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난알부민 유도 알레르기 면역반응에 대한 당삼(黨參)에탄올추출물의 효능 연구 Effects of the ethanol extract of Codonopsis Pilosulae Radix on ovalbumin-induced allergic responses in mice원문보기
Objectives : The root of Codonopsis pilosula (Fr.) Nannf. (Codonopsis Pilosulae Radix) has been traditionally used as a oriental medicine with an anti-thrombotic, antidiabetic, anticancer, and anti-gastric ulcer effects and immunological adjuvant.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70% eth...
Objectives : The root of Codonopsis pilosula (Fr.) Nannf. (Codonopsis Pilosulae Radix) has been traditionally used as a oriental medicine with an anti-thrombotic, antidiabetic, anticancer, and anti-gastric ulcer effects and immunological adjuvant.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70% ethanol extract of Codonopsis Pilosulae Radix (CPR-E) on ovalbumin (OVA)-induced allergic responses in mice. Methods : Mice were sensitized (1, 8, and 15 days) with OVA and airway challenged(22, 24, 26, 28, and 30 days) to induced allergic responses. CPR-E extract at doses of 50 and 100 mg/kg/body weight was orally administered from days 21 to 30 consecutively. The levels of allergic mediators such as histamine, OVA-specific immunoglobulin (Ig) E, and Th1/Th2 cytokines such as IFN-${\gamma}$ and IL-4 were measured in the sera of mice by ELISA. The histological change of lung tissue was observed by hematoxylin and eosin (H&E) staining. Results : CPR-E extract significantly decreased the serum levels of histamine, OVA-specific IgE, and IL-4 compared with those of OVA control group, but significantly increased the serum level of IFN-${\gamma}$. Based on H&E staining, CPR-E extract inhibited the infiltration of inflammatory cells into lung tissues with histological changes. Conclusions :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PR-E extract has anti-inflammatory and anti-allergic responses through regulating the cytokine balance, suggesting that the extract may be useful for the treatment of allergic inflammatory diseases such as bronchial asthma and allergic rhinitis.
Objectives : The root of Codonopsis pilosula (Fr.) Nannf. (Codonopsis Pilosulae Radix) has been traditionally used as a oriental medicine with an anti-thrombotic, antidiabetic, anticancer, and anti-gastric ulcer effects and immunological adjuvant.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70% ethanol extract of Codonopsis Pilosulae Radix (CPR-E) on ovalbumin (OVA)-induced allergic responses in mice. Methods : Mice were sensitized (1, 8, and 15 days) with OVA and airway challenged(22, 24, 26, 28, and 30 days) to induced allergic responses. CPR-E extract at doses of 50 and 100 mg/kg/body weight was orally administered from days 21 to 30 consecutively. The levels of allergic mediators such as histamine, OVA-specific immunoglobulin (Ig) E, and Th1/Th2 cytokines such as IFN-${\gamma}$ and IL-4 were measured in the sera of mice by ELISA. The histological change of lung tissue was observed by hematoxylin and eosin (H&E) staining. Results : CPR-E extract significantly decreased the serum levels of histamine, OVA-specific IgE, and IL-4 compared with those of OVA control group, but significantly increased the serum level of IFN-${\gamma}$. Based on H&E staining, CPR-E extract inhibited the infiltration of inflammatory cells into lung tissues with histological changes. Conclusions :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PR-E extract has anti-inflammatory and anti-allergic responses through regulating the cytokine balance, suggesting that the extract may be useful for the treatment of allergic inflammatory diseases such as bronchial asthma and allergic rhinitis.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당삼의 70% 에탄올 추출물을 제조하여 난알부민으로 알레르기 면역반응이 유도된 마우스에서 당삼의 조절 효과를 확인하고자 수행하였으며, 유의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제안 방법
마지막 복강 주사 7일 후 마우스를 50×15×50 ㎝ 크기의 아크릴 상자 안에 넣고 2 ㎎/㎖ OVA 용액을 nebulizer 기기를 이용하여 격일 간격으로 1일 3회 5일 동안 분사함으로써 호흡을 통한 알레르기성 면역반응을 유도하였다.
난알부민으로 알레르기 면역반응이 유도된 동물모델을 제작하기 위해 먼저 난알부민(ovalbumin, chicken egg albumin; OVA) 1 ㎎을 PBS와 수산화알루미늄 겔(Al(OH)3 gel)을 1:1로 혼합한 용액 0.3 ㎖을 실험 시작일로부터 7일 간격으로 하루에 1번 3주간(1일, 8일, 15일) 마우스의 복강내 주사하였다. 마지막 복강 주사 7일 후 마우스를 50×15×50 ㎝ 크기의 아크릴 상자 안에 넣고 2 ㎎/㎖ OVA 용액을 nebulizer 기기를 이용하여 격일 간격으로 1일 3회 5일 동안 분사함으로써 호흡을 통한 알레르기성 면역반응을 유도하였다.
각 군으로부터 수집한 폐 조직을 4% formaldehyde 용액으로 7일간 고정한 후 파라핀으로 포매하여 블록을 제작하고 microtome을 이용하여 폐 조직을 5 µm 두께의 절편을 제작하였다.
반응이 끝난 후 각 well에 정지액을 50 µl씩 넣어 효소반응을 정지시킨 후 microplate reader의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혈청 내 IL-4와 IFN-γ의 농도는 표준용액의 정량곡선을 기준으로 계산하였다.
혈청 내 IL-4와 IFN-γ의 농도는 각 사이토카인에 대한 ELISA kit(R&D Systems)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반응이 끝난 후 각 well에 정지액(stop solution)을 50 µl씩 넣어 효소반응을 정지시킨 후 microplate reader의 4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혈청 내 IgE의 농도는 표준용액의 정량곡선을 기준으로 계산하였다.
H&E 염색된 폐 조직 슬라이드에서 기관지 상피세포층의 손상정도, 기관지와 폐포 주위 염증세포 침윤 등을 광학현미경(Leica Co., German)으로 관찰하였다.
실험군으로는 생리식염수를 투여한 정상군(Normal), 난알 부민(OVA) 감작에 의해 알레르기 면역반응이 유발된 대조군(OVA-Control), 면역반응이 유발된 대조군에 당삼 70% 에탄올 추출물(CPR-E)을 50 ㎎/㎏과 100 ㎎/㎏ 용량으로 투여한 실험군(OVA+CPR-E 50, OVA+CPR-E 100) 및 대조약물로써 항히스타민제인 케토티펜(Ketotifen)을 10 ㎎/㎏투여한 양성대조군(OVA+Keto 10)으로 나누었으며, 각 군당 6마리의 마우스를 사용하였다. 당삼추출물과 케토티펜은 아크릴 상자 안에서 neublizer를 이용하여 airway challenge하는 동안 매일 1회 일정 시간에 일정 투여량(0.
실험군으로는 생리식염수를 투여한 정상군(Normal), 난알 부민(OVA) 감작에 의해 알레르기 면역반응이 유발된 대조군(OVA-Control), 면역반응이 유발된 대조군에 당삼 70% 에탄올 추출물(CPR-E)을 50 ㎎/㎏과 100 ㎎/㎏ 용량으로 투여한 실험군(OVA+CPR-E 50, OVA+CPR-E 100) 및 대조약물로써 항히스타민제인 케토티펜(Ketotifen)을 10 ㎎/㎏투여한 양성대조군(OVA+Keto 10)으로 나누었으며, 각 군당 6마리의 마우스를 사용하였다. 당삼추출물과 케토티펜은 아크릴 상자 안에서 neublizer를 이용하여 airway challenge하는 동안 매일 1회 일정 시간에 일정 투여량(0.3 ㎖)으로 경구 투여하였다.
실험 최종일에 모든 동물을 희생시키고 심장으로부터 혈액을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혈액은 6,000 rpm에서 5분간 2회원심 분리함으로써 혈청을 분리하였다. 또한 폐의 조직학적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각 군으로부터 폐 조직을 수집하였다.
각 군으로부터 수집한 폐 조직을 4% formaldehyde 용액으로 7일간 고정한 후 파라핀으로 포매하여 블록을 제작하고 microtome을 이용하여 폐 조직을 5 µm 두께의 절편을 제작하였다. 폐 조직의 구조적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서 폐 조직 슬라이드를 60℃에서 30분 동안 가열한 다음 xylene으로 15~20분 간 탈파라핀 시키고 100%, 95%, 80%, 75% 알코올 순서대로 함수시켰다. 이를 hematoxylin과 eosin으로 염색색한 후 Permount로 커버 슬립하였다.
혈청 내 히스타민의 농도는 histamine enzyme immunoassay kit(Cayman Chemical)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먼저, 혈청 200 µl와 유도체화 완충용액 50 µl를 잘 섞어 반응시킨 다음 유도체화 시약 20 µl를 넣어 혼합시킴으로써 혈청 내 히스타민 유도체화를 유도하였다.
다음날 plate를 5회 washing buffer로 세척한 다음 색소기질(chromogenic substrate) 200 µl를 넣고 암실상태에서 60~90분 동안 상온에서 반응시켰다. 반응이 끝난 후 발색 정도를 microplate reader의 40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혈청 내 히스타민의 농도는 표준용액의 정량곡선을 기준으로 계산하였다.
혈청 내 난알부민 특이 IgE 항체의 농도는 IgE ELISA kit(BD Biosciences)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즉, 96-well flat-bottom ELISA plate에 0.
난알부민으로 알레르기 면역반응이 유도된 마우스에서 당삼 에탄올추출물(CPR-E)의 알레르기 면역반응에 대한 조절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혈청 내 Th2 사이토카인인 IL-4와 Th1 사이토카인인 IFN-γ의 농도를 효소면역반응법으로 측정하였다.
난알부민으로 알레르기 면역반응이 유도된 마우스에서 당삼 에탄올추출물(CPR-E)의 IgE 항체 생성에 대한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혈청 내 난알부민-특이 IgE의 농도를 효소 면역반응법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그림 2에서와 같이 혈청 내 난 알부민 특이 IgE의 농도는 정상군(Normal)에 비해 난알부민 감작으로 알레르기 면역반응이 유발된 대조군(OVA-Control)에서 현저히 증가되었다.
난알부민으로 알레르기 면역반응이 유도된 마우스에서 길경 에탄올추출물(CPR-E)의 폐 조직 손상에 대한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폐 조직을 H&E 염색하였다.
본 연구는 난알부민 감작으로 알레르기 면역반응이 유도된 마우스에서 당삼 70% 에탄올추출물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대상 데이터
실험동물은 6주령 BALB/c계 수컷 생쥐(mouse, 20±2g) 를 (주)샘타코(경기도, 한국)로부터 구입하였으며, 고형사료와 물을 제한 없이 공급하면서 온도(23±2℃)와 습도(55±5%)를 일정하게 유지되고, 12시간 낮과 밤의 주기를 유지하는 환경에서 사육하였다.
실험에 사용되어진 시약으로 ovalbumin (OVA)과 ketotifen 은 Sigma-Aldrich사(St Louice, CA, USA)로부터 구입하였으며, Al(OH)3 gel은 InvivoGen사(InvivoGen, San Diego, USA), H&E 염색 시약(Seoulin Biosciences Co., Seoul, South Korea)과 histamine enzyme immunoassay kit(Cayman Chemical, MG, USA), Sandwich ELISA using OptEIA Set mouse OVA-specific IgE Kit (BD Biosciences, San Diego, CA, USA) 및 DuoSet mouse IL-4 ELISA Kits(R&D Systems Inc., Minneapolis, MN, USA)를 사용하였다.
또한 실험기기로는 nebulizer(Devilbiss, PA, USA), microplate reader(Asys, Eugendorf, Austria), microscope(LEICA, Wetzlar, Germany) 등을 사용하였다.
데이터처리
모든 실험결과는 3회 반복실험에 대한 평균과 표준편차 (mean±SD)로 나타내었으며, 통계학적 유의성 검증은 GraphPad Prism 5.0 분석프로그램을 이용하여 one-way ANOVA와 Tukey's test를 이용하였고, p값이 0.05 이하인 경우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판정하였다.
이론/모형
난알부민으로 알레르기 면역반응이 유도된 마우스에서 당삼 에탄올추출물(CPR-E)의 히스타민 생성에 대한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혈청 내 히스타민의 농도를 효소면역반응법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그림 1에서와 같이 혈청 내 히스타민의 농도는 정상군(Normal)에 비하여 난알부민 감작으로알레르기 면역반응이 유도된 대조군(OVA-Control)에서 현저히 증가되었다.
성능/효과
난알부민으로 알레르기 면역반응이 유도된 마우스에서 당삼 에탄올추출물(CPR-E)의 히스타민 생성에 대한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혈청 내 히스타민의 농도를 효소면역반응법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그림 1에서와 같이 혈청 내 히스타민의 농도는 정상군(Normal)에 비하여 난알부민 감작으로알레르기 면역반응이 유도된 대조군(OVA-Control)에서 현저히 증가되었다. 반면, 당삼추출물을 50 ㎎/㎏ 투여한 군(OVA+CPR-E 50)과 100 ㎎/㎏ 투여한 군(OVA+CPR-E 100)에서는 모두 대조군에 비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결과, 그림 1에서와 같이 혈청 내 히스타민의 농도는 정상군(Normal)에 비하여 난알부민 감작으로알레르기 면역반응이 유도된 대조군(OVA-Control)에서 현저히 증가되었다. 반면, 당삼추출물을 50 ㎎/㎏ 투여한 군(OVA+CPR-E 50)과 100 ㎎/㎏ 투여한 군(OVA+CPR-E 100)에서는 모두 대조군에 비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조약물인 ketotifen을 10 ㎎/㎏ 투여한 군(OVA+Keto 10)에서도 대조군에 비해 히스타민의 농도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반면, 당삼추출물을 50 ㎎/㎏ 투여한 군(OVA+CPR-E 50)과 100 ㎎/㎏ 투여한 군(OVA+CPR-E 100)에서는 모두 대조군에 비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조약물인 ketotifen을 10 ㎎/㎏ 투여한 군(OVA+Keto 10)에서도 대조군에 비해 히스타민의 농도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난알부민으로 알레르기 면역반응이 유도된 마우스에서 당삼 에탄올추출물(CPR-E)의 IgE 항체 생성에 대한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혈청 내 난알부민-특이 IgE의 농도를 효소 면역반응법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그림 2에서와 같이 혈청 내 난 알부민 특이 IgE의 농도는 정상군(Normal)에 비해 난알부민 감작으로 알레르기 면역반응이 유발된 대조군(OVA-Control)에서 현저히 증가되었다. 반면, 당삼추출물을 50 ㎎/㎏ 투여한 군(OVA+CPR-E 50)과 100 ㎎/㎏ 투여한군(OVA+PR-E 100)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반면, 당삼추출물을 50 ㎎/㎏ 투여한 군(OVA+CPR-E 50)과 100 ㎎/㎏ 투여한군(OVA+PR-E 100)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또한 대조약물인 ketotifen을 10 ㎎/㎏ 투여한 군(OVA+Keto 10)에서도 대조군에 비해 IgE의 농도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난알부민으로 알레르기 면역반응이 유도된 마우스에서 당삼 에탄올추출물(CPR-E)의 알레르기 면역반응에 대한 조절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혈청 내 Th2 사이토카인인 IL-4와 Th1 사이토카인인 IFN-γ의 농도를 효소면역반응법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그림 3에서와 같이 혈청 내 IL-4의 농도는 정상군(Normal)보다 난알부민 감작으로 알레르기 면역반응이 유도된 대조군(OVA-Control)에서 현저히 증가하였다. 반면, 당삼추출물을 50 ㎎/㎏ 투여한 군(OVA+CPR-E 50)과 100 ㎎/㎏ 투여한 군(OVA+CPR-E 100)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감소하였으나 100 ㎎/㎏ 투여한 군보다 50 ㎎/㎏ 투여한 군에서 IL-4농도가 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그 결과, 그림 3에서와 같이 혈청 내 IL-4의 농도는 정상군(Normal)보다 난알부민 감작으로 알레르기 면역반응이 유도된 대조군(OVA-Control)에서 현저히 증가하였다. 반면, 당삼추출물을 50 ㎎/㎏ 투여한 군(OVA+CPR-E 50)과 100 ㎎/㎏ 투여한 군(OVA+CPR-E 100)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감소하였으나 100 ㎎/㎏ 투여한 군보다 50 ㎎/㎏ 투여한 군에서 IL-4농도가 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또한 대조약물인 ketotifen을 10 ㎎/㎏ 투여한 군(OVA+Keto 10)에서도 대조군에 비해 IL-4의 농도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반면, 당삼추출물을 50 ㎎/㎏ 투여한 군(OVA+CPR-E 50)과 100 ㎎/㎏ 투여한 군(OVA+CPR-E 100)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감소하였으나 100 ㎎/㎏ 투여한 군보다 50 ㎎/㎏ 투여한 군에서 IL-4농도가 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또한 대조약물인 ketotifen을 10 ㎎/㎏ 투여한 군(OVA+Keto 10)에서도 대조군에 비해 IL-4의 농도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본 연구에서 당삼의 에탄올추출물은 난알부민 감작으로 알레르기 면역반응이 유도된 마우스에서 혈청 내 히스타민과 난알부민-특이 IgE의 농도를 유의적으로 감소시키고, Th2 사이토카인인 IL-4의 분비는 억제하고, Th1 사이토카인인 IFN-γ의 분비는 증가시킴으로써 알레르기반응 매개물질들의 분비 억제 뿐 아니라 Th1/Th2 사이토카인의 균형조절을 통해 면역기능을 회복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난알부민에 감작되면 혈청 내 항체뿐만 아니라 호산구(eosinophils)의 조직으로의 침윤이 현저히 증가되고, 비만세포(mast cell)와 호염구(basophils)에서 Fcε RI와 매우 강력한 결합에 의하여 알레르기 면역반응을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난알부민으로 알레르기 면역반응이 유도된 마우스에서 길경 에탄올추출물(CPR-E)의 폐 조직 손상에 대한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폐 조직을 H&E 염색하였다. 그 결과, 그림 5에서와 같이 난알부민 감작으로 알레르기 면역반응이 유도된 대조군(OVA-Control)의 폐 조직에서는 세기관지 상피세포층 손상과 더불어 기관지 및 폐포 주위로 염증세포의 침윤이 발달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반면 당삼추출물을 50 ㎎/㎏ 투여한 군(OVA+CPR-E 50)에서는 대조군과 동일하게 폐 조직 손상과 염증 침윤이 개선되지 않았으나, 100 ㎎/㎏ 투여한 군(OVA+CPR-E 100)에서는 기관지 상피세포층의 보존과 더불어 염증세포의 침윤이 대조군에 비해 감소하였다.
반면 당삼추출물을 50 ㎎/㎏ 투여한 군(OVA+CPR-E 50)에서는 대조군과 동일하게 폐 조직 손상과 염증 침윤이 개선되지 않았으나, 100 ㎎/㎏ 투여한 군(OVA+CPR-E 100)에서는 기관지 상피세포층의 보존과 더불어 염증세포의 침윤이 대조군에 비해 감소하였다. 또한 대조약물인 ketotifen을 10 ㎎/㎏ 투여한 군(OVA+Keto 10)에서는 기관지 상피세포층은 대조군에 비해 보존되었으나, 당삼추출물을 투여한 군에 비해서 염증세포의 침윤은 감소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에서 당삼의 에탄올추출물은 알레르기 면역반응이 유도된 마우스의 폐 조직에서 난알부민감작으로 인한 기관지 상피세포의 손상과 폐 조직의 구조적 손상을 줄여주었으며, 각 종 알레르기성 염증세포들의 폐 조직으로의 침윤을 억제함으로써 폐 조직에서의 염증반응을 막아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당삼 추출물이 알레르기 면역반응에 따른 여러 매개물질의 생성과 분비를 막고, 면역조절 사이토카인들의 항상성을 유지시킴으로써 알레르기 과민반응으로부터 폐 조직을 보호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결과에서 당삼의 에탄올추출물은 난알부민 감작으로 알레르기 면역반응이 유도된 마우스에서 혈청내 히스타민과 난알부민 특이 IgE의 분비를 감소시켰으며, IL-4의 감소와 IFN-γ의 증가를 통해 Th1/Th2 면역반응의 항상성을 회복시켰고, 폐 조직에서의 염증세포 침윤 억제를 통해 염증반응을 막아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1. 당삼추출물은 난알부민 유도 알레르기 면역반응이 유도된 마우스에서 혈청 내 히스타민과 난알부민-특이 IgE 의 분비를 유의적으로 감소시켰다.
3. 당삼추출물은 난알부민 유도 알레르기 면역반응이 유도된 마우스에서 폐 조직의 기관지 상피층 손상을 막고, 염증세포 침윤을 억제시킴으로써 폐 조직 손상을 억제 하였다.
본 연구결과로부터 당삼의 70% 에탄올추출물은 알레르기 면역반응 유도 매개물질들의 분비를 감소시키고, 면역조절 사이토카인의 항상성을 회복시킴으로써 각종 알레르기 질환 치료에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후속연구
결론적으로 본 연구결과에서 당삼의 에탄올추출물은 난알부민 감작으로 알레르기 면역반응이 유도된 마우스에서 혈청내 히스타민과 난알부민 특이 IgE의 분비를 감소시켰으며, IL-4의 감소와 IFN-γ의 증가를 통해 Th1/Th2 면역반응의 항상성을 회복시켰고, 폐 조직에서의 염증세포 침윤 억제를 통해 염증반응을 막아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당삼 추출물이 IgE-매개의 알레르기 면역반응을 잘 조절할 수 있다고 보아지며, 기관지 천식, 알레르기 비염, 아토피 등 알레르기 면역반응의 공통 병태생리를 갖는 각종 알레르기 질환의 치료제 개발 소재로써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알레르기(allergy) 질환이란?
알레르기(allergy) 질환은 일반적으로 정상인 사람들에게 별로 해가 없는 외부항원(allergen)에 대한 불필요한 면역반응, 즉 과민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항원의 반복적인 노출에 따른 변화된 상태, 즉 이상반응이라는 광범위한 의미에서부터 자극적이거나 해로운 작용을 일으키는 면역반응으로 해석되고 있다2-4).
1. 당삼추출물은 난알부민 유도 알레르기 면역반응이 유도된 마우스에서 혈청 내 히스타민과 난알부민-특이 IgE 의 분비를 유의적으로 감소시켰다.
2. 당삼추출물은 난알부민 유도 알레르기 면역반응이 유도된 마우스에서 혈청 내 Th2 사이토카인인 IL-4의 분비를 유의적으로 감소시키고, Th1 사이토카인인 IFNγ의 분비를 유의적으로 증가시켰다.
3. 당삼추출물은 난알부민 유도 알레르기 면역반응이 유도된 마우스에서 폐 조직의 기관지 상피층 손상을 막고, 염증세포 침윤을 억제시킴으로써 폐 조직 손상을 억제 하였다.
당삼이란?
당삼(黨參)은 초롱꽃과(桔梗科 : Campanulaceae)에 속한多年生 本草인 만삼 Codonopsis pilosula (Fr.) Nannf.의 뿌리로, 가을에 채취하여 지상부를 제거하고 진흙을 씻어내어 쇄건하여 사용하는 한약재로 우리나라의 강원 등의 깊은 산속에 자생 혹은 재배하며, 중국에서는 동북지방과 산서, 섬서, 감숙, 사천 등에 분포한다. 性은 平하고, 味는 甘하며, 脾와肺로 歸經 하여 補中益氣, 健脾益肺, 治脾胃虛弱, 氣血兩虧, 體倦無力, 食少, 口渴, 久瀉, 脫肛, 虛喘咳嗽의 효능을 가지고 있다.
참고문헌 (29)
Jung JK, Park YK. Dose range finding study of KOB03, a new polyherbal medicine for the treatment of allergic rhinitis, by oral administration for four weeks in Sprague-Dawley rats. Kor J Herbology. 2012 ; 27(3) : 101-6.
Park YC, Lim JD, Park YK, Yoon MS, Lee SD. Review : Clinical application and efficacy of herbal medicines by modulating cytokines in atopic dermatitis-induced animal model. Kor J Herbology. 2012 ; 27(4) : 33-44.
Korean Journal of Asthma, Allergy and Clinical Immunology. Asthma and Allergy disease. Seoul : Koonja publisher. 2002 ; 66 : 431-3.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Immunology. Seoul : Seoul National University publisher. 1987 : 188-97.
Ahn KM. Role of mast cell in allergic inflammation and innate immunity. Korean J Pediatrics. 2004 ; 47(11) : 1137-41.
Kim SH, Kim SA, Park MK, Kim SH, Park YD, Na HJ, Kim HM, Shin MK, Ahn KS. Paeonol inhibits anaphylactic reaction by regulation histamine and TNF- ${\alpha}$ . International Immunopharmacology. 2004 ; 4 : 279-87.
Choi KJ. Effect of Saururus chinensis (Lour.) Baill Aquacupuncture on Allergy in Mice. Dongeui university. 2004 : 1-23.
Hong WS. JungkyoHuangjenaegyeongsomun. seoul : Dongyang medicine Institute publisher. 1981 : 24, 39, 119.
The whole country a college of Orental medicine The joint textbook publish commission compilatioin. herbology. seoul : yonglimsa. 2006. 578-9.
Ryu HY, Ahn SM, Kim JS, Sohn HY. Evaluation of In-vitro Anticoagulation Activity of 33 Different Medicinal Herbs. Journal of Life Science. 2010 ; 20(6) : 922-8.
He K, Li X, Chen X, Ye X, Huang J, Jin Y, Li P, Deng Y, Jin Q, Shi Q, Shu H. Evaluation of antidiabetic potential of selected traditional Chinese medicines in STZ-induced diabetic mice. J Ethnopharmacol. 2011 ; 137(3) : 1135-42.
Sun YX. Immunological adjuvant effect of a water-soluble polysaccharide, CPP, from the roots of Codonopsis pilosula on the immune responses to ovalbumin in mice. Chem Biodivers. 2009 ; 6(6) : 890-6.
Wang ZT, Du Q, Xu GJ, Wang RJ, Fu DZ, Ng TB. Investigations on the protective action of Condonopsis pilosula (Dangshen) extract on experimentally-induced gastric ulcer in rats. Gen Pharmacol. 1997 ; 28(3) : 469-73.
Xu C, Liu Y, Yuan G, Guan M. The contribution of side chains to antitumor activity of a polysaccharide from Codonopsis pilosula. Int J Biol Macromol. 2012 ; 50(4) : 891-4.
Reiss Y, Proudfoot AE, Power CA, Campbell JJ, Butcher EC. CC chemokine receptor (CCR)4 and the CCR10 ligand cutaneou T cell-attracting chemokine (CTACK) in lymphocyte trafficking to inflamed skin. J Exp Med. 2001 ; 194(10) : 1541-7.
Sun YX. Immunological adjuvant effect of a water-soluble polysaccharide, CPP, from the roots of Codonopsis pilosula on the immune responses to ovalbumin in mice. Chem Biodivers. 2009 ; 6(6) : 890-6.
Kimura M, Sasada T, Kanai M, Kawai Y, Yoshida Y, Hayashi E, Iwata S, Takabayashi A. Preventive effect of a traditional herbal medicine, Hochuekki-to, on immunosuppression induced by surgical stress. Surg Today. 2008 ; 38(4) : 316-22.
Kralovec JA, Power MR, Liu F, Maydanski E, Ewart HS, Watson LV, Barrow CJ, Lin TJ. An aqueous Chlorella extract inhibits IL-5 production by mast cells in vitro and reduces ovalbumininduced eosinophil infiltration in the airway in mice in vivo. Int Immunopharmacol. 2005 ; 5(4) : 689-98.
Weber A, Knop J, Maurer M. Pattern analysis of human cutaneous mast cell populations by total body surface mapping. Br J Dermatol. 2003 ; 148(2) : 224-8.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