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선수의 스포츠 심리기술과 정서에 대한 정서지능의 중요도
Importance of sport emotional intelligence on sports psychological skills and sports emotion among athlete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24 no.2, 2013년, pp.355 - 368  

이미숙 (한국체육대학교 사회체육학과) ,  박철용 (계명대학교 통계학과) ,  남정훈 (한국체육대학교 체육과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선수들의 스포츠 심리기술과 스포츠정서에 대한 스포츠 정서지능의 중요도를 규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SPSS 18.0과 AMOS 18.0을 이용하여 측정 자료의 구성타당도 및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그리고 스포츠 정서지능과 심리기술 및 스포츠 정서의 관계는 AMOS 18.0을 이용한 잠재평균분석을 통해 스포츠 정서지능 수준 별 스포츠 심리기술과 스포츠 정서의 차이를 분석하였고, 공분산구조분석을 통해 이들 요인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스포츠 정서지능 수준 별 스포츠 심리기술과 스포츠 정서의 차이는 스포츠 정서지능 고집단이 저집단에 비해 스포츠 심리기술의 팀조화와 심상 및 의지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스포츠 정서에서는 자부심과 행복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포츠 정서지능과 스포츠 심리기술의 관계에서는 스포츠 정서지능이 스포츠 심리기술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포츠 정서지능과 스포츠 정서의 관계에서는 스포츠 정서지능이 스포츠 정서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스포츠 심리기술과 스포츠 정서의 관계에서는 스포츠 심리기술이 스포츠 정서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relationship among sport emotional intelligence, sports psychological skills and sports emotion of university athletes. To comply with the purpose, the construct validity and the reliability of measured data were verified by using of SPSS 18.0 & AMOS 18.0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이후 진행된 스포츠 분야의 정서지능 연구들은 정서지능이 지도자의 지도능력이나 불안에 대한 정서지능의 역할만을 규명하지 못하고 있으며 나아가 동일한 경기상황에서 선수들의 심리기술 및 정서에 대한 명확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는 Hong과 Park (2002) 및 Lane 등 (2009)이 제시한 후속연구의 필요성에 따라 정서지능과 스포츠 심리기술 및 정서반응에 관한 연구를 바탕으로 이들 요인간의 실증적 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연구의 목적에 따른 결과는 스포츠 분야에서 정서지능의 역할을 규명함은 물론 동일한 상황에서 선수들의 스포츠 심리기술과 정서반응의 차이를 설명하는데 이론적 준거를 제공할 것이다.
  • 본 연구는 최근 스포츠 현장을 중심으로 선수들의 심리적 펜더멘탈로 소개되고 있는 스포츠 정서지능과 선수들의 스포츠 심리기술 및 정서반응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이들 요인간의 관계는 정서지능의 수준에 따른 스포츠 심리기술과 스포츠 정서의 차이와 요인간의 공분산분석을 통해 규명하였다.

가설 설정

  • 스포츠 심리기술은 선수들의 수행력과 부정적 정서의 깊은 상호관련성을 바탕으로 경쟁상황에서 선수들이 경험하는 부정적 정서의 조절과 통제를 목적으로 개념화된 기술이다 (Kim 등, 2001; Kim과 Nam, 2010). 그러므로 경쟁상황에서 선수들은 오로지 부정적 정서만을 경험하고 있음을 암묵적으로 가정한다. 그러나 선수들은 경쟁상황에서 부정적 정서 이외에 긍정적 정서도 경험하고 있으며 부정적 정서와는 반대로 긍정적 정서를 이용하여 수행력을 증진시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Lim과 Kim, 2009).
  •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수들의 정서지능의 수준에 따라 스포츠 심리기술과 스포츠 정서는 차이가 있을 것인가? 둘째, 선수들의 정서지능은 스포츠 심리기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 셋째, 선수들의 정서지능은 스포츠정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 넷째, 선수들의 스포츠 심리기술은 스포츠정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서란? 정서는 주변상황에 대한 구조화된 인지반응으로 개인의 자원을 극대화시키는 매개적 수단이다 (Nowotny, 1981; Thompson, 1994). 스포츠 상황에서 선수들은 일반인들에 비해 다양한 정서를 경험하고 있으며 정서에 대한 고도의 조절 및 통제능력을 요구받고 있다 (Park과 Kim, 2011; Lee와 Yoo, 2011).
스포츠 심리기술의 한계점은? 그러나 스포츠 심리기술은 체력이나 운동기술에 비해 개인의 수준과 훈련성과에 대하여 일관성 있는 기대효과를 요구하기에는 한계가 있는 것이 사실이다 (Han, 2002). 이는 개인의 심리적 팬더멘털의 차이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볼 수 있지만 경기상황에서 선수들이 경험하는 정서의 특성과도 깊은 관련이 있다.
스포츠 상황에서 선수들이 일반인들에 비해 다양한 정서를 경험하고 있으며 정서에 대한 고도의 조절 및 통제능력을 요구받는 이유는? 스포츠 상황에서 선수들은 일반인들에 비해 다양한 정서를 경험하고 있으며 정서에 대한 고도의 조절 및 통제능력을 요구받고 있다 (Park과 Kim, 2011; Lee와 Yoo, 2011). 이는 경기나 훈련에서 경험하는 정서에 대한 선수들의 인지 및 통제능력이 선수자신의 수행력과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이다 (Perlin과 Halverson, 2006). 따라서 선수들은 자신의 수행력을 향상시키기 전략적 방법으로 체력과 운동기술 이외에 정서조절훈련을 실시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Eom, H. J. (2001). Methodological comparisons between principal component and common factor models: Use, misuse, and abuse. The Korean Journal of Measurement and Evaluation and Sport Science, 3, 101-130. 

  2. Fredrickson, B. L. (2002). Positive emotion. In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 edited by C. R. Snyder and S. J. Lopez,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London, 120-134. 

  3. Han, J. H. and Yoo, T. Y. (2005). The effects of leader's emotional intelligence on subordinate's attitude and leader's task performance. Journal of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8, 177-199. 

  4. Han, M. W. (2002). Effects of psychological skills training on a short track skater's competition anxiety, mood states, and performance : An exploring study. Journal of Korean Society Sport and Leisure Studies, 18, 1443-1452. 

  5. Hong, J. H. and Park, H. Y. (2002). The emotion intelligence as antecedent variable of direction of competitive state anxiety. Korean Journal of Sport Science, 13, 133-144. 

  6. Huh, Y. S., Choi, S. Y. and Sohn, W. S. (2012). Testing mediation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in relationship of psychological home environment to leadership life skill for Korean 5-6th graders. The Journal of Child Education, 25, 69-89. 

  7. Kang, O. M. (2011). How are emotions reflected in eastern and western facial emotions? Semiotic Inquiry, 27, 243-267. 

  8. Kang, S. H. (2012). Causal structure analysis among leadership life skills, emotional intelligence, moral intelligence, and prosocial behavior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Journal of Child Education, 21, 129-145. 

  9. Kim, D. J. (2006). Social science : Effect of cognitive rational restructuring program on competitive state anxiety, self-confidence, and performance. Journal of Korea Research, 17, 1077-1084. 

  10. Kim, H. S. (2012). The relationships among mothers' demands for their preschoolers' mature behavior, preschoolers' emotional intelligence, delay of gratification ability, and pro-social behaviors. Journal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18, 159-181. 

  11. Kim, S. M. and Nam, J. H. (2010). The relationship among sensation seeking, vitality and exercise adherence in yacht/boat driver's license examiner. The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49, 167-178. 

  12. Kim, Y. S., Shin, D. S. and Kim, B. H. (2001). Development of a psychological skills training program for coaches and athletes in team sports. Korea Journal of Sport Science, 12, 21-54. 

  13. Lane, A. M., Thelwell, R. C., Lowther, J. and Devonport, T. J. (2009). Emotional intelligence and psychological skills use among athletes. 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 37, 195-202. 

  14. Lee, M. S. and Nam, J. H. (2012). A structural validation of the sport emotional intelligence scale for college athletes. The Korean Journal of Measurement and Evaluation and Sport Science, 14, 33-47. 

  15. Lee, M. S and Park, S. Y. (2011).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skills training program for elite throwers. Korean Journal of Sport Psychology, 22, 77-92. 

  16. Lee, Y. T. and Yoo, J. I. (2011). Study on the yacht player's level of sports psychological skills. Korean Journal of Sport Psychology, 22, 65-76. 

  17. Lim, N. C. and Kim, S. I. (2009). Affect, passion and competition strategy of athletes with physical disability. Korean Journal of Sport Psychology, 20, 111-127. 

  18. Lu, F. J., Li, G., Hsu, E. and Williams, L. (2010). Relationship between athletes' emotional intelligence and precompetitive anxiety. Perceptual and Motor Skills, 110, 323-338. 

  19. Lyons, J. B. and Schneider, T. R. (2005) The influence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performance.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9, 693-703. 

  20. Martens, R. (1987). Science, knowledge and sport psychology. The Sport Psychologist, 1, 29-55. 

  21. Moon, B. R., Lee, B. J. and Kim, D. H. (2009). Verification of validation of sport emotion scale and relationship of sport motivation. Korean Journal of Sport Psychology, 20, 31-46. 

  22. Nowotny, H. (1981) Women in public life in Australia. In Access to Power: Cross-National Studies of Women and Elites, edited by C. F. Epstein and R. L. Coser, Sage, London, 178-192. 

  23. Park, D. S. and Kim, S. (2011). The relationship among basic psychological need, emotional, and intention of exercise adherence of college student athletes. The Journal of Society for the Study of Physical Education, 16, 197-209. 

  24. Park, H. J., Kwon, M. H. and Lee, G. Y. (2012). The effect of applying sport psychological skills training program on performance strategy and group cohesion of high school baseball athletes. Korea Journal of Sport Science, 23, 529-541. 

  25. Perlin, A. H. and Halverson, T. R. (2006). Emotional intelligence in the National Hockey League. Canadian Journal of Behavioral Science, 38, 109-11. 

  26. Salovey, P. and Mayer, J. D. (1990). Emotional intelligence. Imagination, Cognition, & Personality, 9, 185-211. 

  27. Thompson, R. A. (1994). Emotion regulation. Biological and Behavioral Cconsiderations, 59, 25-52. 

  28. Vealey, R. (1988). Future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kills training. The Sport Psychologist, 2, 318-336. 

  29. Yoo, J. and Huh, J. H. (2002).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psychological skill questionnaire in sport.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41, 41-50. 

  30. Zwick, W. R. and Velicer, W. F. (1986). Comparison of five rules for determining the number of components to retain. Psychological Bulletin, 99, 432-44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