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산균발효마늘의 유기황화합물과 CYP2E1-Transfected HepG2 Cell에서 알코올 유발 세포독성에 미치는 영향
Organosulfur Compounds in Fermented Garlic Extracts and the Effects on Alcohol Induced Cytotoxicity in CYP2E1-Transfected HepG2 Cell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2 no.3, 2013년, pp.342 - 347  

정은봉 ((주)바이오랜드 생명공학연구소) ,  최지휘 ((주)바이오랜드 생명공학연구소) ,  유희종 ((주)바이오랜드 생명공학연구소) ,  김기호 ((주)바이오랜드 생명공학연구소) ,  이성구 ((주)바이오랜드 생명공학연구소) ,  황용일 (경남대학교 식품생명학과) ,  이승현 ((주)바이오랜드 생명공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마늘에 적용가능 한 유산균을 찾기 위해 마늘 이외의 배지 성분 없이 각각의 유산균을 배양하고 유산균발효마늘 추출물을 제조하여 각각의 추출물의 유기황화합물을 분석하고 항산화효과 및 알코올 유발 세포독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마늘멸균액을 배지로 유산균을 48시간 배양하였을 때 L. plantarum이 가장 잘 자랐으며 유산균발효마늘 추출물 중 항산화활성 등의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SAC 함량은 L. plantarum의 발효물과 P. pentosaceus의 발효물이 각각 3.619 mg/g과 3.234 mg/g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그리고 SAC, SEC, SMC의 경우 유산균발효 마늘 추출물들이 마늘 추출물에 비해 높았으나 alliin의 경우 유산균발효마늘 추출물들이 마늘 추출물에 비하여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또한 cycloalliin의 경우 마늘 추출물과 유산균발효마늘 추출물들 간의 함량 차이는 없었다(p<0.05). 모든 유산균발효마늘 추출물이 농도 의존적으로 항산화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L. plantarum의 발효물과 P. pentosaceus의 발효물이 5.0 mg/g의 농도에서 90% 이상의 높은 전자공여능을 효과를 나타냈다. 유산균발효마늘 추출물들이 $100{\mu}g/mL$의 농도까지 CYP2E1 transfected HepG2 세포주에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각각의 유산균발효 마늘 추출물을 알코올에 의해 손상된 CYP2E1 transfected HepG2 세포의 보호효과를 확인한 결과 에탄올과 시료를 6일간 처리한 경우에 FGPP와 FGLP가 각각 92.60%와 92.23%로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세포생존율을 보였다(p<0.05).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changes in the organosulfur compounds of garlic (by fermentation with lactic acid bacteria) and the effects of these fermented garlic extracts on alcohol-induced cytotoxicity in CYP2E1-transfected HepG2 cells. Lactobacillus plantarum has the highest growth rate in a g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숙성마늘의 다양한 효과가 연구되어 왔으나 자가 숙성할 경우 20~30일로 숙성기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숙성 흑마늘이 갖고 있는 기호성을 증진시키면서 제조공정을 단축시키고자 다양한 유산균을 이용하여 발효마늘을 제조하고 유효 생리활성 성분의 함량의 변화량을 유산균 균주별로 비교 측정하였다. 또한 유산균발효마늘이 CYP2E1 매개로 일어난 알코올성 간손상에 대해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CYP2E1-transfected HepG2 세포에 에탄올과 발효마늘 추출물을 투여하고 세포활성을 측정하여 발효마늘의 알코올성 간손상에 대한 보효효과를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만성적인 알코올 섭취 시 유도되는 간손상의 중요 인자는 무엇인가? 간 손상으로 인한 간장해에 대하여 다양한 치료약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결정적으로 유효한 약물은 별로 없으며,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동아시아 지역에서는 천연물을 기원으로 하는 한약재를 조합한 한방제가 경험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2). 근래 만성적인 알코올 섭취 시 유도되는 CYP2E1 효소 활성이 간손상의 중요 인자로 주목받고 있으며 실험적으로 CYP2E1의 유도가 감소됨으로써 간 손상의 정도가 감소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3). 백합과(Liliaceae)의 파속(Allium)에 속하는 마늘(Allium sativum L.
생마늘보다 우수한 숙성마늘의 영양학적 특징 및 효능은? 이처럼 마늘에 기인하는 맛과 향을 억제하기 위해 고온숙성 혹은 열처리를 하게 되는데 이는 열에 의해 효소 활성도가 떨어져 allicin이 감소되어 마늘 특유의 독특한 맛과 향은 부드러워지며 단맛이 강해진다 (4-7). 또한 폴리페놀류의 함량이 증가하며, 생마늘에는 존재하지 않은 S-allyl cystein(SAC)이라는 수용성의 유황아미노산이 생성되어 생마늘보다 항산화력이 상승하고, 암예방, 콜레스테롤 저하, 동맥경화 개선, 심장질환의 예방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8-10). 숙성마늘의 다양한 효과가 연구되어 왔으나 자가 숙성할 경우 20~30일로 숙성기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만성적인 에탄올 섭취로 발병될 수 있는 간질환은? 간은 인체에서 가장 큰 장기이며, 소화 및 배설 기능, 영양소 저장, 새로운 물질 합성, 해로운 화학물질을 해독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간은 혈액의 흐름이 매우 풍부한 기관으로 혈류를 통한 독성물질의 침투도 용이하게 일어날 수 있다. 또한 만성적인 에탄올 섭취의 경우에도 간세포에 장애를 초래하여 알코올성 간염, 지방간 및 간 경변을 초래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 이러한 간질환은 한국인에 있어서 암, 당뇨병과 함께 가장 발생빈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고 있고, 간암에 의한 사망률은 세계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Lieber CS. 1994. Alcohol and the liver. Gastroenterology 106: 1085-1105. 

  2. Lee KW, Nam BH, Jo WS, Oh SJ, Kang EY, Cui Y, Lee JY, Chenon SC, Jeong MH, Lee JD. 2006. Collection, identification and hepatic effect of native Cordyceps militaris. Korean J Mycol 34: 7-14. 

  3. Fang C, Lindros KO, Badger TM, Ronis MJ, Ingelman- Sundberg M. 1998. Zonated expression of cytokines in rat liver: effect of chronic ethanol and the cytochrome P450 2E1 inhibitor, chlormethiazole. Hepatology 27: 1304-1310. 

  4. Cho KJ, Cha JY, Yim JH, Kim JH. 2011. Effects of aging temperature and time on the conversion of garlic (Allium sativum L.) compone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84-88. 

  5. Lawson LD, Wang ZJ. 2005. Allicin and allicin-derived garlic compounds increase breath acetone through allyl methyl sulfide: use in measuring allicin bioavailability. J Agric Food Chem 53: 1974-1983. 

  6. Choi YH, Shim YS, Kim CT, Lee C, Chin DB. 2007. Characteristics of thiosulfinates and volatile sulfur compounds from blanched garlic reacted with alliinase.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600-607. 

  7. Jang EK, Seo JH, Lee SP. 2008. Physiological activity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aged black garlic (Allium sativum L.) extract.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443-448. 

  8. Canizares P, Gracia I, Gomez LA, Garcia A, Martin De Argila C, Boixeda D, de Rafael L. 2004. Thermal degradation of allicin in garlic extracts and its implication on the inhibition of the in-vitro growth of Helicobacter pylori . Biotechnol Prog 20: 32-37. 

  9. Yang ST. 2007. Antioxidative activity of extracts of aged black garlic on oxidation of human low density lipoprotein. J Life Sci 17: 1330-1335. 

  10. Rahman MS. 2007. Allicin and other functional active components in garlic: health benefits and bioavailability. Int J Food Prop 10: 245-268. 

  11. Ichikawa M, Ide N, Yoshida J, Yamaguchi H, Ono K. 2006. Determination of seven organosulfur compounds in garlic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J Agric Food Chem 54: 1535-1540. 

  12. Ilic D, Nikolic V, Stankovic M, Nikolic L, Stanojevic L, Mladenovic-Ranisavljevic I, Smelcerovic A. 2012. Transformation of synthetic allicin: influence of ultrasound, microwaves, different solvents and temperatures, and the products isolation. Scientific World Journal doi: 10.1100/2012/561823. 

  13.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14. Mosmann T. 1983. Rapid colorimetric assay for cellular growth and survival: application to proliferation and cytotoxicity assays. J Immunol Methods 65: 55-63. 

  15. Lee YH, Ho JN, Dong MS, Park CH, Kim HK, Hong BS, Shin DH, Ch HY. 2005. Transfected HepG2 cells for evaluation of catechin effects on alcohol-induced CYP2E1 cytotoxicity. J Microbiol Biotechnol 15: 1310-1316. 

  16. Feldberg RS, Chang SC, Kotik AN, Nadler M, Neuwirth Z, Sundstrom DC, Thompson NH. 1998. In vitro mechanism of inhibition of bacterial cell growth by allicin. Antimicrob Agents Chemother 32: 1763-1768. 

  17. Cavallito CJ, Bailey JH. 1944. Allicin, the antibacterial principle of Allium sativum. I. Isolation, physical properties, and antimicrobial action. J Am Chem Soc 66: 1950-1951. 

  18. Cavallito CJ, Bock JS, Suter CM. 1944. Allicin, the antibacterial principle of Allium sativum. II. Determination of chemical structure. J Am Chem Soc 66: 1952-1954. 

  19. Kim YS, Baek HH, Chung IM, Kwon B, Ji GE. 2009. Garlic fermentation by lactic acid bacteria. Food Sci Biotechnol 18: 1279-1283. 

  20. Sheela CG, Kumud K, Augusti KT. 1995. Anti-diabetic effects of onion and garlic sulfoxide amino acids in rats. Planta Med 61: 356-357. 

  21. Hatono S, Jimenez A, Wargovich MJ. 1996. Chemopreventive effect of S-allylcysteine and its relationship to the detoxification enzyme glutathione S-transferase. Carcinogensis 17: 1041-1044. 

  22. Ueda Y, Tsubuku T, Miyajima R. 1994. Composition of sulfur- containing components in onion and their flavor characters. Biosci Biotechnol Biochem 58: 108-110. 

  23. Yanagita T, Han SY, Wang YM, Tsuruta Y, Anno T. 2003. Cycloalliin, a cyclic sulfur imino acid, reduces serum triacylglycerol in rats. Nutrition 19: 140-143. 

  24. Amagase H, Petesch BL, Matsuura H, Kasuga S, Itakura Y. 2001. Intake of garlic and its bioactive components. J Nutr 131(3s): 955s-962s. 

  25. Ide N, Lau BH, Ryu K, Matsuura H, Itakura Y. 1999. Antioxidant effects of fructosyl arginine, a Maillard reaction product in aged garlic extract. J Nutr Biochem 10: 372-376. 

  26. Kurose I, Higuchi H, Miura S, Saito H, Watanabe N, Hokari R, Hirokawa M, Takaishi M, Zeki S, Nakamura T, Ebinuma H, Kato S, Ishii H. 1997. Oxidative stress-mediated apoptosis of hepatocytes exposed to acute ethanol intoxication. Hepatology 25: 358-378. 

  27. Wu D, Cederbaum Al. 1996. Ethanol cytotoxicity to a transfected HepG2 cell line expressing human cytochrome P4502E1. J Biol Chem 271: 23914-2391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