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to scrutinize not merely the nomenclature of clinical competency suggested in nursing literature but also what core clinical competency nursing students should be focused on for improving competency-based curriculum. Methods: A comprehensive review on 69 domestic and 89 fore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선 4년제 간호대학생의 간호역량을 다룬 최근의 국내외 간호교육 관련 문헌을 분석하여 간호역량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앞으로의 간호교육과정 개선을 위하여 핵심적으로 다루고 향상시켜야 할 간호대학생의 핵심역량을 확인함으로써 간호교육과정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한다.
  • 본 연구는 4년제 간호대학생의 간호역량(Nursing Competency)에 대한 주제를 다룬 국내외 연구논문에서 사용된 간호역량을 파악하고 간호사에게 필요한 핵심간호역량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문헌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간호수행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간호역량은 무엇이며, 그중의 핵심 역량을 확인하기 위해 국내ㆍ외에서 수행된 역량과 관련된 문헌을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국내 연구에서 검토된 간호역량은 Lee 등(1991)의 연구를 시작으로 2000년 이후에 관심이 증가되었지만, 대부분의 연구들이 간호역량에 대한 명시적인 설명이 없고 그들 간의 관계도 규명하지 않았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학 문헌에서 제시하고 있는 간호역량은 어떤 것이 있는지, 제시된 간호역량 중에서 임상수행능력을 위한 핵심역량은 무엇인가를 확인하고 규명하기 위함이다.
  • 이상 문헌고찰을 통하여 국내외 간호학 문헌에서 제시하고 있는 여러 가지 간호역량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1970년대 초 McClelland (1973)가 전통적인 학문적 적성과 지식내용을 평가하는 시험이 직업수행이나 성공적인 삶을 예언하지 못하며, 역량이 지능보다 직업수행을 더 잘 예언할 수 있기 때문에 지능대신 역량을 측정해야 한다고 주장한 이래로, 역량개념은 역량기반 교육이라는 이름으로 대학의 교육과정안으로 들어오게 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최근 교육의 관점의 초점은 어떠한가? 교육의 관점은 시대에 따라 변화해왔는데, 시험 성적이 실제의 능력을 반영하지는 못한다는 인식과 함께 최근의 초점은 ‘졸업생이 무엇을 할 수 있기를 기대하는가? 어떤 학습성과(Learning outcomes)를 내도록 할 것인가’로 집약될 수 있으며, 이른바 역량기반 교육과정(Competency based curriculum)을 추구하고 있다. 이는 ‘그러한 학습성과를 내기 위해서는 학습자가 어떤 역량을 갖추어야 하는가(교수-학습 목표)’, ‘이러한 역량을 갖추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교수-학습 방법)’, ‘이러한 역량을 갖추었는지를 어뗳게 확인하는가(교수-학습평가)’의 질문으로 이어지면서 각 전공 학문분야에서는 핵심적으로 다루어야 할 ‘역량(Competency)'과 이를 확인하기 위한 평가방안은 무엇인가에 대한 교육적 관심이 집중되어 왔다.
대학교육의 목적에 포함될 수 있는 것은? 간호학은 응용학문으로 이를 전공하는 간호대학생에게 졸업과 동시에 전문직 간호사로서의 역할이 기대된다. 대학교육의 목적이 학문탐구에 초점을 두는 것이 적절한가, 사회의 특정 전문분야의 역할을 제대로 할 수 있는 역량을 함양시키는 것이 필요한가에 대해서는 교육 철학과 신념에 따라 의견을 달리 할 수 있을 것이다. 간호전문직은 학문의 특성상 대학 교육을 통해 전문적 지식의 함양뿐만 아니라 졸업 후 전문 직업분야에서 전문직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기술의 습득까지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학생들이 졸업 시 갖추어야 하는 역량에 대한 논의가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Ko, et al.
교육과정을 통해 길러지는 주요 학습성과를 평가하기 위해 국내에서 실시한 것은? 미국 대학교육의 학습성과 평가인 CLA (Collegiate Learning Assessment)도 대학교육과정을 통해 축적된 비판적 사고력, 분석적 논리력, 작문 등의 핵심 역량을 구성하고, 정보의 해석, 분석, 추론, 종합하는 역량과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통합적으로 측정하였다(Jin, Lee, Yoo, Chae, & Park, 2008). 한국간호교육평가원에서도 간호사 핵심역량에 근거하여 학사학위과정프로그램의 학습성과를 측정하고 있다(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KABON], 2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ccreditation Council for Graduate Medical Education(ACGME) (2013). ACGME Common Program Requirements. Retrieved September, 09, 2013 from http://www.acgme.org/acgmeweb/Portals/0/PFAssets/ProgramRequirements/CPRs2013.pdf. 

  2. Anema, M. G., & McCoy, J. (2010). Competency-based nursing education: Guide to achieving outstanding learner outcomes. NY: Springer Publishing Company. 

  3. Arcand, L. L., & Neumann, J. A. (2005). Nursing competency assessment across the continum of care. Journal of Continuing Education in Nursing, 36(6), 247-254. 

  4. Bae, S. H., & Park, J. S. (2013). The recognition of achievement and importance of nursing program outcome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9(2), 203-214. http://dx.doi.org/10.5977/jkasne.2013.19.2.203 

  5. Chaung, S. K. (2011).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problem solving ability, and clinical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18(1), 71-78. 

  6. Cho, H. S. (2005). A study on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clinical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1(2), 222-231. 

  7. Ignatavicius, D., & Workman, L. (2013). Medical-surgical nursing: Critical thinking for collaborative care (7th ed.). Philadelphia, PA: Elsevier Saunders. 

  8. International Council of Nursing (ICN) (2003). An implementation models for the ICN framework of competencies for the generalist nurse. Standards and competencies series (2nd ed.). Geneva: ICN. 

  9. Jin, M. S. (2013). An exploratory study on inequality of core competence of college students in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Sociology of Education, 23(1), 105-207. 

  10. Jin, M. S., Lee, S. Y., Yoo, H. K., Chae, C. K., & Park, C. S. (2008). A study on selecting the core competency and developing assessment test for students in higher education institutes.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KRIVET) 2007 Annual Report, 233-237. 

  11. Ju, I. J., Park, D. Y., & Jin, M. S. (2010) The study of core competency's domains and levels.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Seoul. 

  12. Kim, H. & Kim, M. Y. (2013). Nursing informatics competencies of public health Nurses in Chungcheongnam-do.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4(1), 20-28. http://dx.doi.org/10.12799/jkachn.2013.24.1.20 

  13. Kim, S. Y. (2012). Critical interpretation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from the viewpoint of cultivation of mind-nature.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eoul. 

  14. Ko, J. K., Chung, M. S., Choe, M. A., Park, Y. I., Bang, K. S., Kim, J. A., et al. (2013). Modeling of nursing competencies for competency-based curriculum development.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9(1), 87-96. http://dx.doi.org/10.5977/jkasne.2013.19.1.87 

  15.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KABON) (2012). Nursing core competencies. Retrieved December 20, 2012, from http://www.kabon.or.kr/ 

  16.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KABON) (2013). Specify the colleges four-year term of study screening. Retrieved March, 15, 2013, from http:/www.kabon.or.kr/new/new05_01.php. 

  17. Landry, L. G., Alameida, M. D., Orsolini-Hain, L., Boyle, A. R., Prive, A., Annie Chien, A., & et al. (2011). Responding to demands to change nursing education: Use of curriculum mapping to assess curricular content.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50(10), 587-590. http://dx. doi:10.3928/01484834-20110630-02. 

  18. Lee, D. H. (1999). Knowledge-based society and new status of education. Knowledge-based Society and Education - Policy report of ministry of education, 1-22. 

  19. Lee, S. K., Park, S. N., & Chung, S. H. (2012). Nursing core competencies needed in the fields of nursing practice for graduates in nursing.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18(4), 460-473. http://dx.doi.org/10.11111/jkana.2012.18.4.460 

  20. Lee, W. H., Kim, J. J., Yoo, J. S., Heo, H. K., Kim, K. S., Lim, S. M. (1991). A study on developing measurement tool for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of nursing students, Nursing Journal of Yeonsei University. 13, 17-29. 

  21. Lee, Y. S., & Koo, M. O. (2013).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communication skill, clinical competence & clinical practice stress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Academia-industrial Technology, 14(6), 2749-2759. http://dx.doi.org/10.5762/KAIS.2013.14.6.2749 

  22. Mailloux, C. G. (2011). Using the essentials of baccalaureate education for professional nursing practice as a framework for curriculum revision. Journal of Professional Nursing, 27(6), 385-389. DOI: 10.1016/j.profnurs.2011.04.009. 

  23. McClelland, D. D. (1973). Testing for competence rather than for "intelligence". American Psychologist 28(1), 1-14. 

  24. McLegan, P. (1996). Great ideas revisitied : Job competency models. Training & Development, 50(1), 40-47. 

  25. Min, B. M., Park, D. G., Park, J. G., & Jeong, J. C. (2003 Trans.). Development and application for core competency model. Seoul; PSI Consulting. 

  26. O'Neil, E. (1999). The opportunity that is nursing. Nursing and Health Care Perspectives, 20(1), 10-17. 

  27. Park, M. H., & Park, E. A. (2013). Effect of cultural competence education for nurs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Multicultural Education, 6(2), 115-133. 

  28. Shin, K. A., & Cho, B. H. (2012). Professional self-concept,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clinical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19(1), 46-56. 

  29. Shin, Y. W., Lee, H. J., & Lim, Y. J. (2010). Predictors of clinical competence in new graduate nurses.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16(1), 37-47. 

  30. Tanner, C. A. (2006). Thinking like a nurse: A research-based model of clinical judgment in nursing.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45(6), 204-21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