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학개념 형성단계에 대한 모델과 적용사례 - 분수체 형성 추상화 단계
A case study for student's understanding -abstraction process to quotient field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A. The Mathematical Education, v.52 no.1, 2013년, pp.97 - 109  

최은미 (한남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search in undergraduate mathematics education has been active very recently. The purpose of the paper is to investigate how college students make ion from some known informations about integer and rational numbers in algebra. Three college students were involved in the study. We analyze student's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추상대수는 학생들이 어떻게 느끼는 교과인가? 수학적 대상물의 구조를 체계적으로 다루는 추상대수는 많은 학생들이 수학과정에서 가장 어렵게 여기는 교과 중 하나이다(Dubinsky 외, 1994; Leron 외, 1995a). 알고리즘이나 문제풀이 방법이 강조되던 기존의 교과들과는 달리 추상대수는 수학적 구조와 증명을 탐구하는 것으로서, 수학적 추상화를 잘 다룰 수 있는 학생들도 있지만 그렇지 못한 경우는 이 강좌를 무척 힘들어하다가 결과적으로 수학으로부터 멀어지는 현상을 야기하기도 한다.
추상대수는 무엇을 탐구하는 것인가? 수학적 대상물의 구조를 체계적으로 다루는 추상대수는 많은 학생들이 수학과정에서 가장 어렵게 여기는 교과 중 하나이다(Dubinsky 외, 1994; Leron 외, 1995a). 알고리즘이나 문제풀이 방법이 강조되던 기존의 교과들과는 달리 추상대수는 수학적 구조와 증명을 탐구하는 것으로서, 수학적 추상화를 잘 다룰 수 있는 학생들도 있지만 그렇지 못한 경우는 이 강좌를 무척 힘들어하다가 결과적으로 수학으로부터 멀어지는 현상을 야기하기도 한다. 교수들은 학생들이 그 과목에서 겪는 어려움을 학습내용이 어렵기 때문에 당연하다고 생각했을 뿐이지 왜 그렇게 어려운지에 관해 인식론적 이해에 기초한 연구는 거의 진행되지 못하였다.
국내의 대학수학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연구사례들로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추상대수교육의 연구 뿐만 아니라 대학수학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연구가 우리나라에서 시작된 것은 그다지 오래 되지 않았다. 연구가 진행된 경우에도 내용면에서 볼 때 대부분이 기초과목인 미적분학에 관한 것이며, 고급단계에서는 선형대수(최영한, 2004), 미분방정식(권오남, 2005), 추상대수(박혜숙외, 2005)등에 관련된 몇 몇 연구들이 있다. 대학수학교육 연구가 미적분학을 중심으로 머무는 현상은 외국에서도 거의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권오남 (2005). 탐구지향 미분방정식 교수-학습의 효과분석, 수학교육 44(3), 375-396.(Kwon, O.N. (2005). Effects of inquiry-oriented differential equations instruction based on the realistic mathematics education, The Mathematical Education 44(3), 375-396.) 

  2. 박혜숙, 김서령, 김완순 (2005). 수학적 개념의 발생적 분해의 적용-추상대수학에서의 $Z_n$ 의 경우, 수학교육 44(4), 547-563.(Park, H.S., Kim, S.R., & Kim, W.S. (2005). On the applications of the genetic decomposition of mathematical concepts- in case of $Z_n$ in abstract algebra, The Mathematical Education 44(4), 547-563.) 

  3. 최영한 (2004). 선형대수의 가르침에 고려하여야 할 사항에 관한 연구, 수학교육논문집 18(2), 93-108.(Choi, Y.H. (2004). Some aspect in teaching linear algebra,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18(2), 93-108.) 

  4. Asials, M., Brown, A., Kleiman, J., & Mathews, D. (1998). The development of students understanding of permutations and symmetries, International J. of Computers for Mathematical Learning, 3(1) 13-43. 

  5. Asials, M., Dubinsky, E., Mathews, D., Morics, S., & Oktac, A. (1997). Development of students' understanding of cosets, normality, and quotient groups, J. of Mathematical Behavior, 16(3) 241-309. 

  6. Baxter, N., Dubinsky, E., & Levin, G. (1988). Learning discrete mathematics with ISETL, Springer, NY. 

  7. Blanchard, P., & Holdener, J. (2001). Increasing accessibility of examples in abstract algebra using GAP, AMS Meeting. New Orleans, LO. 

  8. Brooks, J.G. & Brooks, M.G. (1993). In search of understanding: The case for constructivist classrooms. Alexandria, VA. 

  9. Brown, A., DeVries, D., Dubinsky, E., & Thomas, K. (1997). Learning binary operations, groups, and subgroups, J. of Mathematical Behavior, 16(3), 187-239. 

  10. Bruner, J. (1977). The process of education, Harvard Univ. Press, Cambridge, MA. 

  11. Burn, R. (1998). Participating in the learning of group theory, PRIMUS, 8(4) 305-316. 

  12. Charlwood, K. (2002). Some uses of Maple in the teaching of modern algebra. In E. Hibbard et.al. (Eds.), Innovations in teaching abstract algebra MAA, 91-96. 

  13. Dubinsky, E. (1995). ISETL: A program language for learning mathematics, Communications in Pure and Applied Math. 48, 1-25. 

  14. Dubinsky, E., Dautermann, J., Leron, U., & Zazkis, R. (1994). On learning fundamental concepts of group theory, Educational Studies in Math. 27, 267-305. 

  15. Dubinsky, E., & Leron, U. (1993). Learning abstract algebra with ISETL, Springer, NY. 

  16. Edwards, T., & Brenton, L. (1999). An attempt to foster students' construction of knowledge during a semester course in abstract algebra, The College Math. J. 30(2), 120-128. 

  17. Findell, B. (2001). Learning and understanding in abstract algebra, Ph.D. Thesis, U. New Hampshire. 

  18. Freudenthal, H. (1973). Mathematics as an educational task, Dordrecht, D. Reidel. 

  19. Gallian, J. (1994). Contemporary abstract algebra, Heath and Company, Lexington, MA. 

  20. Katz, V. (2007). MAA report: Algebra-Gateway to a technological future, U. District of Columbia, MAA. 

  21. Kieran, C. (1992). The learning and teaching of school algebra. In D. Grouws (Ed.), Handbook of research on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390-414.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NY. 

  22. Leron, U., & Dubinsky, E. (1995a). An abstract story, Amer. Math. Monthly 102(3), 227-242. 

  23. Leron, U., Hazzan, O., & Zaskis, R. (1995b). Learning group isomorphism. Educational Studies in Math. 29(2), 153-174. 

  24. Levin, G. (1990). Introduction to computer science: an interactive approach using ISETL. ACM SIGCSE Bulletin, 22(1), 31-33. 

  25. Maycock, E. (2002). Laboratory experiences in group theory: A discovery approach. In Ed. Hibbard, et. al.(Eds.), Innovations in teaching abstract algebra, MAA. 41-43. 

  26. Perry, A. (2004). A discovery oriented technology enhanced abstract algebra course, Education, 124(4), 694. 

  27. Piaget, J. (1970). Genetic epistemology. Columbia Univ. Press. NY. 

  28. Pirie, S., & Kieren, T. (1989). A recursive theory of mathematical understanding. For the Learning of Math. 9(3), 7-11. 

  29. Pirie, S., & Kieren, T. (1990). A recursive theory for mathematical understanding: some elements and implications, Annual meeting of Amer. Edu. Research Association, Boston. 

  30. Scher, D., & Findell, B. (1996). Research in undergraduate mathematics education: A map of the territory, Education Development Center, INC. http://blue.butler.edu/-phenders/STUFF/Mathema tical%20thinking/ 

  31. Selden, A., & Selden, J. (1987). Errors and misconceptions in college level theorem proving, Proc. of the 2nd International Seminar on Misconceptions and Educational Strategies in Science and Mathematics, Vol. III , Cornell U. 457-470. 

  32. Tall, D., & Vinner, S. (1981). Concept image and concept definition in mathematics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limits and continuity. Educational Studies in Math, 12(2), 151-169. 

  33. Thrash, K., & Walls, G. (1991). A classroom note on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group isomorphism, Math. and Computer Edu. 25(1), 53-55. 

  34. Zazkis, R., Dubinsky, E. & Dautermann, J. (1996). Coordinating visual and analytic strategies: A study of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group $D_4$ . J. for Research in Math. Edu. 27(4), 435-45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