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특성화고 진학 및 졸업 후 진로에 대한 중학생, 학부모, 산업체 인사 담당자의 인식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Awaren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School Parents, and Human Resources Directors in Industrial Institutions about Admission into Specialized High Schools and Career after Graduating from Specialized High Schools 원문보기

大韓工業敎育學會誌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ducators, v.38 no.2, 2013년, pp.48 - 67  

이병욱 (충남대학교) ,  안재영 (충남기계공업고등학교) ,  이찬주 (양평전자과학고등학교) ,  이상현 (충남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특성화고 교육의 주요 수요자가 될 중학생, 학부모, 산업체 인사 담당자의 특성화고 진학 및 졸업 후 진로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특성화고의 운영 방향에 관한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충남 아산시의 중학교 3학년생과 학부모 및 산업체 인사를 대상으로 조사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과 학부모는 대체로 특성화고 마이스터고 등 직업 교육 기관보다는 일반고 진학을 희망하였고 고교 선택 요인으로 중학생은 학업 성적을, 학부모는 적성 소질을 가장 고려하였다. 둘째, 중학생 학부모 산업체 인사는 특성화고의 목적을 학생의 소질 적성 향상 및 취업으로 인식하였고, 특성화고의 긍정적인 이미지는 소질 적성을 일찍 살림, 취업이 잘됨, 졸업 후 자립이 빠름, 우수한 기술 습득 등으로, 부정적인 이미지는 사회적 편견 및 차별, 성적이 좋지 않은 학생의 진학, 승진 임금 등에 대한 불이익, 대학 진학에 불리 등으로 인식하였다. 또한 특성화고 교육이 전공분야 기초 실무 능력 향상, 직업 기초 능력 함양, 창의 인재 육성, 바른 인성 및 태도 함양에 대해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셋째, 다수의 중학생과 학부모가 아산시에 특성화고 설립 시 특성화고 진학 의사를 나타냈고 진학 이유는 적성 소질을 일찍 살림, 우수한 기술 습득, 조기 취업 희망 등, 미진학 이유는 적성 소질에 맞지 않음, 특성화고에 대한 인식 부족, 대학 진학에 불리, 사회적 편견 및 차별 등이었다. 또한 특성화고 졸업 후 취업과 대학 진학을 비슷하게 희망하였고 취업 이유는 대체로 사회 진출을 빨리하여 성공하고 싶거나 대학을 졸업해도 취업하기 어렵기 때문에, 진학 이유는 대체로 전공에 대한 심화교육과 학력에 따른 사회적 차별 때문이었다. 중학생 학부모 산업체 인사가 인식하는 채용 기준으로 직무 수행 능력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중학생과 학부모는 공업 계열 학과, 가정 가사 및 상업 관련 학과를 주로 희망하고 있으며 학과 선택을 위해 적성 소질, 미래 유망, 취업에 유리함 등을 고려하였다. 산업체 인사의 특성화고 학생의 채용 이유는 학생을 산업체의 인재로 성장, 학생이 직무 수행 능력을 갖춤, 고졸 수준의 인력이 필요함 등이었고, 인력이 필요하거나 학생이 직무 수행 능력을 갖추면 채용할 수 있다는 일부 응답이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 따른 특성화고 운영 방향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특성화고는 학생과 학부모의 다양한 요구에 부합도록 학과 및 교육과정을 다양화하고 진로 지도에 입각한 특성화고 입학 시스템을 구축하며 일 기반 현장 학습을 구축하여 학생의 직무 수행 능력을 향상시켜야 한다. 정부는 특성화고 학생의 실질적인 경력 발달이 가능하도록 선취업 후진학 정책을 정비하고 취업률 등 정량적 평가보다는 특성화고 교육의 내실화를 위한 방향으로 관련 정책을 추진하며, 특성화고 관련 기능 인력이 제대로 평가 및 대우받을 수 있는 각 부처의 협력적 지원이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tried to suggest implications about operation direction of specialized high schools (SHS) by researching awaren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MSS), school parents (SP), human resources directors in industrial institutions (HRDII) who will be the main users of SHS education, about enteri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4%를 차지하였다. 과거에는 대학 진학에 유리하거나 성적 때문에 특성화고에 진학한 경우가 많았으나(이정규, 2011; 이병욱 외, 2010; 이영대, 2010; 김소예, 2009; 김상호, 2008; 이상준 외, 2008) 본 연구에서는 비교적 바람직한 목적으로 특성화고에 진학하고자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특성화고는 진학 예정자들의 요구에 부합하는 진로·기술 중심의 교육을 제공해야 하며 중학교에서는 이들 학생들이 자신의 적성 및 소질에 부합하는 특성화고에 진학하도록 진로교육에 입각한 체계적인 입학 지도를 실시해야 한다.
  • 본 연구는 특성화고 진학과 산업체 취업이라는 진로 경로에 관한 인식을 보다 사실적으로 분석하기 위해서 한 지역에 거주하고 있고 본 연구 목적과 관계된 이해 집단인 중학생, 학부모, 산업체 인사 담당자를 모집단으로 설정하였다. 즉, 충청남도 아산시 소재 중학교 재학생 중 고등학교 진학을 앞둔 3학년생과 그 학부모, 그리고 아산시 소재 산업체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제조업 관련 산업체의 인사담당자를 모집단으로 설정한 조사 연구로 실시되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특성화고 교육의 주요 수요자가 될 중학생, 학부모, 산업체 인사 담당자의 특성화고 진학 및 졸업 후 진로에 대한 인식을 조사·비교하여 특성화고의 운영 방향에 관한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직업교육이 국가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주요 기제로 평가되고 있는 이유는? 직업교육은 국가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주요 기제로 평가되고 있다(OECD, 2010). 그 이유는 세계 경제 위기 극복, 청년 실업 방지와 고용 불안 해소, 질 높은 우수 기능·기술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서는 학교에서 직업 세계로의 이행이 원활히 이루어져야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OECD 국가들은 대체로 청소년의 직업교육 참여 제고를 위하여 다양한 진로 모형과 직업 경로를 설계․지원하는 데 주력해 왔다(이병욱, 2012).
특성화고 졸업생의 대학 진학률이 감소하고 취업률은 향상하고 있는 이유는? 이에 최근 정부는 중등단계 직업교육기관에서의 취업 역량을 강화하고 노동시장에서 필요로 하는 인력 공급 기능을 강화하기 위한 다양한 중등 직업교육 활성화 정책을 추진하였다(이병욱, 2012). 이에 따라 최근 특성화고 졸업생의 대학 진학률이 감소하고 취업률은 향상하고 있으며(교육부, 2013) 중소기업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선호하는 일자리인 대기업과 공공기관의 특성화고 졸업생의 채용 비율이 확대되는 등 특성화고 졸업생에 대한 노동시장의 채용 요구가 높아지면서 특성화고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되고 있다.
특성화고가 운영되는 것이 바람직한 이유는? 직업 교육과정은 노동 시장의 교육 요구뿐만 아니라 학생의 교육 요구 및 취업을 충족시킬 수 있어야하기 때문에(Finch & Crunkilton, 1999, p. 15), 이와 같은 특성화고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이 실제적인 성과로 산출되기 위해서는 교육 수요자의 요구에 부합되도록 특성화고가 운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정부 주도의 직업 교육은 일반적으로 실험 실습 기자재와 같은 교육 환경의 개선과 교육 시간 및 예산의 확보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지만 다양한 학생의 요구를 반영하는데 방해가 될 수 있다(Finch & Crunkilton, 1999, pp.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고재성(2008). 전문계 고교 출신 대학 진학자의 진로현황 및 시사점. e-고용이슈, 제2008-16호, 서울: 한국고용정보원. 

  2. 김동규(2012). 특성화고 선택의 자발성이 고졸청년층의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영향. 직업교육연구, 31(3), 25-42. 

  3. 김상호(2008). 전문계 고등학교와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들의 진로선택에 관한 비교연구 -상업정보 계열을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소예(2009).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학교선택 만족 및 진로선택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정원 외(2011). 현 정부 핵심교육정책 진단 및 대책.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6. 교육부(2013). 특성화고.마이스터고 '13년 졸업생 취업률 결과 발표. 2013년 5월 15일자 보도자료. 

  7. 빙하나(2011). 광주광역시의 전문계 고등학생들의 직업의식에 관한 연구. 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안재영(2012). 현장 실습 요인이 특성화 고교생의 취업 진로 결정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안재영, 이병욱(2013a). 특성화 고교 출신 취업자의 인식에 기초한 현장 실습 효과 연구.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8(1), 145-161. 

  10. 안재영, 이병욱(2013b). 특성화 고교 출신 취업자의 직장 생활 만족도와 현장 실습 요인간의 관계 분석.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3(1), 93-110. 

  11. 오석영(2012). 특성화고 학생의 진로결정요인 분석: 서울지역 진로결정 집단별 비교. 직업교육연구, 31(3), 135-151. 

  12. 이병욱(2012). MB정부의 중등교육단계 직업교육 성과와 차기 정부의 직업교육 방향. 2012 한국직업교육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pp. 9-31).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3. 이병욱 외(2010). 서울특별시 고등학교 직업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서울: 서울특별시교육청. 

  14. 이병욱, 노태천, 김춘길(2002). 공업계 고등학교 맥락에서의 직업교육 발전 방안-공고 교육의 현안문제와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대한공업교육학회지, 27(2), 53-66. 

  15. 이상준 외(2008). 전문계 고교생의 진로연구.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6. 이영대(2010). 중학생의 고교 진학유형별 고교 졸업 후 진로비교. 제 5회 한국교육고용패널 학술대회 자료집.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7. 이정규(2011). 특성화 고등학교별 진로선택과 진로지도의 비교.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장명희(2012). 고졸 취업 촉진 정책과 추진 경과와 방향. 국가교육과학기술자문회의 주최 주요 교육정책에 대한 현장 간담회 자료. 

  19. 조군제, 김선진(2009). 고등학교 상업계 학생의 진로의식을 통한 진로지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경상남도 지역을 중심으로-. 경영교육연구, 54, 1-22. 

  20. 조용 외(2011). 특성화고 진로이력분석 연구 2011. 서울특별시교육청. 

  21. 초.중등교육법시행령(2013). 타법개정 2013.3.23, 대통령령 제24423호. 

  22. Finch, C. R. & Crunkilton, J. R. (1999). Curriculum Development in Vocational and Technical Education (5th ed). MA: Allyn & Bacon. 

  23. OECD(2010). Learning for jobs. Paris: OECD. 

  24. 아산시청 기업사랑 홈페이지(2013). http://giup.asan.go.kr. 

  25. 충청남도교육청(2013). http://www.cne.go.kr. 

  26. 한국교육개발원(각 년도), 교육통계연보. http://cesi.kedi.re.kr.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