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공도서관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Plan for Public Libraries 원문보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48 no.1, 2014년, pp.345 - 367  

장우권 (전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박성우 (전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여진원 (전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공공도서관은 21세기 지식기반사회에서 지식정보와 문화창조의 핵심기관이며 지식정보자원의 산실로서 그 기능과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이 연구는 공공도서관의 효율적인 지식정보자원의 활용과 서비스를 위해 이용자 친화적인 문화공간으로서 발전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전라남도 교육청 소속 21개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이용자 525명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운영만족도, 사회자본 창출, 지역발전 공헌도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있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blic libraries are core organization of knowledge information and culture creation in the knowledge-based society in 21st centu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development plan for public library as a user-friendly cultural space that provides service and utilization of efficient know...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서관은 인류문화에서 무엇을 발전시켜 왔는가? 인류문명과 고대의 찬란한 지식문화는 도서관으로부터 시작되었다. 도서관은 인류문화의 생산자, 유통자, 제공자의 역할을 담당하였으며, 인류의 지식·신념·행위의 총체적인 사회의 문화를 보존하고 전승하여 발전시켜오고 있다. 또한 도서관은 그 형성과 발전과정 속에서 인류 문화의 산실로서 지식을 체계적으로 조직하여 전달․제공하는 사회문화적 장치의 하나로 사회와 유기적 관계를 충실히 맺고 있다.
지자체 공공도서관과 교육청 공공도서관은 어떤 목적으로 운영되고 있는가? 현행 공공도서관은 지자체소속과 교육청 소속으로 이원화 되어 있다. 지자체 공공도서관은 지역주민의 정보이용과 문화활동, 평생교육을 증진을 목적으로 한다면, 교육청공공도서관은 교육 균형발전을 위해 학생과 지역주민들의 교육과 문화 그리고 예술에 대한 삶의 질 향상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학교도서관 운영활성화에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도서관의 지역커뮤니티의 역할을 하는 예로 무엇이 있는가? 도서관은 성숙한 시민사회 성장 및 지역 공동체 형성을 위한 지역커뮤니티의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주5일근무제로 지역민의 종합문화공간으로서의 지역공동체 형성에 도서관 역할 증대, 도서관의 지역주민을 위한 문화 사랑방으로서의 역할 강화, 연령별 주제별 독서클럽, 가족대상 동화 구연, 저자와의 만남, 자녀 독서지도교실, 독서치료. 책읽어주는 부모모임 등 지역사회 커뮤니티 형성의 구심적 역할 등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곽동철, 노영희. 2013. 학술정보의 탐색 및 활용. 개정판. 조은글터.(Kwack, Dong-Chul and Noh, Young-Hee. 2013. Search and Utilization of Academic Information Service. Rev. ed. Seoul: Good Writing.) 

  2. 김상희, 양승훈. 2008. 지역 커뮤니티센터로 서의 영국 공공도서관 정책. 도시문제, 43(480): 92-100.(Kim, Sang-Hee and Yang, Soung-Hoon. 2008. "UK' Public Library Policy in Local Community Center." Urban Problem, 43(480): 92-100.) 

  3. 김재철. 2012. 광주광역시 도서관 중장기 발전방안. 광주: 광주발전연구원보고서.(Kim, Jae-Chul. 2012. Library Long-term Development Plan of Gwangju Metropolitan City. Gwangju: Gwangju Development Institute Report.) 

  4. 오재환, 김형균. 2009. 부산지역 도서관 발전방안 연구. 부산: 부산발전연구원보고서.(Oh, Jae-Hwan and Kim, Hyeong-Gyun. 2009. A Study on Library Development Plan of Busan. Busan: Busan Development Institute Report.) 

  5. 조권중. 2008. 확충이 필요한 서울의 공공도서관. 서울: 서울시정개발연구원정책리포트.(Cho, Gwon-Joong. 2008. Need of Increasing Public Library of Seoul. Seoul: Seoul Development Institute Policy Report.) 

  6. 앨빈 토플러. 2006. 제3의 물결. 원창엽 역. 서울: 홍신문화사.(Toffler, Elvin. 2006. The Third of Wave. Won, Chang-Yeob. Trans. by. Seoul: Hongsin Munhwa.) 

  7. 장우권. 2009. 공공도서관의 지역문화콘텐츠 의 관리와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3(1): 271-292.(Chang, Woo-Kwon. 2009. "A Study on the Management and Practical Use Program of Local Cultural Contents in the Public Libra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3(1): 271-292.) 

  8. 장우권, 박성우. 2012. 공공도서관 지적자본 평가모형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3(1): 371-397.(Chang, Woo-Kwon and Park, Seong-Woo. 2012. "A Study on the Assessment Model of Intellectual Capital of the Public Library."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3(1): 371-397.) 

  9. 조권중, 최현재. 2004. 서울시 공공도서관 발전방향과 과제. 서울: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정책토론회자료집.(Cho, Gwon-Joong and Choi, Hyun-Jae. 2004. Challenges and Future Directions for Public Library of Seoul. Seoul: Seoul Development Institute Policy Source Book.) 

  10. 조찬식, 조미아. 2011. 공공도서관의 이해와 분석. 서울: 에듀컨텐츠.(Cho, Chan-Sik and Cho, Mi-Ah. 2011. Understanding and Analyses of the Public Library. Seoul: Educontents.) 

  11. 전라남도교육청사서연구회. 2008. 전라남도교육청 사서연구회지 2008. 전남교육청.(Association for research public librarians of Jeollanamdo Office Education. 2008. Journal of Association for research public librarians of Jeollanamdo Office Education.) 

  12. 한복희, 이성숙. 2009. 대전시 공공도서관 중장기 발전전략 연구. 대전: 대전광역시 한밭도서관 보고서.(Hahn, Bock-Hee and Lee, Sung-Sook. 2009. A Study on Library Long-term Development Plan of Daejeon Metropolitan City. Daejon: DaeJeon Hanbat Library Report.) 

  13. IFLA/UNESCO Public Library Manifesto 1994. [online] [cited 2013. 12. 20.] ;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