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오리 분변에서의 Campylobacter jejuni 오염도와 항생제 내성유형 조사
Prevalence and antimicrobial resistance patterns of Campylobacter jejuni from duck feces 원문보기

韓國家畜衛生學會誌 = Korean journal of veterinary service, v.36 no.1, 2013년, pp.57 - 60  

김능희 (서울특별시보건환경연구원) ,  채희선 (서울특별시보건환경연구원) ,  강영일 (서울특별시보건환경연구원) ,  신방우 (서울특별시보건환경연구원) ,  최농훈 (건국대학교 수의과대학) ,  김효비 (건국대학교 수의과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and antimicrobial resistance patterns of Campylobacter jejuni isolated from duck feces. In total, 112 (32.9%) isolates of C. jejuni were identified from 430 duck feces samples from September to December, 2010. All isolates were susceptible to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또 최근에는 Park 등(2010)이 국내산과 수입산 쇠고기, 돼지고기 및 닭고기의 Campylobacter균 오염실태를 조사하였다. 따라서 국내 조사는 대부분 계육, 우육 및 돈육에 대한 오염실태조사에 국한되어, 이번 시험에서는 국내에서 소비가 증가하고 있는 오리고기의 Campylobacter균 오염도를 조사하기 위해 오염원으로 추정되고 있는 오리분변을 대상으로 Campylobacter균 분리를 실시하였고, 분리균에 대한 항생제 내성을 조사하여 감염 예방과 항생제 오ㆍ남용으로 인한 2차 피해를 줄이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최근 중요한 식중독 원인균으로 주목받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요? Campylobacter (C.) jejuni는 최근 Salmonella spp., Escherichia coli O157:H7, Listeria monocytogenes와 더불어 공중보건학적으로 중요한 식중독 원인균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Lin 등, 2005).
Campylobacter균에 의한 식중독은 어떤 증상이 일어나나요? , Escherichia coli O157:H7, Listeria monocytogenes와 더불어 공중보건학적으로 중요한 식중독 원인균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Lin 등, 2005). 특히 Salmonella속 균과 함께 미국, 유럽 등 선진국에서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Campylobacter균에 의한 식중독은 급성 위장염을 주증상으로 하며, 주로 C. jejuni와 C.
본 실험에서 오리에게 채취된 시료는 어떤 조건으로 증균 배양하였나요? 채취된 시료는 Campylobacter supplement (OXOID, England)를 첨가한 Campylobacter enrichment broth (OXOID, England) 9 ml에 넣고 48시간 미호기 조건으로 증균 배양하였다(농림수산검역검사본부, 2010). 배양된 균의 분리를 위해 Campylobacter agar base blood free selective supplement (Oxoid, England)와 Campylobacter growth supplement (Oxoid, England)를 첨가한 Campylobacter blood free selective agar (OXOID, England)에 획선 도말하여 42oC에서 48시간 미호기조건으로 배양된 집락에 대하여 균 동정을 실시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농림수산검역검사본부. 2011. 축산물의 가공기준 및 성분규격. 농림수산검역검사본부 고시 제 2011-105호. 

  2. Denis M, Soumet C, Rivoal E, Ermel G, Blivet D, Salvat G, Colon C. 1999. Development of a m-PCR assay for simultaneous identification of Campylobacter jejuni and coli. Letter in App Microbiol 29: 406-410. 

  3. Duffy G, Lynch OA, Caqney C. 2008. Tracking emerging zoonotic pathogens from farm to fork. Meat Science 78: 34-42. 

  4. FDA. 2010. National Antimicrobial Resistance Mornitoring System, http://www.fda.gov/AnimalVeterinary/SafetyHealth/AntimicrobialResistance/NationalAntimicro bialResistanceMornitoringSystem/ucm312356.htm. 

  5. Frederick A, Gulam R, Nurul H, Tristan C, Janet C. 2012. Prevalence, antibiotic resistance and RAPD typing of Campylobacter species isolated from ducks, their rearing and processing environments in Penang, Malaysia. Inter Journ of Food Microbiol 154: 197-205. 

  6. Han KS, Jang SS, Choo EY, Ryu SR. 2007. Prevalence, genetic diversity, and antibiotic resistance patterns of Campylobacter jejuni from retail raw chikens in Korea. Int J Food Microbiol 114: 50-59. 

  7. Kang HJ, Kim YH, Suk JM, Lee SM, Kim JY, Jung SC. 1999. Prevalence and Serovar of Food Poisoning Bacteria in Retail Fresh, Frozen and Packed Meats. J Food Hyg Safety 14: 327-332. 

  8. Lin C-TJ, Jensen KL, Yen ST. 2005. Awarence of food-born pathogens among US consumers. Food Quality and Preference 16: 401-412. 

  9. Oh JS, Shin KS, Yoon YD, Park JM. 1988. Prevalence of Campylobacter jejuni in Broilers and Chicken Processing Plants. 1988. Korean J Food Hygiene 3: 27-36. 

  10. Park HJ, Kim YJ, Kim JH, Song SW, Heo EJ, Kim HJ, Ku BK, Lee SW, Lee JY, Moon JS, Wee SH. 2010. Prevalence of Campylobacter jejuni and Campylobacter coli isolated from domestic and imported meats in Korea, 2005-2009. Korean J Vet Publ Hlth 34: 181-187. 

  11. Schoeni JL, Doyle MP. 1992. Reduction of Campylobacter jejuni colonization of chicks by cecum-colonizing bacteria producing anti-C. jejuni metabolites. Appl Environ Microbiol 58: 644-670. 

  12. Sean FA, Noman JS, Patrica IF, David LS. 1999. Campylobacter jejuni-An emerging foodborn pathogen. Emerging Infec Disease 5: 25-35. 

  13. Wedderkopp A, Rattenborg E, Madsen M. 2000. National surveillance of Campylobacter in broilers at slaughter in Denmark in 1998. Avian Dis 44: 993-99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