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TDoA 기반의 위치 추정을 위한 초정밀 시각동기에 관한 연구
A Study of High-Precision Time-Synchronization for TDoA-Based Location Estimation 원문보기

정보처리학회논문지. KIPS transactions on computer and communication systems 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v.2 no.1, 2013년, pp.7 - 14  

김재완 (고려대학교 전자컴퓨터공학과) ,  엄두섭 (고려대학교 전자컴퓨터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현재 위치인식에 관한 많은 기술들이 존재한다. 하지만 서로 다른 곳에 위치한 신호수신장치들이 먼 곳에 위치한 특정 물체의 위치를 정확하게 알아내기 위해서는 해당 물체 또는 사용자의 단말장치에서 내보내는 신호의 정확한 시간을 알아야 한다. 이러한 목적 때문에 ToA 기술보다는 TDoA 기술이 보다 적합하다. TDoA 기술을 기본으로 하는 전자 감시 시스템 및 다른 위치추적 장치들은 이격 장치들간의 정밀한 시각동기가 되지 않아서 신호수신장치들에 의해 보내지는 신호로부터 정확한 TDoA 값을 획득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렇게 직접적으로 정확한 값을 받지 못함으로써 위치 추정 에러가 발생된다. 이러한 이유로 이격 장치들간의 정밀한 시각동기 기술은 TDoA를 기반으로 하는 위치인식에 있어서 필수적인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TDoA를 기반으로 하는 위치인식을 위해, 제안된 정밀한 시각동기 기술의 정확성과 측정오차가 평가된다. TDoA를 기반으로 하는 위치 측정 오차는 제안하는 시각동기 알고리즘을 사용할 때 크게 향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resently, there are many different technologies used for position detection. However, as signal-receiving devices operating in different locations must detect the precise position of objects located at long distances, it is essential to know the precise time at which an object's or a user's termin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For time-synchronizations with less than 5 ns synchronization error between the isolated operation signal receivers of a TDoA-based electronic surveillance system, the goal is precise time synchronization using GPS clock synchronization and a two-way data-link-based clock error correction.
  • In this paper, we have applied a hardware and compensation algorithm to reduce the timesynchronization error. Based on this method, we have presented a system that has a time-synchronization error that is less than 5 ns.
  • The proposed system uses a highly accurate OCXO, hardware design to improve the oscillator’s accuracy, using the GPS timing signal, time difference estimation using the two-way communication link, and time-synchronization protocol.
  • Using the RF transmitter’s location (known in advance) and the measured TDoA value, we have all the information necessary to perform the location estimation using TDoA.

이론/모형

  • The synchronization method in the proposed system uses the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8] so as to overcome the performance limitations of the common-view GPS synchronization system, which is a two-way communication system. Further, using the time-synchronization protocol to exchange time-stamp message reduces the burden of hardware realization in the two-way communication link construction and ensures the flexibility of the system.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Elson, J., & Romer, K. (2002). Wireless sensor networks: A new regime for time synchronization. Proceedings of the First Workshop on Hot Topics In Networks, Princeton, New Jersey. 

  2. Ganeriwal, S., Kumar, R., & Srivastava, M. B. (2003). Timing-sync protocol for sensor networks. ACM SenSys. 

  3. Sichitiu, M. L., & Veerarittiphan, C. (2003). Simple, accurate time synchronization for wireless sensor networks. Proceeding of the IEEE Wireless Communications and Networking Conference (WCNC), New Orleans, LA. 

  4. Elson, J., Girod, L. & Estrin, D. (2002). Fine-grained network time synchronization using reference broadcasts. Proceedings of the Fifth Symposium on Operating Systems Design and Implementation (OSDI 2002), Boston, MA. 

  5. Ganeriwal, S., & Srivastava, M. (2003). Timing-sync protocol for sensor networks. ACM SenSys. 

  6. Cho, H. T., Jang, H. S., & Baek, Y. J. (2010). Practical localization system for consumer devices using zigbee networks. IEEE Trans. Consumer Electronics, 56(3), pp. 696-704. 

  7. Manodham T., Loyola L., & Miki T. (2008). A NovelWireless Positioning System for Seamless Internet Connectivity based on the WLAN Infrastructure. Spriger, Wireless Pers Commun, 44(3), pp.295-309. 

  8. Yunck, T. P., Melbourne, W. G., & Thoenton, C. L. (1985). GPS-based satellite tracking system for precise positioning. IEEE Trans. Consumer Electronics, GE-23(4), pp.696-704. 

  9. Ganeriwal, S., Tsigkogiannis, I., & Shim, H. (2009). Estimating clock uncertainty for efficient duty-cycling in sensor networks. IEEE/ACM Transactions on Networking (TON), 17(3), pp.843-856. 

  10. Ai, B., Shen, Y., Zhong, Z. D., & Zhang, B. H. (2011). Enhanced sampling clock offset correction based on time domain estimation scheme. IEEE Trans. Consumer Electronics, 57(2), pp.696-704, Apr., 2011. 

  11. Maggs, M.K., O'Keefe, S.G. & Thiel, D.V. (2012). Consensus Clock Synchronization for Wireless Sensor Networks. IEEE Sensors Journal, 12(6), pp.2269-2277. 

  12. Ahmad, A., Zennaro, D., Serpedin, E. & Vangelista, L. (2012). A Factor Graph Approach to Clock Offset Estimation in Wireless Sensor Networks. IEEE Trans. Information Theory, 58(7), pp.4244-4260. 

  13. Kalman, R. E. (1960) A new approach to linear filtering and prediction problems. Tran. of ASME, Journal of Basic Engineering, 82D(3), pp.34-45. 

  14. Han, J. H., & Jeong, D. K. (2002). Comparisons of error characteristics between TOA and TDoA positioning. IEEE Trans. Aerospace and Electronic Systems, 38(1), pp.307-3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