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내장산국립공원 내장산지구 20년간(1991~2010년) 식생구조 변화 연구
Changes of Vegetation Structure in Naejangsan District, Najangsan National Park for Twenty Years(1991~2010), Korea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7 no.1, 2013년, pp.99 - 112  

배지윤 (국립공원관리공단) ,  김지석 (부산대학교 바이오환경에너지학과) ,  이경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 조경학과) ,  김종엽 (도시생태학연구센터) ,  염정헌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내장산국립공원 내장산지구를 대상으로 20년(1991~2010년) 동안의 식생구조 변화 특성을 밝히고자 수행하였다. 현존식생 조사 결과, 굴참나무와 졸참나무가 혼효된 군집이 전체의 56.1%로 가장 높은 비율로 분포하였으며 남사면 급경사지의 굴참나무군집은 17.6%이었다. 능선부에는 소나무군집(5.8%), 계곡사면에는 개서어나무군집이(6.6%) 분포하였으며, 기타 계곡부를 중심으로 느티나무군집과 산벚나무군집 등이 분포하였다. 상대우점치를 고려한 TWINSPAN에 의한 classification과 DCA에 의한 ordination을 분석한 결과, 군집 I(소나무-굴참나무군집), 군집 II(굴참나무군집), 군집 III(개서어나무군집), 군집 IV(낙엽활엽수혼효군집)로 분류되었다. 군집 I의 표본목 수령은 소나무 32년생, 졸참나무 36년생, 군집 II는 굴참나무 64년생, 군집 III은 졸참나무 46년생, 개서어나무 45년생, 군집 IV는 단풍나무 54년생, 층층나무 47년생 등 이었다. Shannon의 종다양도지수는 군집 I은 0.9751~1.4199, 군집 II는 1.0765~1.3278, 군집 III은 1.0353~1.2881, 군집 IV는 1.1412~1.3807이었다. 20년전 연구결과와 비교하여 식생구조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소나무의 도태, 굴참나무, 졸참나무 등 참나무류의 세력확장, 개서어나무의 세력 증가가 확인되었으며 20년 전의 천이예측과 같이 극상림으로의 천이가 진행되었다. 특히, 굴참나무와 내장산 대표수종인 단풍나무와의 군집분포 특성 및 조릿대 분포면적 변화 분석 결과, 굴참나무군집은 pH, 유기물함량, 치환성양이온함량, 유효인산이 낮은 건조한 지역에 분포하였으며 단풍나무군집은 아교목층을 형성하며 습윤한 계곡부와 사면에 분포하였다. 또한, 20년 전의 연구결과와 마찬가지로 단풍나무는 굴참나무가 교목층에서 우점하는 지역에서는 교목층을 형성하지 못하며 낙엽활엽수혼효군집에서만 14.6%로 교목층을 형성하였다. 20년전 관목층에서 광범위하게 분포하는 조릿대에 의한 종다양성의 감소 경향은 동일하였으나 내장산지구 전체 조릿대의 분포면적은 다소 감소하고 있는 경향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show the changes of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structure for 20 years(1991~2010) in Naejangsan National Park. As a result of analysis of actual vegetation, the mixed community of Quercus variabilis and Quercus serrata was distributed with 56.1%, and Q. variabilis community sho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내장산국립공원 내장산지구를 대상으로 식생 구조를 규명하고 20년간의 식생구조 변화를 비교·분석하여 향후, 내장산국립공원의 식생관리방안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내장산국립공원에는 어떠한 나무가 서식하는가? 2010년에는 생태적 가치를 인정 받아 IUCN 카테고리 Ⅱ급으로 지정되었다. 내장산국립공원은 우리나라 일반적 기후 특성인 해양성 기후의 영향을 받는 대륙성 기후대로서 온대 중부림에 속하며, 소나무, 참나무류, 서어나무, 느릅나무, 단풍나무, 물푸레나무 등이 우점하고 있다(Choi et al., 2011).
내장산국립공원의 위치는? 1971년 11월 17일에 우리나라 제 8호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내장산국립공원은 전라북도 정읍시와 순창군, 전남 장성군에 걸쳐 위치하고 있으며, 호남정맥이 통과하는 생태축이자 단풍이 아름다운 공원으로서 호남의 금강이라 불리웠다. 2010년에는 생태적 가치를 인정 받아 IUCN 카테고리 Ⅱ급으로 지정되었다.
내장산국립공원은 IUCN에서 무엇으로 지정되었는가? 1971년 11월 17일에 우리나라 제 8호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내장산국립공원은 전라북도 정읍시와 순창군, 전남 장성군에 걸쳐 위치하고 있으며, 호남정맥이 통과하는 생태축이자 단풍이 아름다운 공원으로서 호남의 금강이라 불리웠다. 2010년에는 생태적 가치를 인정 받아 IUCN 카테고리 Ⅱ급으로 지정되었다. 내장산국립공원은 우리나라 일반적 기후 특성인 해양성 기후의 영향을 받는 대륙성 기후대로서 온대 중부림에 속하며, 소나무, 참나무류, 서어나무, 느릅나무, 단풍나무, 물푸레나무 등이 우점하고 있다(Choi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Bae, J.Y.(2011) A Study on the Changes of Vegetation Structure of the Quercus variabilis Community in Naejangsan District, Naejangsan National Park for Twenty Years(1991-2010), Korea. Master thesis, University of Chungang, 92pp. 

  2. Bae, K.W., K.J. Lee, B.H. Han, J.Y. Kim and J.H. Jang(2012) Actual Vegetation and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Geumsun Valley and Weonjeok Valley in Najangsan(Mt.) National Park, Ko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6(3): 412-42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Brower, J.E. and J.H. Zar(1977) Field and Laboratory Methods for General Ecology. Wm. C. Brown Company, 194pp. 

  4. Choi, J.W., J.I. Kwak, K.J. Lee and W.K. Choi(2009) A Study for Plant Community Structure and Management Plan of Pinus densiflora Forest in Byeonsanbando National Park.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3(5): 447-45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Choi, S.H., K.K. Oh, H.S. Cho and H.M. Kang(2011)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Daphniphyllum macropodum Miq. Communitiy in Najangsan National Park,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5(2): 175-18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Curtis, J.T. and R.P. McIntosh(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forest Border Region of Wisconsin. Ecology 32: 476-496. 

  7. Gauch, H.G.(1982) Multivariate analysis in community ec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98pp. 

  8. Han, B.H., W. Cho and S.D. Lee(2001)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Donghaksa Valley in Kyeryongsan National Park.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14(4): 238-25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Hill, M.O.(1979a) DECORANA: a FORTRAN Program for 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 and Reciprocal Averaging. Ecology and Systematics, Cornell Univ., Ithaca, New York, 52pp. 

  10. Hill, M.O.(1979b) TWINSPAN - a FORTRAN Program for Arranging Multivariate Data in an ordered Two-way Table by Classification of the Individuals and Attributes. Ecology and Systematics, Cornell Univ., Ithaca, New York, 99pp. 

  11. Kil, B.S., J.U. Kim and Y.S. Kim(2000) Forest Vegetation of Southern Area of Mt. Naejang National Park,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3(3): 231-24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Kim, J.U.(1987) A Study on Forest Vegetation by Classification and Ordination. Ph.D. thesis, University of Chungang, 59pp. 

  13. Lee, K.J., J.J. Chang and R.C. Hee(1990) Analysis on the Structure of Plant Community in Mt. Yongmun by Classification and Ordination Techniques. Korean Journal of Plant 33(3): 173-18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Lee, K.J., J.O. Kwon and J.Y. Kim(2000) Plant Community Structure in Keolim Valley of Chirisan National Park.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13(4): 392-40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Lee, K.J., J.Y. Kim and D.W. Kim(1998)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Paekdam-Valley in Soraksan National Park.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11(4): 450-46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Lee, K.J., K.K. Oh and J.C. Jo(1988) Studies on the Structure of Plant Community and Visitor's Activities in Mt . Naejang National Park(I). Korean Journal of Forest 77(2): 166-17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Lee, K.J., S.H. Choi, H.S. Cho and Y.W. Lee(1994) The Analysis of the Forest Community Structure of Tokyusan National Park - Case Study of Paekryunsa-Kumpotan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7(2): 135-15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Lee, K.J., S.H. Min and B.H. Han(1997) Plant Community Structure Analysis in Jujeongol Valley of Soraksan National Park.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10(2): 283-29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Lee, K.W.(1991) A Study on the Community Structure of Vegetation Landscape in Naejangsan National Park. Ph.D.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173pp. 

  20. Lee, M.J., S. Lee, H.J. Kim, Y.U. Ji, G.S. Park and H.K. Song(2002) Vegetation Structures and Ecological Niche of Quercus spp. - Referde to Quercus variabilis, Quercus serrata, Quercus acutissima -.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Korean Forest Society, pp. 65-66. 

  21. Leps, J. and J. Stursa(1989) Species area curve, life history strategies, and succession: a field test of relationships. Vegetatio 83: 249-257. 

  22. Monk, C.D., G.I. Child and S.A. Nicholson(1969) Species diversity of a stratified Oak-Hickory community. Ecology 50(3): 468-470. 

  23. Oh, K.K., T.H. Kwon and J.Y. Lee( 1990) Edge Vegetation Structure in the Mt. Sokri National Park,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4 (1):44-5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4. Park, I.H., K.J. Lee and J.C. Jo(1987) Forest community structure of Mt. Bukhan area. Journal of Korean applied ecology 1(1): 1-2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5. Pielou, E.C.(1975) Ecological Diversity. John Wiley & Sons Inc, New York, 165pp. 

  26. The Korean Associat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1974) Summary Report of Naejangsan National Park. 180pp. 

  27. Yim, K.B., I.H. Park and K.J. Lee(1980) Phytosociological Changes of Pinus densiflora Forest Induced by Insect Damage in Kyonggi-do Area. Journal of Korean Forestry 50: 56-7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