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ICAO 부속서 6(항공기 운항)의 국내 항공법령 반영률에 관한 연구 - ICAO Annex 6 Part I (국제상업항공운송-항공기)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flection ratio of ICAO Annex 6 (Operations of Aircraft) incorporated into our domestic air laws - Focused on ICAO Annex 6 Part I (International Commercial Air Transport - Aeroplanes) - 원문보기

항공우주정책·법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air & space law and policy, v.28 no.2, 2013년, pp.97 - 115  

노건수 (한서대학교 항공교통학과) ,  지민석 (한서대학교 항공전자공학과) ,  김웅이 (한서대학교 항공교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항공기 운항의 가장 기본이 되는 규정은 ICAO Annex 6. Operations of Aircraft(항공기 운항)이다. 이 중 Part I은 상업항공운송용 항공기에 대한 것이며, 민간항공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ICAO에서는 항공기 운항에 관한 표준과 권고사항(SARPs: Standards and Recommended Practices)을 제정하여 체약국(Contracting States)이 어느 정도 국내규정에 반영하여 적용하고 있는지를 평가하고 있는데 이를 항공안전평가(USOAP)라고 한다. 기존의 ICAO 항공안전평가는 순간포착(Snap-shop) 방식으로 평가하였으나, 2013년부터 항공안전상시평가(USOAP-CMA) 방식으로 바뀌게 되어 시행된다. ICAO 항공안전평가 결과는 국적사의 노선, 보험료, 항공사간 제휴 등 국가항공산업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친다. 낮은 등급으로 판정 시, 국제사회에서 집중 주목이 되고 우리나라 국적사들이 운항정지, 노선제한, 항공사간 제휴 제한, 보험료 등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 항공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위해서는 ICAO 항공안전평가에서 '우수국가' 지위를 유지하여 높은 신인도를 이어나가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우리나라는 2008년 실시된 ICAO 항공안전평가에서 종합 평점 98.89점을 획득, 세계 1위를 차지한 바 있으나, 2008년 이후 개정된 사항이 제대로 반영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가장 최신의 개정판을 이용하여 ICAO Annex 6 Part I의 국내 항공법규 반영정도를 파악해보고자 한다. 아울러 미반영된 부분과 부분반영된 부분에 대한 반영방안도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world-wide principal criteria of aircraft operations is ICAO Annex 6. Operations of Aircraft. Among ICAO Annex 6, Part I is for International Commercial Air Transport - Aeroplanes and it assumes major part of civil aviation. ICAO has been providing Contracting States with SARPs(Standards and Re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와 같은 상황에서 국내 항공법규를 국제민간항공기구에서 제시하는 규정과 비교하여 국내 제도를 국제기준에 부합되도록 재정비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ICAO Annex 6 (항공기 운항) Part Ⅰ(상업항공운송용-항공기)의 조항이 국내 항공법규에 어느 정도 반영되어 있는지를 살펴보며, 반영되지 않았거나 일부가 반영된 경우 그 반영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Annex 6의 경우 담당은 국토교통부 항공정책실 운항정책과 담당으로 지정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Annex 6에 대하여 국내법령 적용에 대해 분석하고 적용방안을 도출해 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항공기 운항의 가장 기본이 되는 규정? 항공기 운항의 가장 기본이 되는 규정은 ICAO Annex 6. Operations of Aircraft(항공기 운항)이다. 이 중 Part I은 상업항공운송용 항공기에 대한 것이며, 민간항공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인천국제공항의 세계적 지위는 어떠한가? 2001년 인천국제공항이 개항한 후 12년이 지난 현재, 우리나라는 기존의 2개 항공사와 더불어 5개의 저비용항공사가 새롭게 시장에 진입하였다. 인천국제공항이 세계에서 최고의 공항으로 인정받고 있고 여객 및 화물 운송량도 상위권을 유지하고 있다. 또한 우리나라는 2001년 UN 산하 항공전문 기구인 ICAO(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에 최초로 이사국에 피선된 이후 국제항공 발전을 위해 개발도상국 항공 전문가 무상교육 실시, ICAO 문서 전자화 사업 지원 등 이사국 활동을 활발하게 전개하였으며, 2013년에는 이사국에 5연임 성공함으로써 국제항공사회에서의 위치가 더욱 공고하게 됐다.
ICAO Annex 6. Operations of Aircraft의 part1은 무엇에 관한 것인가? Operations of Aircraft(항공기 운항)이다. 이 중 Part I은 상업항공운송용 항공기에 대한 것이며, 민간항공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ICAO에서는 항공기 운항에 관한 표준과 권고사항(SARPs: Standards and Recommended Practices)을 제정하여 체약국(Contracting States)이 어느 정도 국내규정에 반영하여 적용하고 있는지를 평가하고 있는데 이를 항공안전평가(USOAP)라고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