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교육청 공공도서관 발전방안에 대한 연구 - 경기도교육청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
Future Development for Public Libraries in Office of Education - Focusing on Public Libraries in Gy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원문보기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44 no.3, 2013년, pp.183 - 209  

이상복 (대진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배경재 (동덕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류주현 (중앙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박옥남 (상명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경기도교육청 공공도서관 정체성 확립 및 발전방안을 논의하고 이를 통해 교육특화형 공공도서관으로의 모형개발을 수립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경기도교육청 도서관의 운영현황 및 학교도서관 지원체계를 분석하고 연구결과로 교육중심의 패러다임 전환, 학교도서관 지원과 평생교육영역의 구분 및 확대, 지역교육청 중심의 협의체 구성 및 역할정립, 공공도서관의 창의지성교육 공간으로의 변화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교육청과 지자체 소속 공공도서관의 정체성에 대한 고민을 제시하고, 다른 지역 교육청 소속 공공도서관의 발전모형을 제시하는 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the model for public libraries in Ky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The study discusses identities and development strategies for public libraries. The study investigates the current status of public libraries as well as cooperative systems between p...

Keyword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 도서관 환경은 어떤 발전을 하였는가? 오늘날 국내 도서관 환경은 도서관 서비스의 첨단화와 고도화 및 도서관 형태의 다양화의 영향으로 비약적인 성장과 발전을 이룩하였다. 경기도의 경우 전국의 광역자치단체 중 가장 많은 공공도서관을 운영하면서 전국 공공도서관 발전을 선도하고 있으며, 교육청 11개 공공도서관(경기평생교육학습관 포함)은 오랜 전통과 지역주민과의 친밀한 유대 속에서 경기도 도서관 발전에 크게 기여해 왔다.
경기도는 어떻게 도서관 발전에 기여해 왔는가? 오늘날 국내 도서관 환경은 도서관 서비스의 첨단화와 고도화 및 도서관 형태의 다양화의 영향으로 비약적인 성장과 발전을 이룩하였다. 경기도의 경우 전국의 광역자치단체 중 가장 많은 공공도서관을 운영하면서 전국 공공도서관 발전을 선도하고 있으며, 교육청 11개 공공도서관(경기평생교육학습관 포함)은 오랜 전통과 지역주민과의 친밀한 유대 속에서 경기도 도서관 발전에 크게 기여해 왔다.
소규모 지역사회의 문화적 거점으로 공공도서관을 건립하고, 작은 도서관을 적극적으로 육성하는 것은 어떤 것을 야기할 수 있는가? 구체적으로 소규모 지역사회의 문화적 거점으로 공공도서관을 건립할 것이며, 지역주민의 정보접근 편의를 위해 작은 도서관을 적극 육성·지원할 것이다. 이러한 지자체 공공도서관의 성장과 발전은 동일한 공공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교육청 공공도서관의 역할중복과 사업성과의 한계를 초래할 가능성을 높인다.2) 경기도교육청 공공도서관은 지자체 공공도서관과 경쟁하면서 교육청 공공도서관으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경기교육이 지향하는 목표에 부합하는 도서관 경영패러다임을 구축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경기도교육청. 기초교양 창의지성 프로그램. 경기 : 경기도교육청, 2011. (Gy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Creative-Intellectual Education Program for Liberal Arts. Gyeonggi : Gy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2011.) 

  2. 김지봉. "서울시 공공도서관 운영의 과제와 발전방향." 디지털도서관, 제63권(2011), pp.3-46. (Kim Jibong. "A Study on Challenges in Operation of Public Libraries and Directions for Development of Public Libraries in Seoul." Digital Library, No.63(2011), pp.3-46.) 

  3. 문화체육관광부. 도서관 디지털자료실 활성화 방안 연구. 서울 : 문화체육관광부, 2008. (Ministry of Culture, Sports & Tourism. A Study on Methods for Digital Room in Libraries. Seoul : Ministry of Culture, Sports & Tourism, 2008.) 

  4. 송기호, 이병기, 김도연, 소병문.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의 지역사회 서비스 연계 활성화 모델 개발 연구. 서울 : 국립중앙도서관, 2011. (Song Gi-Ho. A Study of the Cooperation Methods Between School Library and Public Library. Seoul: National Library of Korea, 2011.) 

  5. 양승의, 공공도서관과 학교도서관의 협력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Yang Seung-Ui. A Study on Cooperation between Public Library and School Library. M.A.thesis, Major in Library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Hanyang University, 2010.) 

  6. 이병기. 학교도서관 중심의 정보매체와 교수매체론. 서울 : 조은글터, 2010. pp.89-93. (Lee Byeong-Ki. Information Media and Teaching Media in School Libraries. Seoul : JOEUN, 2010.) 

  7. 장지숙, 송경진, 이진우, 차미경. "지방자치단체의 공공도서관 정책분석: 중장기 계획과 담당 조직을 중심으로." 한국비블리아학회지, 제21권, 제2호(2010), pp.15-28. (Jang Jisuk, Song KyoengJin, Lee Jinwoo, Cha Mikyeong. "A Study on the Public Library Policies of Local Governments: Focusing on the Long-Term Planning and Organizations." Journal of Korea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ol.21, No.2(2010), pp.15-28.) 

  8. 정미경, 남태우. "도서관 통합서비스 모델로서의 Information Commons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41권, 제4호(2007), pp.347-363. (Jung Mi-Kyung, Nam Tae-Woo. "A Study of Information Commons as Model of Library Integrated Servic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ol.41, No.4(2007), pp.347-363.) 

  9. 조성일. "공공도서관 현안과 과제: 교육청공공도서관의 미래." 서울시도서관연구회, 제27권(2011), pp.113-123. (Cho Sung-Il. "Issues and Problems of Public Libraries: Future of Public Libraries in Office of Education." Bulletin of Research Society for Public Library, Vol.27(2011), pp.113-123.) 

  10. 차미경, 김선애, 심효정, 박홍석, 서민정, 임지영, 홍강표. 도서관 활성화 2단계 대책수립을 위한 기초 연구. 서울 : 교육인적자원부, 2006. p.86. (Cha Mikyeong, Kim Sun-Ae, Shim Hyo-Jeong, Park Hong-Soek. An Exploratory Study on the Strategy for Enhancing Library Services of the 2nd Phase. Seoul :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 Development, 2006.) 

  11. 최문경. 학교도서관 활성화를 위한 공공도서관과 학교도서관의 상호협력현황과 발전방안 연구. 석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Choi Moon-Kyung. A Study on Methods of School Library and Public Library for the Improvement of School Library. M.A.thesis, Major in Library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eimyung University, 2008.) 

  12. 한윤옥, 곽철완.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 협력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35권, 제1호(2010), pp.337-357. (Han Yoon-Ok, Kwak Chul-Wan. "A Study of the Cooperation Models Between School Library and Public Library." Journal of Korea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ol.35, No.1(2004). pp.337-357.) 

  13. 허춘자. 학교도서관 지원 체제의 분석을 통한 협력 방안 연구: 경기도 공공도서관과 교육청 사례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Hur ChunJa. A Study on Cooperation Methods for School Library Support: Focusing on Public Libraries and Ky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M.A.thesis, Major in Library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yeonggi University, 2010.) 

  14. Donald R. The Information Commons Handbook. New York : Neal-Schuman Publishers, 2006. p.iii-iv. 

  15. Learning Commons and Public Libraries. [cited 2013. 5. 15]. 

  16. The Library as Places: Tales from the Community Learning Commons. [cited 2013. 5. 15].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