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신호수신장치들간 시각 동기화는 TDoA를 이용한 위치 탐지에 있어 가장 중요한 전제 사항이 된다. 본 논문에서는 시스템의 시각동기 정확도를 위하여 고정밀도의 OCXO와 DPLL을 이용하여 원자 클럭을 사용하는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되는 1 pps(pulse per second) 신호에 위상동기 되는 방식을 제안한다. GPS 기반 고정밀 타이밍 레퍼런스의 성능은 근본적으로 매우 우수한 장기간에 걸친 주파수 안정도(long-term frequency stability)를 갖는 GPS 타이밍 신호의 특성을 따라간다고 볼 수 있으며, GPS 타이밍 신호에 동기가 되면 0.001 ppb(part per billion) 급의 초정밀 타이밍 레퍼런스를 통해 시각 동기의 정확도를 향상시킨다. 제안하는, 향상된 시각 동기 정확도를 통해 TDoA 기반의 위치 탐지 기술에서의 측정 오차를 평가하고, 시각동기 오차 개선 방법이 TDoA 기반의 위치 측정 오차를 크게 개선함을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technology of precise time-synchronization between signal receive devices for separation distance operation can be a key point for the technology with TDoA-based system. We propose a new method for the higher accuracy of system's time-synchronization in this paper, which uses OCXO and DPLL with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TDoA는 무엇인가? TDoA[11,13,16]는 송신신호가 수신 될 때까지의 지연 시간의 차이를 이용하여 위치를 추정하는 기법이다. GPS의 경우, 송신 지점의 위치를 알 수 있다면, 신호 수신 장치들로부터 ToA를 통하여 위치를 추정 할 수 있으나, 본 논문에서 다루고자 하는 언제 신호가 발생하는지 알 수 없는 원거리에 존재하는 위협 물체에 대한 정확한 위치 탐지를 위해서는 신호수신 장치의 위치를 정확히 알고 있을 경우 TDoA가 적합하다.
대표적인 사물의 위치를 추정 하는 방법에는 무엇이 있는가? 사물의 위치를 추정 하는 방법으로는 대표적으로 송신 신호의 감쇄 정도를 이용한 RoA(RSSI of Arrival), 신호의 도달 각도를 이용하는 AoA(Angle of Arrival), 수신기와 위치를 알고자 하는 송신기와의 신호 도달 시간을 이용하여 거리를 계산하는 ToA(Time of Arrival), 그리고 TDoA(Time Difference of Arrival) 등이 있다.
유선 네트워크를 위한 시각 동기 방법 중 IEEE 802.3 이더넷의 단점은 무엇인가? 3 이더넷은 프레임의 프리엠블을 이용하여 프레임들의 동기를 맞추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 방식은 각 노드 및 네트워크 장치들을 거치면서 큐잉(queuing) 및 MAC(Medium Access Control)에 의한 지연으로 인한 지터(Jitter)가 발생하고 결과적으로 네트워크의 크기가 커질수록 시각에 대한 오차의 범위가 커지는 단점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J. Elson and K. Romer, "Wireless sensor networks: a new regime for time synchronization," in Proc. Hot Topics In Networks (HotNets-I), pp. 149-154, Oct. 2002. 

  2. S. Ganeriwal, R. Kumar, and M. B. Srivastava, "Timing-sync protocol for sensor networks," in Proc. ACM Conf. on Embed. Netw. Sensor Syst. (Sensys), pp. 138-149, 2003. 

  3. M. L. Sichitiu and C. Veerarittiphan, "Simple, accurate time synchronization for wireless sensor networks," in Proc. IEEE Wirel. Commun. and Netw. Conf., (WCNC), pp. 1266-1273, Mar. 2003. 

  4. J. Elson, L. Girod, and D. Estrin, "Fine-grained network time synchronization using reference broadcasts," in Proc. Operating Systems Design and Implementation (OSDI), pp. 147-163, Dec. 2002. 

  5. S. Ganeriwal and M. Srivastava, "Timing-sync protocol for sensor networks," in Proc. ACM Conf. on Embed. Netw. Sensor Syst. (Sensys), pp. 138-149, 2003. 

  6. S. Ganeriwal, I. Tsigkogiannis, and H. Shim, "Estimating clock uncertainty for efficient duty-cycling in sensor networks," IEEE/ACM Trans. on Netw., vol. 17 no. 3, pp. 843-856, Jun. 2009. 

  7. B. Ai, Y. Shen, Z. D. Zhong, and B. H. Zhang, "Enhanced sampling clock offset correction based on time domain estimation scheme," IEEE Trans. Consum. Electr., vol. 57, no. 2, pp. 696-704, Apr. 2011. 

  8. H. Kopetz and W. Schwabl, "Global time in distributed real-time systems," Technical Report 15/89, Technische Universitat Wien, Wien Austria, Oct. 1989. 

  9. P. Ver1ssimo, L. Rodrigues, and A. Casimiro, "Cesiumspray: a precise and accurate global time service for large-scale systems," Technical report. NAV-TR-97-0001, Universidade de Lisboa, 1997. 

  10. D. Mills, Z. Yang, and T. Marsland (Eds.), Internet Time Synchronization: the Network Time Protocol Global States and Time in Distributed Systems, IEEE Computer Society Press, 1991. 

  11. H. T. Cho, H. S. Jang, and Y. J. Baek, "Practical localization system for consumer devices using zigbee networks," IEEE Trans. Consum. Electr., vol. 56, no. 3, pp. 696-704, Aug. 2010. 

  12. T. P. Yunck, W. G. Melbourne, and C. L. Thoenton, "GPS-based satellite tracking system for precise positioning," IEEE Trans. Consum. Electr., vol. GE-23, no. 4, pp. 696-704, Jul. 1985. 

  13. J. H. Han and D. K. Jeong, "Comparisons of error characteristics between TOA and TDOA positioning," IEEE Trans. Aero. and Elect Syst., vol. 38, no. 1, pp. 307-311, Jan. 2002. 

  14. D. H. Shin and T. K. Sung, "Practical considerations in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ime synchronization systems using IEEE 1588," IEEE Trans. Consum. Electr., vol. 47, no. 11, pp. 696-704, Nov. 2009. 

  15. R. E. Kalman "A new approach to linear filtering and prediction problems," J. of Basic Engineering, no. 82, series. D, pp. 34-45, Mar. 1960. 

  16. J. H. Hwang and M. S. Yoo, "The analysis on positioning error of recognition schemes of pilot signal in indoor TDoA positioning system using visible light communication", J. KICS, vol. 37B, no. 9, pp. 787-794, Sep. 2012. 

  17. S. Y. Hwang and Y. S. Jung, Y. J. Back, "Reliable time synchronization protocol in sensor networks", J. KICS, vol. 31, no. 3A, pp. 274-281, Mar. 2006. 

  18. W. H. Jang and Y. M. Kwon, "An improved time synchroniztion algorithm in sensor networks", J.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IEEK), vol. 45, no. 9, pp. 13-19, Sep.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