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심방세동 환자의 건강 관련 삶의 질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Atrial Fibrillation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5 no.1, 2013년, pp.13 - 23  

이선정 (울산대학교병원) ,  서지민 (부산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influenc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atrial fibrillation. Methods: The subjects were 150 outpatients with atrial fibrillation who visited the cardiology clinic of a university hospital in U city. The instrum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심방세동 환자의 건강 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심방세동 환자의 건강 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함으로써 심방세동 환자의 건강 관련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간호중재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행된 연구이다.
  • 이상과 같이 심방세동 환자의 건강 관련 삶의 질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고되었지만 대부분의 선행 연구들이 성별, 나이, 증상, 불안, 우울 등의 특정 요인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함으로써 관련요인들의 영향력을 종합적으로 분석하는데 한계가 있었으며 불확실감이 건강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한 연구가 없었다. 이에 선행연구에서 심방세동 환자의 건강 관련 삶의 질의 관련요인으로 보고된 요인들을 중심으로 인구사회학적 요인, 질병 관련 요인, 심리적 요인으로 구분하고, 각 요인의 영향력을 확인함으로써 심방세동 환자의 건강 관련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간호 중재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심방세동이란 무엇인가? 심방세동은 임상에서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부정맥으로, 심기능의 저하로 인해 심방이 불규칙하게 뛰면서 매우 빠른 세동파를 형성하여 심실의 전기전도에 이상이 생기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심기능의 저하는 혈전을 형성하기 쉬우며 이는 뇌졸중의 발생 위험을 높이고 사망률을 증가시키게 된다(Page, 2004).
국내의 심방세동 유병률은 어느정도인가? 심방세동 유병률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심박동장애 중에 가장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 유병률은 40세 이상이 0.7%, 65세 이상이 2.1%, 80세 이상이 4.0%이고(Jeong, 2001), 미국은 60세 이상이 3.8%, 80세 이상은 9.
국내의 심방세동 환자의 유병률이 증가할 것으로 추측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 2001). 우리나라의 경우 인구의 노령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므로 향후 심방세동 환자의 유병률은 더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Baek, K. H., & Son, Y. J. (2008). Relationships between symptom experience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atrial fibrillation. The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15, 485-494. 

  2. Chon, K. K., & Rhee, M. K. (1992). Preliminary development of Korean version of CES-D.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1, 65-76. 

  3. Christman, N., McConnell, E. A., Pfeiffer, C., Weber, K., Schmitt, M., & Ries, J. (1988). Uncertainty, coping, and distress following myocardial infarction: Transition from hospital to home. Research in Nursing and Health, 11, 71-82. 

  4. Dolgin, M. (1994). Nomenclature and criteria for diagnosis of disease of the heart and great vessels (9th ed.). Boston, MA: Little Brown & Company. 

  5. Go, A. S., Hylek, E. M., Phillips, K. A., Chang, Y., Henault, L. E., Selby, J. V., et al. (2001). Prevalence of diagnosed atrial fibrillation in adults. Th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85, 2370-2375. 

  6. Gottlieb, S. S., Khatta, M., Friedmann, E., Einbinder, L., Karzen, S., Baker, B., et al. (2004). The influence of age, gender, and race on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in heart failure patients. Journal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43, 1542-1549. 

  7. Jeong, J. H. (2001). Incidence of and risk factors for atrial fibrillation in screening test for 40 years and older adults. 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61, 489-495. 

  8. Kang, Y. H. (2005). The relationships among uncertainty, appraisal of uncertainty, depression, anxiety and perceived health status in patients with atrial fibrill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17, 230-238. 

  9. Kang, Y. H. (2009). Gender and culture differences in the quality of life among Americans and Koreans with atrial fibrillation. Nursing and Health Sciences, 11, 301-305. 

  10. Kim, J. T., & Shin, D. K. (1978). A study based on the standardization of the STAI for Korea. The New Medical Journal, 21, 69-75. 

  11. Kim, S. Y. (1999). The effects of a cardiac rehabilitation educational program on anxiety, health compliance and quality of life of the patient with cardiac valve replacement.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2, 153-162. 

  12. Ladwig, K. H., Lehmacher, W., Roth, R., Breithardt, G., Budde, T., & Borggrefe, M. (1992). Factor which provoke post-infarction depression: Results from the post-infarction late potential study(PILP).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36, 723-729. 

  13. Mishel, M. H., & Braden, C. J. (1987). Uncertainty: A mediator between support and adjustment. Western Journal of Nursing Research, 9 (1), 43-57. 

  14. Mishel, M. H., Hostetter, T., King, B., & Graham, V. (1984). Predictors of psychosocial adjustment in patients newly diagnosed with gynecological cancer. Cancer Nursing, 7, 291-299. 

  15. Mun, Y. S. (2012). The correlation among uncertainty, self care agency and quality of life in elderly patients underwent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of Pusan, Busan. 

  16. Oh, J. K., Appleton, C. P., & Hatle, L. K., Nishimura, R. A., Seward, J. B., & Tajik, A. J. (1997). The noninvasive assessment of left ventricular diastolic function with two-dimensional and Doppler echocardiography.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of Echocardiography, 10, 246-270. 

  17. Ong, L., Cribbie, R., Harris, L., Dorian, P., Newman, D., Mangat, I., et al. (2006). Psychological correlates of quality of life in atrial fibrillation. Quality of Life Research, 15, 1323-1333. http://dx.doi.org/10.1007/s11136-006-0029-5 

  18. Page, R. L. (2004). Newly diagnosed atrial fibrillation.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51, 2408-2416. 

  19. Park, S. K., Kim, H. S., Cho, I. S., & Ham, O. K. (2009). Gender differences in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among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6, 497-505. 

  20. Radloff, L. S. (1977). The CES-D scale: A new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1, 385-401. 

  21. Rector, T. S., Tschumperlin, L. K., Kubo, S. H., Bank, A. J., Francis, G. S., McDonald, K. M., et al. (1995). Use of the living with heart failure questionnaire to ascertain patients' perspectives on improvement in quality of life versus risk of drug-induced death. Journal of Cardiac Failure, 1, 201-206. 

  22. Reynolds, M. R., Lavelle, T., Essebag, V., Cohen, D. J., & Zimetbaum, P. (2006). Influence of age, sex, and atrial fibrillation recurrence on quality of life outcomes in a population of patients with new-onset atrial fibrillation: The fibrillation registry assessing costs, therapies, adverse events and lifestyle(FRACTAL) study. American Heart Journal, 152, 1097-1103. http://dx.doi.org/10.1016/j.ahj.2006.08.011 

  23. So, H. S. (1996). Changes on the uncertainty, ways of coping, and depression for patients with uterine cervical cancer during the early adaptation process: A longitudinal stud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24. Spielberger, C. D, Gorsuch, R. L., & Lushene, R. E. (Eds.). (1971). STAI manual for the S-T-A-I ("self-evaluation Questionnaire"). Palo Alto, CA: Consulting Psychologist Press. 

  25. Thrall, G., Lip, G. Y., Carroll, D., & Lane, D. (2007). Depression, anxiety,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atrial fibrillation. Chest, 132, 1259-1264. http://dx.doi.org/10.1378/chest.07-0036 

  26. Ware, J. E., & Sherbourne, C. D. (1992). The MOS 36-item short form health survey (SF-36) I: Conceptual framework and item selection. Medical Care, 30, 473-483. 

  27. Ware, J. E., Kosinski, M., & Keller, S. D. (Eds.). (1994). SF-36 physical and mental health summary scales; A user's manual. Boston, MA: New England Medical Center. 

  28. Won, S. J. (2010).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patient with cardiac surgery.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29. Yoon, J. R. (1998). Some of the problems in the measurement of quality of life: Development of a new measurement.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19 , 1016-102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