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들기름 에멀젼의 산화안정성 및 산화방지제에 대한 클로로필 첨가 및 빛의 영향
Effects of Chlorophyll Addition and Light on the Oxidative Stability and Antioxidant Changes of Perilla Oil Emulsion 원문보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29 no.1, 2013년, pp.53 - 62  

최지수 (인하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최은옥 (인하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Lipid oxidation and antioxidants changes in perilla oil emulsion added with chlorophyll were studied during storage in the dark or under 1,700 lux light at $25^{\circ}C$ for 48 h. The emulsion was consisted of perilla oil (33.12 g), 5% acetic acid (66.23 g), egg yolk powder (0.5 g), and x...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들기름을 활용한 샐러드드레싱의 유지 산화는 들기름의 유용한 성분인 리놀렌산은 물론 이와 관련한 토코페롤 등 유용 산화방지제의 손실과 산패취 등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빛에 의한 들기름을 활용한 샐러드드레싱의 유지 산화를 평가하고 다른 유용 산화 방지 성분의 변화를 모니터링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들기름을 활용한 샐러드드레싱의 모델시스템으로 들기름 에멀젼을 만들고 대표적 채소에 존재하는 색소인 클로로필을 첨가하여 빛을 차단하거나 또는 빛의 존재에서 저장하여 유지 산화 정도를 평가하고 유용한 미량성분들의 함량 변화를 측정하여 들기름을 활용한 샐러드 드레싱의 품질 개선에 유용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물속에 기름이 인지질과 같은 유화제에 의해 안정된 에멀젼 식품인 샐러드드레싱의 유지 산화에서 광산화가 중요한 기전으로 작용하는 이유는? 그러나 물과 기름이 혼합된 에멀젼에서의 가공 및 저장 중 유지 산화에는 중성지방질이 95% 이상을 차지하는 콩기름, 해바라기씨 기름 등의 식용유에서의 산화와는 다른 요인들이 작용할 수 있으며 특히 계면현상이 중요한 인자가 될 수 있다(Frankel EN 등 1994). 또한 대부분의 샐러드드레싱은 소비자의 관심을 끌기 위해 투명한 용기에 담겨져 빛에 노출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샐러드드레싱의 유지 산화에서는 자동산화뿐만 아니라 광산화도 중요한 기전으로 작용한다(An S 등 2011). 특히 샐러드 드레싱에 바람직한 색 및 향 등 텍스쳐를 제공하기 위해 첨가하는 채소 및 과일 등에서 유래한 클로로필, 리보플라빈 등의 색소 성분들은 빛 존재에서 감광체로 작용하여 공기 중의 삼중항산소로부터 반응성이 매우 높은 일중항산소를 생성하여 샐러드드레싱의 유지 산화를 더욱 촉진할 수 있다(Min DB와 Boff JM 2002).
리놀렌산은 어떤 효능을 갖는가? japonica Hara)는 31-51% 정도로 지방질을 함유하고 있어 유지종자로 국내에서 널리 이용되어왔다(Hwang H와 Choe E 2011). 들깨를 압착하여 얻은 들기름은 불포화지방산 함량이 90% 이상으로, 특히 n-3 계열의 α-리놀렌산이 식물성 기름 중에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는데(Yu KM과 Choi HS 1998), 리놀렌산은 고혈압, 알레르기성 질환 등의 성인병을 일으키는 eicosanoid의 합성을 억제하고 신경장해나 피부질환을 억제하며 항암효과도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Sheo HJ 등 1991). 또한 들기름은 생체 내 여러 생리활성을 증진시키는 스테롤, 모노테르펜류, 폴리페놀 등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생리학적, 영양학적으로 우수한 유지라할 수 있다(Nagatsu A 등 1995).
들기름을 생리학적, 영양학적으로 우수한 유지라고 할 수 있는 이유는? 들깨를 압착하여 얻은 들기름은 불포화지방산 함량이 90% 이상으로, 특히 n-3 계열의 α-리놀렌산이 식물성 기름 중에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는데(Yu KM과 Choi HS 1998), 리놀렌산은 고혈압, 알레르기성 질환 등의 성인병을 일으키는 eicosanoid의 합성을 억제하고 신경장해나 피부질환을 억제하며 항암효과도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Sheo HJ 등 1991). 또한 들기름은 생체 내 여러 생리활성을 증진시키는 스테롤, 모노테르펜류, 폴리페놀 등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생리학적, 영양학적으로 우수한 유지라할 수 있다(Nagatsu A 등 199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n S, Choe E 2011a. Effects of unrefined vegetable oil addition on the flavor acceptability and oil oxidation of tuna oil enriched emulsion under singlet oxygen, Food Sci and Biotechnol 2: 743-750 

  2. An S, Choe E. 2011b. Effects of adding unrefined oil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a tuna oil-enriched emulsion, Korean J Food Cookery Sci 27: 39-49 

  3. An S, Lee E, Choe E. 2011. Effects of solubility of sensitizer and pH on the photooxidation of oil in tuna-oil-added acidic O/W emulsions. Food Chem 128: 358-363 

  4. Choe E, Min DB. 2005. Chemistry and reactions of reactive oxygen species in foods. Journal of food science 70: R142-R159 

  5. Choe E, Min DB. 2006. Mechanisms and factors for edible oil oxidation. Comp Rev Food Sci Food Safety 5: 169-186 

  6. Choe E, Min DB. 2009. Mechanisms of antioxidants in the oxidation of foods. Comp Rev Food Sci Food Safety 8: 345-358 

  7. Frankel EN, Huang SW, Kanner J, German JB. 1994. Interfacial phenomena in the evalution of antioxidats: Bulk oils vs emulsions. J Agric Food Chem 42: 1054-1059 

  8. Hwang H, Choe E. 2011. Effects of seed germination on oil oxidation and tocopherol stability of perilla oil. Korean J Food Sci Technol 43: 255-262 

  9. Jung MY, Min DB. 1990. Effects of ${\alpha}$ -, ${\gamma}$ -, and ${\delta}$ -tocopherols on oxidative stability of soybean oil. J Food Sci 55: 1464-1465 Kim N, Choe E. 2012. Effects of monoacylglycerols on the oil oxidation of acidic water/Perilla oil emulsion under light in the presence of chlorophyll. Food Sci Biotechnol 21(1): 183-189 

  10. Lea CH. Ward RJ. 1959. Relative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seven tocopherols. J Sci Food Agric 10: 537-548 

  11. Lee Y, Choe E. 2008. Singlet oxygen quenching effects of phosphatidylcholine in emulsion containing sunflower oil. J Food Sci 73: C506-C511 

  12. Min DB, Boff JM. 2002. lipid oxidation of edible oil. pp. 335-363. In: Food lipids. 2nd ed. Akoh CC, Min DB. CRC Press. New York, USA 

  13. Nagatsu A, Tenmaru K, Matsuura H, Murakami N, Kobayashi T, Okuyama H, Sakakibara J. 1995. Novel antioxidants from roasted perilla seed. Chem Pharm bull 43: 887-891 

  14. Redfearn ER, Friend J. 1962. Studies on plastoquinone-1. Determination of the concentration and oxidation-reduction state of plastoquinone in isolated chloroplasts. Phytochemistry 1: 147-151 

  15. Reische DW, Lillard DA, Eitenmiler RR. 2002. Antioxidants. pp. 489-516. In: Food lipids. 2nd ed. Akoh CC, Min DB. CRC Press. New York, USA 

  16. Rontani JF, Rabourdin A, Marchand D, Aubert C. 2003. Photochemical oxidation and autoxidation of chlorophyll phytyl side chain in senescent phytoplanktonic cells: Potential sources of several acyclic isoprenoid compounds in the marine environment. Lipids 38: 241-254 

  17. Sheo HJ, Kim SH, Jung DL. 1991. The effect of the unsaturated oil on the normal liver and lipid metabolism of rats fed several plant oils. J Korean Soc Food Nutr 20: 426-432 

  18. Wang S, Hwang H, Yoon S, Choe E. 2010. Temperature dependence of autoxidation of perilla oil and tocopherol degradation. J Food Sci 75: C498-C505 

  19. Yanishlieva NV, Kamal-Eldin A, Marinova EM, Toneva AG. 2002. Kinetics of antioxidant action of ${\alpha}$ - and ${\gamma}$ -tocopherols in sunflower and soybean triacylglycerols. Eur J Lipid Sci Technol 104: 262-270 

  20. Yu KM, Choi HS. 1998. Nutritional characteristics and industrial application of perilla oil. Food Indus Nutr 3: 30-3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