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ore competencies of nursing students and to improve competency-based nursing education. Methods: A triangulation method was used. A literature review and focus group interviews (FGI) were used to identify nursing core competencies. The presen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국내 및 지역사회에서 요구하는 간호역량을 확인하기 위해 보건의료 환경에 대한 통계와 분석 자료를 고찰하였다. 외국인 현황(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MOHW], 2013), 외국인 환자 통계 및 전문화 특화 추세(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KHIDI], 2013; Korean Statistics Information Service [KOSIS], 2014), 국내보건의료 정책 전망(MOHW, 2013) 등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 교육과정설계에서 가장 중요한 단계가 수요사정, 자료수집, 직무분석, 학습자 분석, 사례벤치마킹, 수행 차이분석이 필요하다고 본 Choi (2000)나 ADDIE 모형 등 여러 교수설계모형에서 보듯이 분석단계에서 요구되는 활동은 요구분석이 이루어져야 하며 환경 분석, 직무 및 과제 분석, 학습자 분석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파악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산업체에서 요구하는 간호역량, 환경변화에 따른 사회에서 요구하는 간호역량, 이미 간호 분야에서 필요하다고 조사된 역량을 문헌을 통해 파악하고 학습자의 역량을 확인하여 이를 토대로 교육과정 개선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문헌고찰, 프리셉터 간호사의 포커스그룹 인터뷰(FGI), 간호학과 졸업 예정자의 역량 측정 등 방법론적 삼각화(methodological triangulation)를 통해 핵심간호역량을 도출하여 이를 향상시킬 수 있는 핵심간호역량 기반 교육과정 전략을 모색한 서술적 연구이다(Figure 1).
  • 본 연구는 핵심간호역량기반 교육과정을 개선하기 위한 연구로써, 문헌고찰과 프리셉터 간호사 FGI를 통해 간호학생에게 요구되는 핵심간호역량을 규명하고, 간호학생의 간호역량을 측정한 것을 토대로 간호역량을 향상시키는 교육과정 개선 전략을 모색하고자 시행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문헌고찰과 프리셉터 간호사 Focus Group Interview (FGI) 조사를 통해 간호학생에게 요구되는 핵심간호역량을 확인하고, 졸업 예정자의 간호역량을 측정하여 핵심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과정 개선 전략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한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의 의의는 첫째, 교육과정 개발과정 중 교육요구 분석과 개선방향을 제시하여 후속 연구 과제를 제시한 것이다. 즉 교육과정 개발의 실천적 방법론을 제시한 점이다.
  • 대상자에게 연구진이 연구목적과 내용을 설명한 후 퇴장하고, 연구보조자가 익명으로 설문조사가 이루어지며, 자율적으로 그만 둘 수 있음을 안내하였다. 연구보조자도 퇴장한 상태에서 대상자가 동의서와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여 학생들의 참여에 대한 자발성을 보장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 러시아어, 몽골어 등 제3외국어 사용능력이 새롭게 요구되었으며, 간호학생의 전문성 역량과 리더십 역량 수준은 간호사의 수준과는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교과과정 측면에서 인성과 태도 및 대인 관계술 관련 교과목과 의학/간호용어 교과목 및 제3외국어 교과목을 신설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비교과과정 측면에서 입시전형에 면접평가를 도입하고, 임상실습의 스트레스를 관리하는 프로그램 마련, 선진 간호기관 견학, 임상실습 전 전문직 태도에 대한 오리엔테이션 실시, 학술대회 개최와 각종 학생들의 역량 향상 활동을 포함하는 학생포트폴리오 개발을 제시하였다.
  • 실무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간호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변화하는 보건의료 환경과 간호현장에서 요구하는 핵심간호역량을 파악하여, 이를 강화할 수 있는 역량기반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프리셉터 간호사 FGI를 통해 산업체에서 요구하는 간호역량과 보건의료 환경 관련 통계자료를 분석하여 환경변화에 따른 사회에서 요구하는 간호역량, 그리고 이미 간호 분야에서 필요하다고 조사된 역량을 문헌을 통해 파악하고, Joo와 Sohng (2014)의 간호역량 척도를 통해 학습자의 수준을 확인하며, 이를 토대로 교육과정 개선 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제간호협의회에서 정의한 간호역량은? OECD의 DeSeCo 프로젝트에서 정의하는 역량은 특정 맥락의 복잡한 요구를 태도, 감정, 가치, 동기 등과 같은 사회적, 행동적 요소뿐만 아니라 인지적, 실천적 기술을 활용하여 성공적으로 충족시키는 능력이다(OECD, 2003). 그리고 국제간호협의회에서 정의한 간호역량은 임상 실무 환경 및 분야에 관계없이 공통적으로 적용이 가능하고, 보편타당하며,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간호업무를 수행하는 능력이다. 이 중 특정간호 분야에서 반드시 필요한 역량이 핵심간호역량이다 (Alexander & Runciman, 2003).
OECD의 DeSeCo 프로젝트에서 정의하는 역량은? OECD의 DeSeCo 프로젝트에서 정의하는 역량은 특정 맥락의 복잡한 요구를 태도, 감정, 가치, 동기 등과 같은 사회적, 행동적 요소뿐만 아니라 인지적, 실천적 기술을 활용하여 성공적으로 충족시키는 능력이다(OECD, 2003). 그리고 국제간호협의회에서 정의한 간호역량은 임상 실무 환경 및 분야에 관계없이 공통적으로 적용이 가능하고, 보편타당하며,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간호업무를 수행하는 능력이다.
3단계의 교육과정 개발모형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나? , 2009). 첫 번째 단계는 강령(platform)의 단계로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주춧돌이 되는 과정이다. 두 번째는 이해당사자들이 각 집단의 신념을 함께 교섭함으로써 서로 공통적인 합의에 이르는 단계이다. 마지막은 설계단계로 숙의과정을 통해 결정한 교육과정 실천대안을 검토하는 과정이다. Walker 외에도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교수설계에는 다양한 모형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적용하고 있는 Analyze,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Evaluate (ADDIE)모형, ADDIE 모형보다는 좀 세분화되어 있으면서 구체적인 Dick과 Carey 모형 등이 있으며(Lee, S.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lexander, M. F., & Runciman, P. J. (2003). ICN framework of competencies for the generalist nurses: report of the development process and consultation. Geneva: International Council of Nurses. 

  2. Chang, Y. H., Cho, Y. S., & Kwak, M. J. (2006). A study of factors related nursing competency in nurs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2(1), 7-19. 

  3. Choi, J. H. (2000). A Study on the comparison the effect of utilizing ISD model with CBC method.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4. Doughty, P. L., & Romiszowski, A. J. (2001). Instructional development paradigms. Retrieved February 2, 2013, from Google Web site: http://ocw.metu.edu.tr/file.php/118/Week8/Doughty_Romisz-HPT-Paradigms.pdf. 

  5. Fater, K. H. (2013). Gap analysis: A method to assess core competency development in the curriculum. Nursing Education Perspectives, 34(2), 101-105. 

  6. Hwang, S. Y., Lee, E. J., Na,, D. M., Lee, G. S., Sun, G. S., & Lee, C. S. (2002). The clinical experiences of newly qualified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8(8), 261-271. 

  7. Jang, K. S. (2000). A study on establishment of clinical career development model of nurse.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unsei University, Seoul. 

  8. Joo, G. E., & Sohng, K. Y. (2014). Development of nursing competence scale for graduati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8(3), 590-604. 

  9. Kim, M. W. (2006). Development of objectives in nursing clinical education based on the nursing core competenc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6(2), 389-402. 

  10. Ko, J. K., Chung, M. S., Choe, M. A., Park, Y. I., Bang, K. S., Kim, J. A., et al. (2013). Modeling of nursing competences for competency-based curriculum development.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9(1), 87-96. 

  11. Kochman, G., Dicle, A., & Ugur, A. (2009). A longitudinal analysis of the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level of nursing students enrolled in a problem-based curriculum. The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48(5), 286-290. 

  12.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Health industry white paper, 2012 statistics on international patients in korea, 2013. Chungcheongbuk-do: Korea Government Printing Office. 

  13.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4). Statistics on muncipal foreigner, 2006-2013. Daejeon: Korea Government Printing Office. 

  14. Kown, Y. M. (2006).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web-based nursing educational program; focused on the medical terminolog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2(1), 41-51. 

  15. Lee, H. K. (2009). A study on the variables associated with leadership life skills fo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8(3), 278-284. 

  16. Lee, K. J., Chang, C. J., & Hong, S. S. (2001). Development of clinical evaluation tool for nursing stud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7(3), 473-485. 

  17. Lee, S. H. (2009). Curriculum theory. Paju; Yangsewon. 

  18. Lee, S. K., Park, S. N., & Jeong, S. H. (2012). Nursing core competences needed in the fields of nursing practice for graduates in nursing.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8(4), 460-473. 

  19. Lee, W. S., Cho, K. C., Yang, S. H., & Roh, Y. S. (2009). Effects of problem-based learning combined with simulation on the basic nursing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 Nursing, 16(1), 64-72. 

  20. Lenburg, C. B., Abdur-Rahman, V. Z., Spencer, T. S., Boyer, S. A., & Klein, C. J. (2011). Implementing the COPA model in nursing education and practice settings: promoting competence, quality care, and patient safety. Nursing Education Perspectives, 32(5), 290-296. 

  21. Miller, B. K., Haber, J., & Jacobs, S. K. (2009). Evidence-based practice challenge: teaching critical appraisal of systematic reviews and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to graduate students.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48(4), 186-195. 

  2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tatistical year book 2013. Sejong: Korea Government Printing Office. 

  23.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2003). The definition and selection of key competencies. Retrieved February 4, 2014, from the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Web site: http://www.oecd.org/pisa/35070367.pdf. 

  24. Park, H. J., & Byun, H. S. (2014). Experience on application of learning portfolio in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4), 534-547. 

  25. Park, H. S., Ha, S. J., Park, J. H., Yu, J. H., & Lee, S. H. (2014). Employment experiences of nurses caring for foreign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3), 281-291. 

  26. Park, S. H., & Yeum, M. S. (2013). Educational technology. Seoul: Hakjisa. 

  27. Park, Y. I., Kim, J. A., Ko, J. K., Chung, M. S., Bang, K. S., Choe, M. A., et al. (2013). An identification study on core nursing competency.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9(4), 663-674. 

  28. Sin, H. S. (2010). Analysis of perception in importance of core competency and educational needs for nurse. Unpublished master's thesis. Ajuo University, Suwon. 

  29. Um, Y. R., Suh, Y. O., Song, K. H., June, K. J., Yoo, K. H., & Cho, N. O. (1998). The development of nursing education model and the instrument for improving clinical competence.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4(2), 220-235. 

  30. Yang, J. J., & Park, M. Y. (2004). The relationship of clinical competency and self-directed learning in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0(2), 271-27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