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설악산국립공원 분비나무개체군의 구조와 동태 모니터링
Monitoring on the Structure and Dynamics of Abies nephrolepis Populations in Seoraksan National Park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33 no.5, 2019년, pp.565 - 577  

전영문 (송광생태연구소) ,  이호영 (한길숲연구소) ,  권재환 (국립공원공단 종복원기술원) ,  박홍철 (국립공원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설악산 분비나무 개체군의 쇠퇴징후에 대한 요인과 군락의 변화 양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귀때기청봉, 관모능선, 설악폭포지역에 고정조사구를 설치하였으며, 군락구조, 개체군동태, 비대생장 및 활력도 등을 2009년부터 모니터링 하였다. 설악폭포지를 제외한 3개 조사지는 아교목층이 수관층을 형성하는 3층구조를 보였다. 목본수종의 중요치에서는 분비나무, 눈측백, 신갈나무, 사스래나무, 당단풍나무 등이 주요 종으로 분포하였으며, 설악폭포지에 분포하는 분비나무의 중요치는 2009년 45.3%에서 2018년 36.8%로 가장 크게 감소하였다. 생육목의 개체수($DBH{\geq}5cm$)는 귀때기청봉2와 관모능선에서 각각 1,800개체/ha와 1,700개체/ha로 가장 많았으며, 지난 10년 동안 고사율은 귀때기청봉1과 설악폭포지에서 각각 38.3%와 35.3%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분비나무 개체군의 흉고직경급 분포에서는 귀때기청봉1 지역에서 가장 안정적인 역 J자형의 분포를 보였다. 분비나무의 연평균 비대생장은 0.96~1.73mm/year 였으며, 활력도가 감소 추세를 보인 귀때기청봉2, 관모능선, 설악폭포 지역에서 비대생장은 대체로 생장이 저하되는 추세를 나타내었다. 향후 모니터링 과정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진다면, 아고산 식생의 보전과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decline and the patterns of changes in Abies nephrolepis populations on Mt. Seorak. We installed permanent quadrats in the areas of the Gwittagicheongbong (peak), Gwanmoneungseon (ridge), and the Seorak Falls and have monitor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전반적으로 쇠퇴 징후를 보이고 있는 설악산 분비나무개체군을 대상으로 고정조사구를 설치하여 분비나무의 쇠퇴에 관여하는 요인과 정도, 그리고 쇠퇴의 진행에 따른 군락내 개체군간의 변화 양상을 조사하였다. 향후 이를 통한 기초 자료의 축적은 아고산대 식생의 보전 및 관리를 위한 전략 수립뿐만 아니라 아고산 생태계를 폭넓게 이해하고 파악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정보 제공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분비나무는 어디에 분포하는가? 전나무속에 속하는 분비나무는 러시아 극동(알단-오호츠크 남부, 사할린, 아무르, 우수리), 몽골, 중국 북동부(샤옥간링-장백산(백두산), 한반도 등에 분포한다(Chung and Lee, 1965; Qian et al., 2003).
설악산 분비나무는 몇 m의 고도에서 분포하는가? , 2003). 한반도에서는 북부 차유산에서 지리산까지 해발고도 700∼2,540m에 주로 생육하는 아고산형 식물로서 아한대의 표징종이며, 설악산에서는 700∼1,650m 범위에서 주로 분포한다(Chung and Lee, 1965; Yim and Baik, 1985; Kong, 2000). 북방계식물인 분비나무는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쇠퇴 움직임이 보고되면서 기후변화 생물지표와 적응 대상식물로 선정되는 등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추세에 있다(KNA, 2010; NIBR, 2010).
전나무속이란? 전나무속(Abies)은 전 세계적으로 40여 종이 아시아, 유럽, 북미대륙 등 주로 북반구에 자생하는 소나무과(Pinaceae) 식물로서(Willis, 1973), 특히 20세기 후반에 들어와서 생장이 현저하게 둔화될 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그 분포면적이 감소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Crawford, 1989). 국내에서 아고산대 침엽수림에 대한 생육쇠퇴 현상은 최근에 주로 구상나무림을 중심으로 진행되어 왔으며(Kim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3)

  1. Boener, R.E.J., S.D. Runge, D.S. Cho and J.G. Kooser(1988) Localized ice storm damage in an Appalachian Plateau watershed. Amer. Midl. Nat. 119: 199-208. 

  2. Braun-Blanquet, J.(1964) Pflanzensoziologie. Grundzge der Vegetationskunde, 3rd eds. Springer-Verlag, Wien. 

  3. Brower, J.E. and J.H. Zar(1977) Field and laboratory methods for general ecology, Wm. C. Brown Co. Publisher, Iowa. 

  4. Cho, D.S.(1994) Community structure, and size and age distribution of conifers in subalpine Korean Fir (Abies koreana) forest in Mt. Chiri. Kor. J. Ecol. 17(4): 415-424. 

  5. Chun, Y.M. Songgwang Ecological Institute, Suncheon, Korea (unpublished data). 

  6. Chun, Y.M., J.H. Kwon, M.P. Hong, J.S. Lee, H.L. Choung and S.H. Lee(2010) Habitat environment and succession of Abies nephrolepis forest in Mt. Seorak. Geogr. J. Kor. 44(1): 93-10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Chun, Y.M., J.K. Ahn, M.P. Hong, J.T. Shin, J.S. Won and S.H. Lee(2011) Structure and dynamics of Abies nephrolepis community in Odaesan National Park. Geogr. J. Kor. 45(4): 559-57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Chun, Y.M., M.P. Hong, J.H. Kwon, J.S. Lee, H.L. Choung and S.H. Lee(2009) A study on community structure and growth variation of Abies nephrolepis forest in Mt. Seorak. Geogr. J. Kor. 43(2): 125-13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Chung, J.M., S.W. Lee and K.Y. Lee(1996) Vegetation structure, regeneration niche, and dynamics of the saplings in Abies koreana forest of the Mt. Chiri. Jour. Kor. For. Soc. 85(1): 34-4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Chung, T.H. and W.T. Lee(1965) Forest zone of Korea and proper site for tree. Bull. Sungkyunkwan Univ. 10: 329-36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Crawford, R.M.M.(1989) Studies in Plant Survival: Ecological case stories of plant adaptation to adversity. Blackwell Scientific Publications, Oxford. 

  12. Despain, D.G.(1983) Nonpyrogenous climax lodgepole pine communities in Yellowstone National Park. Ecology 64: 231-234. 

  13. Foster, J.R. and W.A. Reiners(1983) Vegetation patterns in a virgin subalpine forest at Crawford Notch, White Mountains, New Hampshire. Bull. Torrey Bot. Club 110: 141-153. 

  14. Hong, M.P.(2004) Ecological Studies on the Forest Vegetation of Mt. Seorak. PhD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263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Jeon, M.N., K.E. Lee and Y.S. Choung(2015) Gap formation and susceptible Abies trees to windthrow in the forests of Odaesan National Park. J. Ecol. Environ. 38(2): 175-183. 

  16. Kang, S.J.(1984) Regeneration process of subalpine coniferous forest in Mt. Jiri. Korean J. Ecol. 7(4): 185-19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Kim G.T., G.C. Choo and T.W. Um(1997) Studies on the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at Cheonwangbong-Deokpyungbong area in Chirisan National Park -Abies koreana forest-. Jour. Kor. For. Soc. 86(2): 146-15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Kim, G.T. and G.C. Choo(1999) Studies on the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in subalpine zone of Togyusan -Abies koreana forest-. Kor. J. Env. Eco. 13(1): 70-7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Kim, G.T., G.C. Choo and G.J. Baek(1998) Studies on the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in subalpine zone of Mt. Halla -Abies koreana forest-. Kor. For. Soc. 87(3): 366-37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0. Kim, G.T., G.C. Choo and T.W. Um(1996) Studies on the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at Turobong-Sangwangbong area -Abies nephrolepis and Taxus cuspidata forest-. Kor. J. Env. Eco. 10(1): 160-16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1. Kim, G.T., J.S. Kim, G.C. Choo and T.W. Um(1994) Studies on the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at nature conservation area in Tokyusan National Park. J. Kor. App. Eco. 7(2): 164-17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2. Kim, J.W., M.B. Lee, W.S. Kong, T.H. Kim, C.S. Kang, K. Park, B.I. Park, H.D. Park, H.H. Sung, M.W. Son, H.K. Yang, S.H. Lee and Y.E. Choi(2009) Physical Geography of Korea.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Seoul, 319pp. (in Korean) 

  23. Kong, W.S. and D. Watts(1993) The plant geography of Korea. Kluwer Academic Publishers, Netherlands. 

  24. Kong, W.S.(1999) Global warming and alpine vegetation. Korean J. Ecol. 22(6): 363-369. 

  25. Kong, W.S.(2000) Geoecology on the subalpine vegetation and landscape of Mt. Sorak. J. Kor. Geogr. Soc. 35(2): 177-18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6. Kong, W.S.(2007) Biogeography of Korea Plants. GEOBOOK. Seoul, 335pp. (in Korean) 

  27. Koo, K.A., W.K. Park and W.S. Kong(2001) Dendrochronological analysis of Abies koreana W. at Mt. Halla, Korea: Effects of climate change on the growths. Kor. J. Ecol. 24(5): 281-28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8.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2011) Meteorological an annual report (1981-2010).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Seoul, 678pp. (in Korean) 

  29.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2019) www.kma.go.kr 

  30. Korea National Arboretum(2007) www.nature.go.kr 

  31. Korea National Arboretum(2010) 300 target plants adaptable to climate change in the Korean Peninsula. Seoul, 492pp. (in Korean) 

  32. Korea National Arboretum(2014) Forest of Korea (1) Conservation of Korean fir (Abies koreana) in a changing environment. Pocheon, 231pp. (in Korean) 

  33. Lee, C.S. and H.J. Cho(1993) Structure and dynamics of Abies koreana Wilson community in Mt. Gaya. Korean J. Ecol. 16(1): 75-9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4. Lee, H.Y.(2013) The Phytosociological Characteristics of Abies nephrolepis Commuity and Population Dynamics as Climate Condition Changes in Mt. Seorak, Korea. PhD Thesis, Dongguk University, Seoul, 181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5. Lee, J.R.(1984) A study on the strong winds in Young-Dong district. Geogr. J. Kor. 9: 561-57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6. Lee, K.J.(2001) Tree Physi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Seoul, 514pp. (in Korean) 

  37. Lee, T.B.(2003a) Coloured Flora of Korea I. Hyangmunsa, Seoul, 901pp. (in Korean) 

  38. Lee, T.B.(2003b) Coloured Flora of Korea II. Hyangmunsa, Seoul, 914pp. (in Korean) 

  39. Lee, W.C.(1996) Standard illustrations of Korean plants. Academy Press, Seoul, 1688pp. (in Korean) 

  40. Lee, Y.N.(2006a) New Flora of Korea I. Kyohak Publishing Co., Seoul, 975pp. (in Korean) 

  41. Lee, Y.N.(2006b) New Flora of Korea II. Kyohak Publishing Co., Seoul, 885pp. (in Korean) 

  42. Lim, J.H., S.Y. Woo, M.J. Kwon, J.H. Chun and J.H. Shin(2006) Phytosynthetic capacity and water use efficiency under different temperature regimes on healthy and declining Korean Fir in Mt. Halla. Jour. Kor. For. Soc. 95(6): 705-71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3.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2010) Climate-sensitive biological indicator species. www.nibr.go.kr 

  44. Nicholas, N.S., S.M. Zedaker, C. Eagar and F.T. Bonner(1992) A comparison of overstory community structure in three southern Appalachian spruce-fir forests, Bull. Torrey Bot. Club 119: 316-332. 

  45. Park, K.(2000) Morphology and genesis of block fields on the Seoraksan National Park in Kangwon Province, Korea. J. Kor. Geogr. Soc. 35(5): 653-663. 

  46. Qian, H., P. Krestov, P.Y. Fu, Q.L. Wang, J.S. Song and C. Chourmouzis(2003) Phytogeography of northeast Asia. In: Kolbek, J., M. Srutek and E.O. Box (eds.), Forest vegetation of northeast Asia, pp. 51-91. Kluwer Academic, Dordrecht, Netherlands. 

  47.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2019) www.rda.go.kr 

  48. Schmelz, D.V. and A.A. Lindsey(1965) Size class of old-growth forests in Indiana. Forest Science 11: 258-264. 

  49. Son, Y.W., C.D. Koo, C.S. Kim, P.S. Park, C.W. Yun and K.H. Lee(2016) Forest Ecology. Hyangmunsa, Seoul, 346pp. (in Korean) 

  50.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1999) Geology of Korea. Sigmapress, Seoul, 802pp. (in Korean) 

  51. Willis, J.C.(1973) A dictionary of the flowering plants and ferns. 8th eds. Cambridge, London. 

  52. Yim, Y.J. and S.D. Baik(1985) The vegetation of Mt. Seolag. Chung-Ang University Press, Seoul, 199pp. (in Korean) 

  53. Yim, Y.J.(1977) Distribution of forest vegetation and climate in the Korean peninsula, IV. Zonal distribution of forest vegetation in relation to thermal climate. Jap. J. Ecol. 27: 269-27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