈당장애의 유병율을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개인별로 동일한 식품과 영양소를 섭취하더라도 다른 결과를 낼 수 있다는 문제에 대해서 국가표본 데이터를 기반으로 특정 질병군과 식품섭취빈도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해당 질병의 집단의 공복혈당장애와 당뇨병의 유병율을 통계적 수치로 산출할 수 있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특정 대상자와의 유사도 산출을 통한 통계 수치 산출이 가능하여 특정 대상자의 식품섭취빈도에 따른 당뇨 유병율을 산정해 낼 수 있어 개인 맞춤형 건강 분석으로 이용할 수 있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 둘째로, 당뇨병군 평균 식품섭취빈도와 평가대상의 상관계수를 산출하여 사분위수로 집단화하고, 집단별 공복혈당장애 및 당뇨병 위험도를 분석하였다. 위의 2가지 분석을 통해 분석된 집단별 공복혈당장애 발생 위험도와 당뇨병 발생 위험도를 산출하고, 공복혈당 장애군과의 식품섭취빈도 비교와 당뇨병군과의 식품섭취 빈도 비교의 유의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하나의 식품이나 영양소 보다 식이패턴 분석을 통해 식품군의 효과 연구가 필요한 이유는? 만성질환의 개선을 위한 영양소에 따른 질병발생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2-3]. 그러나 식품군으로부터 영양소의 효과를 분석하는 것은 영양소를 분리시킴에 무리가 있고 상호작용을 일으키는 영양소로 인해 결과해석이 어렵다[4]. 또한 만성질환의 질병발생에 식이요인이 미치는 영향은 영양소에 따른 효과에 중점을 두었으나[5], 영양소의 섭취량 간에는 상관관계가 밀접하여 각 영양소의 효과를 찾아내기 어렵다[6]. 그래서 하나의 식품이나 영양소 보다 식이패턴 분석을 통해 식품군의 효과 연구가 필요하다[7].
만성질환 발생이 증가하고 있는 원인은? 인구의 노령화, 생활 및 식습관의 변화 등으로 만성질환 발생이 증가하고 만성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당뇨병은 사망원인 순위가 5위로 상승하면서 한해 당뇨병으로 인한 사망률이 200만명에 달한다[1].
당뇨병은 사망원인 순위는? 인구의 노령화, 생활 및 식습관의 변화 등으로 만성질환 발생이 증가하고 만성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당뇨병은 사망원인 순위가 5위로 상승하면서 한해 당뇨병으로 인한 사망률이 200만명에 달한다[1]. 당뇨를 포함한 만성질환의 경우 식습관을 포함한 생활습관 개선으로 합병증 등을 통한 중증으로 이환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Statistics Korea. 2010 Public Health Statistics. Daejeon: Statistics Korea; 2012. (Korean) 

    인용구절

    인용 구절

    특히 당뇨병은 사망원인 순위가 5위로 상승하면서 한해 당뇨병으로 인한 사망률이 200만명에 달한다[1].

  2. Kyung Hye Yu, Chin Eun Chung, Sun Yung,Ly, "Analysis of Dietary Fiber Intake in the Korean Adult Population Using 2001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Data and Newly Established Dietary Fiber Database",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41, 1, pp.100-110, 2008. 

    인용구절

    인용 구절

    만성질환의 개선을 위한 영양소에 따른 질병발생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2-3].

  3. Chin-Eun Chung, "Dietary Intakes and Food Sources of Total Sugars from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1-2002",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40, sup, 9-21, 2007. 

    인용구절

    인용 구절

    만성질환의 개선을 위한 영양소에 따른 질병발생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2-3].

  4. Kyung Won Paek, Ki Hong Chun, Soo Jin Lee, "A Factor of Fasting Blood Glucose and Dietary Patterns in Korean Adults Using Data From the 2007, 2008 and 2009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44, 2, pp. 93-100, 2011. DOI: http://dx.doi.org/10.3961/jpmph.2011.44.2.93 

    원문보기 상세보기 crossref 타임라인에서 보기
    인용구절

    인용 구절

    그러나 식품군으로부터 영양소의 효과를 분석하는 것은 영양소를 분리시킴에 무리가 있고 상호작용을 일으키는 영양소로 인해 결과해석이 어렵다[4].

  5. Virtanen SM, Aro A., "Dietary factors in the aetiology of diabetes", Ann Med, 26, 6, pp.469-478. 1994. DOI: http://dx.doi.org/10.3109/07853899409148371 

    상세보기 crossref
    인용구절

    인용 구절

    또한 만성질환의 질병발생에 식이요인이 미치는 영향은 영양소에 따른 효과에 중점을 두었으나[5], 영양소의 섭취량 간에는 상관관계가 밀접하여 각 영양소의 효과를 찾아내기 어렵다[6].

  6. Hu FB., "Dietary pattern analysis: a new direction in nutritional epidemiology", Curr Opin Lipidol, 13, 1, pp.3-9, 2002. DOI: http://dx.doi.org/10.1097/00041433-200202000-00002 

    상세보기 crossref
    인용구절

    인용 구절

    또한 만성질환의 질병발생에 식이요인이 미치는 영향은 영양소에 따른 효과에 중점을 두었으나[5], 영양소의 섭취량 간에는 상관관계가 밀접하여 각 영양소의 효과를 찾아내기 어렵다[6].

  7. Montonen J., Knekt P., Harkanen T., Jarvinen R., Heliovaara M., Aromaa A., et al., "Dietary patterns and the incidence of type 2 diabetes". Am J Epidemiol, 161, 3, pp. 219-227, 2005. DOI: http://dx.doi.org/10.1093/aje/kwi039 

    상세보기 crossref
    인용구절

    인용 구절

    그래서 하나의 식품이나 영양소 보다 식이패턴 분석을 통해 식품군의 효과 연구가 필요하다[7].

  8. Yoonna Lee, Haeng Shin Lee, Young Ai Jang, Hae-Jeung Lee, Bok Hee kim, Cho Il Kim, "Dietary Intake Pattern of the Korean Adult Population by Weight Status - 2001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1, 3, pp.317-326, 2006. 

    인용구절

    인용 구절

    남성의 경우 비만도가 높아짐에 따라 전체적인 식품섭취량이 증가하는 반면, 여성의 경우 증가하지 않을 뿐 아니라 동물성 식품과 과일, 채소류를 적게 섭취하는 경향[8]을 보이고, 우리나라 여성의 경우 칼로리섭취량이 적은 군에서 공복혈당장애 유병율이 높다는 결과[9]등을 통해 여성의 경우 남성에 비해 식품 이외의 다른 요인의 영향을 고려한 추가 요인 분석이 필요하다.

  9. Chul sik Kim, Eun kyong Jeong, Jina Park, Minho Cho, Jisun Nam, Haijin Kim, Jeehyun Kong, Jongsuk Park, Jooyoung Nam, Dolmi Kim, Chulwoo Ahn, Boonsoo Cha, Sungkil Lim. Kyungrae Kim, Hyunchul Lee, Chungmo Nam, "Prevalence of Diabetes Mellitus (Fasting Plasma Glucose by the ADA Criteria) and Impaired Fasting Glucose according to Anthropometric Characteristics and Dietary Habits -1998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The Journal of Korean Diabetes, 29, 2 pp1-16, 2005. 

    인용구절

    인용 구절

    남성의 경우 비만도가 높아짐에 따라 전체적인 식품섭취량이 증가하는 반면, 여성의 경우 증가하지 않을 뿐 아니라 동물성 식품과 과일, 채소류를 적게 섭취하는 경향[8]을 보이고, 우리나라 여성의 경우 칼로리섭취량이 적은 군에서 공복혈당장애 유병율이 높다는 결과[9]등을 통해 여성의 경우 남성에 비해 식품 이외의 다른 요인의 영향을 고려한 추가 요인 분석이 필요하다.

  10. Younjhin Ahn, Yun-Ju Park, Seon-Joo Park, Haesook Min, "Dietary Patterns and Prevalence Odds Ratio in Middle-aged Adults of Rural and Mid-size City in Korean Genome Epidemiology Study",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40, 3, pp.259-269, 2007. 

    인용구절

    인용 구절

    또한 쌀과 보리, 콩류 등의 잡곡과 배추의 섭취가 많은 것으로 보아 기존연구[10]에서 밥 김치편식군의 당뇨병 유병율이 다른 비교집단에 비해 높게 나온 연구결과와 유사하게 밥과 김치를 주로 섭취할 경우 당뇨의 위험성이 높아짐을 확인할 수 있다.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