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회연결망법을 이용한 과학영재들의 의사소통 구조 분석
A Communication Structure of Science Gifted Students Based on the Social Network Analysis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34 no.1, 2013년, pp.81 - 92  

정덕호 (전북대학교 과학교육학부) ,  유대영 (전북대학교 과학교육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소집단 활동에서 과학영재들의 의사소통 구조를 찾아보고, 이들의 의사소통 유형과 성취 수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과학영재들을 대상으로 5명을 한 단위로 하는 8개 소집단을 구성하고, 이들에게 지구의 밀도 구하기라는 주제로 토론식 수업을 적용하였다. Pajek과 UCINET 6.0을 활용하여 과학영재들의 대화로부터 의사소통 구조와 성취 수준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상호작용 분산 정도에 따라 과학영재들의 의사소통 유형을 독점형과 공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그리고 상호작용 밀도와 집중도에 따라 과학영재들의 의사소통 유형을 $D_H{\cdot}N_H$형, $D_H{\cdot}N_L$형, $D_L{\cdot}N_H$형, $D_L{\cdot}N_L$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과학영재들의 소집단 활동에서 문제 해결 성취 수준은 구성원 간 상호작용의 분산이 아니라 상호작용의 밀도와 연결망 집중도의 차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교사들은 소집단 활동을 활용하여 학생들을 지도할 때 문제 해결에 관련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도록 지도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mmunication structures that science gifted students used in small group activities,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styles and their achievement level. Eight small groups,5 members in each, participated in small group activiti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량적이고 가시적인 사회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통하여 과학영재들의 소집단 활동에서 나타나는 의사소통 구조에 대한 유형을 찾아보고, 이들의 의사소통 네트워크와 학생들의 문제해결과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구체적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소집단 활동에서 과학영재들의 대화를 사회네트워크 분석법으로 도식화하고 정량화함으로써 의사소통 구조와 의사소통 유형에 따른 성취 수준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과학영재들 상호간에 활발한 의사소통을 유도할 필요가 있다.

가설 설정

  • A: 이걸 이거 저울 재가지고.
  • B: 맨틀이 필요하지 않은 이유는 이거 아냐? 일단 핵일 때는 밀도가 높고, 지각일 때 밀도가 낮으니까 맨틀의 평균밀도로 계산하고 하라는 거 아냐? 그런 얘기 아냐?
  • B: 아까 맨틀이 왜 여기 있냐고 얘기했잖아. 아까.
  • C: 물이 얼마나 돼.
  • D: 아 그냥 다 합쳐 가지고.
  • E: 지, 지금 거기가 아냐.
  • E: 지금 거기 안 하고 있거든.
  • E: 화강암을 맨틀로 적을래?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09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목적은 무엇인가? 2009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은 관찰, 실험, 조사, 토론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하여 과학적 탐구방법과 과정을 이해하게 하여, 이를 바탕으로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과 시민 사회에서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위한 과학적 사고력의 증진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교수학습 방법에서는 학생들로 하여금 의사소통 능력을 함양하여 자신의 의견을 명확히 표현하고 다른 사람의 의견을 존중하는 태도를 가지도록 소집단 학습을 강조하고 있다(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1).
소집단 기법을 과학수업에 도입할 경우 기대되는 효과는? 그리고 교수학습 방법에서는 학생들로 하여금 의사소통 능력을 함양하여 자신의 의견을 명확히 표현하고 다른 사람의 의견을 존중하는 태도를 가지도록 소집단 학습을 강조하고 있다(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1). 소집단 기법을 과학수업에 도입하면 학생들은 다른 학생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새로운 지식을 공유하고, 내면화 과정을 통해 집단 공동의 지식을 개인의 것으로 학습하게 된다(Linn and Burbules, 1993; Cohen, 1994; Qin et al., 1995; Bennett et al.
2009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교수학습 방법에서는 무엇을 강조하는가? 2009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은 관찰, 실험, 조사, 토론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하여 과학적 탐구방법과 과정을 이해하게 하여, 이를 바탕으로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과 시민 사회에서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위한 과학적 사고력의 증진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교수학습 방법에서는 학생들로 하여금 의사소통 능력을 함양하여 자신의 의견을 명확히 표현하고 다른 사람의 의견을 존중하는 태도를 가지도록 소집단 학습을 강조하고 있다(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1). 소집단 기법을 과학수업에 도입하면 학생들은 다른 학생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새로운 지식을 공유하고, 내면화 과정을 통해 집단 공동의 지식을 개인의 것으로 학습하게 된다(Linn and Burbules, 1993; Cohen, 1994; Qi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Bavelas, A., 1950, Communication patterns in task-oriented groups. Journal of Psycholinguistic, 22, 725-730. 

  2. Benito, Y., 2000, Metacognitive ability and cognitive strategies to solve maths and transformation problems. Gifted Education International, 14, 151-159. 

  3. Bennett, J., Hogrth, S., Lubben, F., Cambell, B., and Robinson, A., 2010, Talking science: The reseach evidence on the use of small group discussions in science teaching.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2, 69-95. 

  4. Bowers, C.A., Pharmer, J.A., and Salas, E., 2000, When member homogeneity is needed in work teams: A meta-analysis. Small Group Research, 31, 305-327. 

  5. Cater, G. and Jones, M.G., 1994, Relationship between ability paired interactions and development of fifth grader's concepts of bala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1, 847-856. 

  6. Chang, D.J., 2000, Classroom networks and study performance. Journal of Social Studies Education, 4, 161-185. (in Korean) 

  7. Chung, M.H. and Oh, H.S., 2007, Human capital, social capital, and work group performance. Korean Journal of Management, 15, 91-122. (in Korean) 

  8. Chung, Y.L. and Son, D.H., 2000, Effects of cooperative learning strategy on achievement and science learning attitudes in middle school biolog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0, 611-623. (in Korean) 

  9. Cohen, E.G., 1994, Restructuring the classroom: Conditions for productive small groups.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4, 1-35. 

  10. Davidson, J.E. and Sternberg, R.J., 1984, The role of insight in intellectual giftedness. Gifted Child Quarterly, 28, 58-64. 

  11. Hammer, D., 1996, Misconceptions or p-prims: How may alternative perspectives of cognitive structure influence instructional perceptions and intentions. The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s, 5, 97-127. 

  12. Han, J.Y., Han, S.J., and Noh, T.H., 2002, The effect of grouping by students' agreeableness in cooperative learnin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2, 717-724. (in Korean) 

  13. Huyn, Y.S., 2010, An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among social networks, knowledge sharing and learning transfer in community of practices. Journal of Korean HRD Research, 5, 39-59. (in Korean) 

  14. Jeon, K.M., Yeo, K.H., and Noh, T.H., 2000, The relationships between verbal behaviors and chemistry problem solving ability in cooperative learnin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0, 234-243. (in Korean) 

  15. Jeon, K.M., Kang, H.S., and Noh, T.H., 2003, The effect of grouping by extraversion and introversion in paired think-aloud problem solving using problem-solving strateg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3, 57-65. (in Korean) 

  16. Jeong, H.C., Park, Y.S., and Hwang, D.J., 2008, Analyzing perceptions of small group inquiry activity in the gifted education of Korea.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9, 151-162. (in Korean) 

  17. Jhun, Y.S. and Hwang, H.J., 2010, Analysis on student-tostudent verbal interaction during small group open inquiry activities. The Journal of Korea Elementary Education, 21, 227-246. (in Korean) 

  18. Kim, K.J. and Chung, B.K., 2008, A study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information system characteristic between social capital and knowledge sharing.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Research, 15, 1-18. (in Korean) 

  19. Kim, S.J., Kim, K.H., Park, J.S., and Park, J.W., 2007, A case study on social interaction according to gendergroupin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7, 559-569. (in Korean) 

  20. Kim, Y.H., 2011, Social network analysis. Pakyoungsa, Seoul, Korea, 281 p .(in Korean) 

  21. Leavitt, H.J., 1951, Some effects of certain communication patterns on group performance. Journal of Abnormal and Social Psychology, 46, 38-50. 

  22. Lee, J.Y. and Kim, H.B., 2002, The effects of different grouping of cooperative learning on middle school students' scientific achievement, attitude to science class, perception of classroom learning environment and self-efficacy based on students' abilities. The Korean journal of biological education, 30, 353-362. (in Korean) 

  23. Lee, Y.M. and Yoo, J.M., 2003, Effect of gender grouping on cooperative learning in middle school science.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4, 141-149. (in Korean) 

  24. Lee, S.Y., Kim, C.J., Choe, S.U., Yoo, J.H., Park, H.J., Kang, E.H., and Kim, H.B., 2012, Exploring the patterns of group model development about blood flow in the heart and reasoning process by small group interac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2, 805-822. (in Korean) 

  25. Lim, C.I., Yoon, S.K., and Yeon, E.K., 2007, A study of group size for learners' active online discussions.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3, 89-118. (in Korean) 

  26. Lim, H.J. and Noh, T.H., 2001, Verbal interactions in heterogeneous small-group cooperative learnin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1, 668-676. (in Korean) 

  27. Linn, M.C. and Burbules, N.C., 1993, Construction of knowledge and group learning. In Tobin, K. (eds.), The practice of constructivism in science education, AAAs Press, Washington DC, USA, 91 p. 

  28.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1, Science Curriculum. Notification No. 2011-361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 p. (in Korean) 

  29. Noh, T.H., Cha, J.H., Jeon, K.M., Jeong, T.H., Han, J.Y., and Choi, Y.N., 1999, The effect of grouping method in cooperative learning strategy applied to concept learnin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19, 400-408. (in Korean) 

  30. Noh, T.H., Seo, I.H., Han, J.Y., Jeon, K.M., and Cha, J.H., 2000, The effect of grouping by students' communication apprehension in cooperative learnin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0, 174-182. (in Korean) 

  31. Park, B.L. and Kim, B.K., 2002, The effects of small grouping methods on science process skills in middle school students' science laboratory classes. Chungram Science Education Research, 12, 1-15. (in Korean) 

  32. Peterson, P.L., Janicki, T.C., and Swing, S.R., 1981, Ability-treatment interaction effects on children's learning in large-group and small-group approaches.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18, 453-473. 

  33. Qin, Z., Johnson, D.W., and Johnson, R.T., 1995, Cooperative versus competitive efforts and problem solving.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5, 129-143. 

  34. Rogers, R., 1984, Do the gifted think and learn differently? Airview of recent research and its implications of instruction. Journal for the Education of the Gifted, 10, 17-39. 

  35. Slavin, R.E., 1996, Research on cooperative learning and achievement: What we need to know.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21, 43-69. 

  36. Yoon, C.H., 2003, The effect of peer interaction on children's reasoning.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7, 289-31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