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를 통하여 TPA로 유도한 마우스 귀 부종 염증반응에 대한 소목추출물의 항염증 효능과 기전을 확인하였다. 소목추출물은 TPA로 유도한 마우스 귀 부종을 억제하였으며, TPA에 의한 염증관련 단백질인 COX-2 발현 및 cytokine(IL-6, TNF-${\alpha}$ 그리고 IL-$1{\beta}$)의 mRNA 발현을 현저히 감소시켰다. 또한 TPA에 의한 NF-${\kappa}B$ 및 MAPK의 활성을 억제하였다. 본 연구 결과, 소목추출물은 NF-${\kappa}B$ 및 MAPK의 신호전달을 억제함으로서 항염증 효능을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extracts from Caesalpinia sappan L. (CSL) on 12-O-tetradecanoylphorbol-13-acetate (TPA)-induced ear edema in mice. Skin inflammation was detected by immunohistochemistry and the protein and mRNA expression levels of cyclooxygenase-2 (COX-2) an...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지금까지 소목추출물의 생리활성에 관한 많은 연구가 보고되었으나, 염증동물모델에서 소목추출물의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목추출물의 항염증 효능과 기전을 TPA로 유도한 마우스 귀 부종 동물모델에서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염증반응이란? 염증반응은 자극에 대한 생체조직의 방어반응의 하나로 다양한 질병의 생리 및 병리학적인 과정에 관여한다. 여러가지 염증매개인자들이 생성되는 염증으로 인하여 발열, 홍반, 부종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소목의 주요성분 중 brazilin은 한방에서 어떤 증상을 위해 사용되었는가? 소목의 주요성분으로 brazilin, campesterol, stigmasterol, hematein, sappanin 등이 밝혀졌으며, 이중 brazilin은 무색의 flavonoid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공기 중에 산화되어 brazilein이 된다(16-18). 한방에서 brazilin은 어혈, 월경통 및 출산 후 다양한 증상에 사용해 왔다(19,20). 지금까지 소목추출물의 생리활성에 관한 많은 연구가 보고되었으나, 염증동물모델에서 소목추출물의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염증반응은 어떤 난치성 질환들의 원인이 되는가? 여러가지 염증매개인자들이 생성되는 염증으로 인하여 발열, 홍반, 부종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또한 지속적인 염증반응은 다양한 난치성 질환들(치매, 심혈관질환, 암, 비만, 관절염, 당뇨병 및 동맥경화증 등)의 원인이 된다고 보고되고 있다(1-6). 생체 내 염증반응을 촉진하는 효소 및 인자들로서 cyclooxygenase-2(COX-2), tumor necrosis factor-α(TNFα), interleukin(IL)-6, IL-1β과 신호전달경로인 nuclear factor kappa-B(NF-κB) 및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MAPK)가 잘 알려져 있으며, 이들은 염증반응뿐 아니라 다양한 난치성질환에서도 관여하기 때문에 이들 효소 및 인자들을 억제하는 물질은 염증성 질환에 대한 항염증제로 개발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7-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Liao JF, Chiou WF, Shen YC, Wang GJ, Chen CF. 2011. Anti-inflammatory and anti-infectious effects of Evodia rutaecarpa (Wuzhuyu) and its major bioactive components. Chin Med 6: 6. 

  2. Medzhitov R. 2008. Origin and physiological roles of inflammation. Nature 454: 428-435. 

  3. Chung HY, Cesari M, Anton S, Marzetti E, Giovannini S, Seo AY, Carter C, Yu BP, Leeuwenburgh C. 2009. Molecular inflammation: underpinnings of aging and age-related diseases. Ageing Res Rev 8: 18-30. 

  4. Sarkar D, Fisher PB. 2006. Molecular mechanisms of aging- associated inflammation. Cancer Lett 236: 13-23. 

  5. Fierro IM, Serhan CN. 2001. Mechanisms in anti-inflammation and resolution: the role of lipoxins and aspirintriggered lipoxins. Braz J Med Biol Res 34: 555-566. 

  6. Yun HJ, Hoe SK, Yi HS, Kim CH, Kim BW, Park SD. 2008. Anti-inflammatory effect of Injinho-tang in RAW 264.7 cells. Kor J Herbology 23: 169-178. 

  7. Matsuda H, Kageura T, Morikawa T, Toguchida I, Harima S, Yoshikawa M. 2000. Effects of stilbene constituents from rhubarb on nitric oxide production in lipopolysaccharideactivated macrophages. Bioorg Med Chem Lett 10: 323-327 

  8. Leem HH, Kim EO, Seo MJ, Choi SW. 2011.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Eugenol and its derivatives from clove (Eugenia caryophyllata Thunb.).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1361-1370. 

  9. Sung MS, Kim YH, Choi YM, Ham HM, Jeong HS, Lee JS. 2011. Anti-inflammatory effect of Erigeron annuus L. flower extract through heme oxygenase-1 induction in RAW264.7 macrophag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1507-1511. 

  10. Cho HJ, Shim JH, So HS, Park JHY. 2012. Mechanism underlying the anti-inflammatory action of piceatannol induced by lipopolysaccharid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1226-1234. 

  11. Back NI, Jeon SG, Ahn EM, Hahn JT, Bahn JH, Jang JS, Cho SW, Park JK, Choi SY. 2000. Anticonvulsant compounds from the wood of Caesalpinia sappan L. Arch Pharm Res 23: 344-348. 

  12. Chiang LC, Chiang W, Liu MC, Lin CC. 2003. In vivo antiviral activities of Caesalpinia pulcherrima and its related flavonoids. J Antimicrob Chemother 52: 194-198. 

  13. Choi SY, Yang KM, Jeon SD, Kim JH, Khil LY, Chang TS, Moon CK. 1997. Brazilin modulates immune function mainly by augmenting T cell activity in halothane administered mice. Planta Med 63: 405-408. 

  14. Kim DS, Back NI, Oh SR, Jung KY, Lee IS, Lee HK. 1997. NMR assignment of brazilein. Phytochemistry 46: 177-178. 

  15. Nguyen MT, Awale S, Tezuka Y, Ueda JY, Tran QI, Kadota S. 2006. Xanthine oxidase inhibitors from the flowers of Chrysanthemum sinense . Planta Med 72: 46-51. 

  16. Zhao H, Bai H, Wang Y, Li W, Koike K. 2008. A new homoisoflavan from Caesalpinia sappan. J Nat Med 62: 325-327. 

  17. de Oliveira LFC, Edwards HGM, Velozo ES, Nesbitt M. 2002. Vibrational spectroscopic study of brazilin and brazilein, the main constituents of brazilwood from Brazil. Vib Spectrosc 28: 243-249. 

  18. Kwon HJ, Kim YH, Nam KW, Kim SK, Bang IS, Han MD. 2010. Antibacterial activities of Caesalpinia sappan L. extract and structural analysis of its related brazilin. Kor J Microbiol Biotechnol 38: 105-111. 

  19. Shin DW. 2003. Screening and using of antioxidative effect and antimicrobial activity from plant. Food Science and Industry 36(3): 81-89. 

  20. Xie YW, Ming DS, Xu HX, Dong H, But PP. 2000. Vasorelaxing effects of Caesalpinia sappan involvement of endogenous nitric oxide. Life Sci 67: 1913-1918. 

  21. Park YH, Kim HY, Lim SH, Kim KH, Park DS, Lee JH, Park CG, Park CB, Kim S. 2011. Effect of Aceriphyllum rossii ethanol extract on lipid metabolism in rats fed a high-fat diet.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1411-1416. 

  22. Stanley PL, Steiner S, Havens M, Tramposch KM. 1991. Mouse skin inflammation induced by multiple topical applications of 12-O-tetradecanoylphorbol-13-acetate. Skin Pharmacol 4: 262-271. 

  23. Kim SY, Jeong HJ, Kim DW, Kim MJ, An JJ, Sohn EJ, Kang HW, Shin MJ, Ahn EH, Kwon SW, Kim DS, Cho SW, Park J, Eum WS, Choi SY. 2011. Transduced PEP-1-FK506BP inhibits the inflammatory response in the Raw 264.7 cell and mouse models. Immunobiology 216: 771-781. 

  24. Lee SH, Kim DW, Eom SA, Jun SY, Park M, Kim DS, Kwon HJ, Kwon HY, Han KH, Park J, Hwang HS, Eum WS, Choi SY. 2012. Suppression of 12-O-tetradecanoylphorbol- 13-acetate (TPA)-induced skin inflammation in mice by transduced Tat-Annexin protein. BMB Rep 45: 354-359. 

  25. Crofford LJ. 1997. COX-1 and COX-2 tissue expression: implications and predictions. J Rheumatol Suppl 49: 15-19. 

  26. Chun KS, Surh YJ. 2004. Signal transduction pathways regulating cyclooxygenase-2 expression: potential molecular targets for chemoprevention. Biochem Pharmacol 15: 1089-1100. 

  27. De Vry CG, Valdez M, Lazarov M, Muhr E, Buelow R, Fong T, Iyer S. 2005. Topical application of a novel immunomodulatory peptide, RDP58, reduces skin inflammation in the phorbol ester-induced dermatitis model. J Invest Dermatol 125: 473-481. 

  28. Murakawa M, Yamaoka K, Tanaka Y, Fukuda Y. 2006. Involvement of tumor necrosis factor (TNF)- ${\alpha}$ in phorbol ester 12-O-tetradecanoylphorbol-13-acetate (TPA)-induced skin edema in mice. Biochem Pharmacol 71: 1331-1336. 

  29. Ghosh S, Hayden MS. 2008. New regulators of NF- ${\kappa}B$ in inflammation. Nat Rev Immunol 8: 837-848. 

  30. Majdalawieh A, Ro HS. 2010. Regulation of $I{\kappa}B{\alpha}$ function and NF- ${\kappa}B$ signaling: AEBP1 is a novel proinflammatory mediator in macrophages. Mediators Inflamm 2010: 823821. 

  31. Hawiger J. 2001. Innate immunity and inflammation: a transcriptional paradigm. Immunol Res 23: 99-109. 

  32. Nam NH. 2006. Naturally occurring NF- ${\kappa}B$ inhibitors. Mini Rev Med Chem 6: 945-951. 

  33. Lee HN, Kim JK, Kwon GT, Shim JH, Kim JD, Park JHY. 2012. Anti-inflammatory effects of ethanol extract from bark of Acer barbinerve Maxim.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1242-1247. 

  34. Ho YS, Lai CS, Liu HI, Ho SY, Tai C, Pan MH, Wang YJ. 2007. Dihydrolipoic acid inhibits skin tumor promotion through anti-inflammation and anti-oxidation. Biochem Pharmacol 73: 1786-1795. 

  35. Song HY, Lee JA, Ju SM, Yoo KY, Won MH, Kwon HJ, Eum WS, Jang SH, Choi SY, Park J. 2008. Topical transduction of superoxide dismutase mediated by HIV-1 Tat protein transduction domain ameliorates 12-O-tetradecanoylphorbol- 13-acetate (TPA)-induced inflammation in mice. Biochem Pharmacol 75: 1348-135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