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Competency-based curriculum has attracted many nursing institutions' attention, pursuing the enhancement of competency and the quality of education.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not merely scrutinize the nomenclature of competency and competency model as a concept of pedagogy as well as n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고에서는 간호학문 분야뿐 아니라 전반적인 교육학 개념으로서 교육과정과 역량기반 교육과정에 대한 기본개 념과 강조점, 함의 등을 먼저 제시하고자 한다. 그리고 역량 기반 교육과정 운영의 초석인 역량의 의미와 역량모델, 역량 기반 교육과정과 간호역량에 관한 국내외의 문헌, 교육학 및 간호교육 관련 학회지를 선정하여 관련 개념을 체계적으로 종합 고찰하여 핵심을 제시함으로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간호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발의 틀과 간호역량 모델링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고에서는 간호학문 분야뿐 아니라 전반적인 교육학 개념으로서 교육과정과 역량기반 교육과정에 대한 기본개 념과 강조점, 함의 등을 먼저 제시하고자 한다. 그리고 역량 기반 교육과정 운영의 초석인 역량의 의미와 역량모델, 역량 기반 교육과정과 간호역량에 관한 국내외의 문헌, 교육학 및 간호교육 관련 학회지를 선정하여 관련 개념을 체계적으로 종합 고찰하여 핵심을 제시함으로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간호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발의 틀과 간호역량 모델링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육과정이란 무엇인가? 교육과정(curriculum)이란 단순히 교과목의 편성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목표설정에서부터 결과 평가에 이르기까지 관련되는 모든 사항, 즉 교육의 과정에서 일어나는 모든 활동의 총체를 말한다. 역사적 변천에 따라 내용으로서의 교육과 정, 경험으로서의 교육과정, 계획으로서의 교육과정, 결과로서의 교육과정 등 다양한 관점에서 그 개념을 구분하고 있다 (Lee, 1984).
미국 콜로라도대학교 간호학과에서 운영하고 있는 COPA 모델 기반 교육과정은 어떠한 질문에 답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는가? 이와 같은 맥락에서 간호교육에서도 이러한 경향이 우세해 지고 있는데, 한 예로 미국 콜로라도대학교 간호학과 역시 역량기반 교육과정으로 다음과 같은 4가지 질문에 답할 수 있도록 COPA(Competency Outcome Performance Assessment) 모델 기반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운영하고 있다(Armstrong, Spencer, & Lenburg, 2009). 4가지 질문이란, 첫째 간호실무 수행에 필요한 핵심 역량은 무엇인가?, 둘째 이러한 역량을 통합하는 가장 효과적인 교수-학습 목표 진술은 무엇인가?, 셋째 목표달성을 위하여 가장 효과적인 교수-학습 전략은 무엇인가?, 넷째 역량 및 진술한 교수-학습 목표 달성을 증명할수 있는 실무수행능력을 가장 효과적으로 평가하는 방법은 무엇인가? 하는 것으로 이는 곧 교육과정 개발의 핵심으로서 끊임없이 통합 순환되도록 운영되어야 함을 강조한다.
역량기반 교육과정에서, 역량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Figure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핵심은 역량이다. 역량기반 교육과정에서 역량이란 학습자가 궁극적으로 도달해야 할 학습성과(learning outcomes)를 의미한다.즉 역량으로부터 교수-학습 목표를 도출하며 교수-학습 내용을 선정 및 조직하고, 이에 걸맞은 교수-학습 방법을 선정하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Ahn, B. Y., & You, Y. M. (2012). A study on the development method of creative competency modeling with a motive of connection between development intervention and a competency profile. Korean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s, 6(1), 139-172. 

  2. American Association of Colleges of Nursing (2010. September). Recommended baccalaureate competencies and curricular guidelines for the nursing care of older adults. Retrieved December 20, 2012, from http://www.aacn.nche.edu/ 

  3. Armstrong, G. E., Spencer, T. S., & Lenburg, C. B. (2009). Using quality and safety education for nurses to enhance competency outcome performance assessment: A synergistic approach that promotes patient safety and quality outcomes.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48(12), 686-693. 

  4. Boyatzis, R. E. (2008). Competencies in the 21st century. Journal of Management Development, 27(1), 5-12. 

  5. Choi, S. D., Kim, K. S., Jang, M. S., Chae, J. E., & Jung, K. Y. (2008). University specialization plan for higher education competitiveness research(Report No. 2008-13).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6. Gubrud-Howe, P., & Schoessler, M. (2008). From random access opportunity to a clinical education curriculum.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47(1), 3-4. 

  7. Ignatavicius, D., & Workman, L. (2013). Medical-surgical nursing: Critical thinking for collaborative care (7th ed.). Philadelphia, PA: Elsevier Saunders. 

  8. Institute of Medicine (2004). Keeping patients safe: Transforming the work environment of nurse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es Press. 

  9. International Council of Nursing (2003). An implementation models for the ICN framework of competencies for the generalist nurse. Standards and competencies series (2nd ed.). Geneva: ICN. 

  10. Jang, K. S. (2000). Study on establishment of clinical career development model of nurses.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11. Jeong, J. C., Min, B. M., & Kim, J. M., (2001 Trans.). Easy-to-understand competency modeling. Seoul: PSI Consulting. 

  12. Ju, I. J., Park, D. Y., & Jin, M. S. (2010). The study of core competency' domains and levels.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report. 

  13. Kim, M. W. (2003). Development of objectives of nursing clinical education, based on the nursing core competency.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14. Kim, S. S. (2011, December). The direction for nursing practice education according to increasing nursing departments. Keynote speech presented at the Winter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Daejeon. 

  15. Kim, T. J., Shin, E. S., Lee, K. H., Jang, K. Y., & Son, S. M. (2008). (A) study on supportive policies for competency promotion in development stage of life. Seoul: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16. Kim, Y. H., Baek, J. H., Lee, Y. M., Seo J. H., & Sin H. S. (2009). Understanding of higher education : Theory and practice. Seoul: Hakjisa. 

  17. Ko, J. K. (1982). A study on curriculum improvement of the Korea Army Nursing Academy.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8. Ko, J. K. (2005). Principles and practices of health education. Seoul: Bomungak. 

  19.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2012). Nursing core competencies. Retrieved December 20, 2012, from http://www.kabon.or.kr/ 

  20. Lee, D. B., & Lee, C. S. (2000 Trans.). Competency-based performance improvement. Seoul: EDS consulting. 

  21. Lee, H. J. (2010). Issues of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for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8(3), 151-171. 

  22. Lee, J. K. (2002). Reflection on a methodology of developing competency-based curriculum: based on a case of curriculum development for improving marketing competency.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18(4), 25-56. 

  23. Lee, S. H. (1984). Curriculum: Development strategies and procedures. Seoul: Moonumsa. 

  24. Lee, W. H., Kim, J. J., Yoo, J. S., Heo, H. K., Kim, K. S., & Lim S. M. (1990). Nursing student clinical performance measurement tool development research. Nursing Journal of Yonsei University, 13, 17-29. 

  25. Lim, H. S. (2011, August). A study on nursing competencies by analysing the turnover experience of new nurses.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competency-based curriculum management plan seminar, Seoul. 

  26. McLagan, P. (1996). Great ideas revisited: Job competency models. Training & Development, 50(1), 40-47. 

  27. Min, B. M., Park, D. G., Park, J, G. & Jeong, J. C. (2003 Trans.). Development and application for core competency model. Seoul: PSI Consulting. 

  28. Park, M. J. (2009).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and its critical issues.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27(4), 71-94. 

  29. Park, W. S. (2002). Competency-based human resource management. Seoul: Korea Labor Institute. 

  30. Posner, G. J., & Rudnitsky, A. N. (2006). Course design: a guide to curriculum development for teachers (7th ed.). New York, NY: Pearson Education, Inc. 

  31. Shultz, C. M. (2010) The NLN Education Competencies Model: Our Foundation for the Future. Nursing Education Perspectives, 31(5), 272. 

  32. Song, J. H. (2011, October). Guidelines for enhancing the quality of the nursing workforce through improving the nursing education system. Discussion on the quality enhancement of the nursing workforce, Korean Nurses Association. 

  33. Tanner, C. A. (2011, October). Preparing the next generation of nurses. Keynote speech presented at the 8th International Nursing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of Nursing Science, Seoul. 

  34. The Standard Korean Dictionary (2012).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Retrieved December 12, 2012, from 

  35. Yun, C. I., Kim, M. S., Youn, S. K., & Park, M. J. (2007).?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and dimensions of competence as human ability.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45(3), 233-26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