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편백나무 잎 추출물의 성분분석과 면역효능에 관한 연구
Analysis of the Component and Immunological Efficacy of Chamaecyparis obtusa Leaf Extract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linical laboratory science : KJCLS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v.50 no.1, 2018년, pp.37 - 43  

김정희 (대경대학교 임상병리과) ,  이승욱 (계명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식품가공학전공) ,  도국배 ((주)메디웨이코리아) ,  지원대 ((주)메디웨이코리아) ,  김선건 (한약진흥재단 천연물 의학팀) ,  백영두 (대구보건대학교 임상병리과) ,  김극준 (대경대학교 임상병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전라도 장성지역의 편백나무 잎 추출물을 사용하여 in vitro에서 항염증 및 항알레르기 효과를 보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편백나무 잎 추출물은 $50^{\circ}C$에서 감압 건조하여 실험에 사용하였으며, 총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한 결과 $25.89{\pm}0.31mg\;GAE/g$로 나타났다. 설정된 GC-MS 분석법으로 편백나무잎 추출물의 6종 성분에 대한 함량 분석을 실시한 결과, ${\alpha}-Terpinene$ 3.03 mg/g, ${\alpha}-Terpineol$ 9.48 mg/g, limonene 5.96 mg/g, borneol 59.78 mg/g, myrcene 4.85 mg/g, sabinene 11.31 mg/g로 borneol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편백나무 잎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H_2O_2$$ABTS^+$ 라디칼에 대한 추출물의 $RC_{50}$이 각각 $5.47{\pm}0.13mg/mL$$4.00{\pm}0.01mg/mL$로 나타났다. 또한 마우스 유래의 대식세포주인 RAW 264.7 세포에서 LPS 100 ng/mL을 처리를 통한 염증유도 군에서 주요 인자인 NO 생성이 $28{\pm}0.38{\mu}M$까지 증가하였으나 편백나무 잎 추출물 $150{\mu}g/mL$ 처리 농도에서 $IC_{50}$ 으로 감소할 것으로 추정되므로, 편백나무 잎 추출물이 항염증 작용이 있음을 시사한다. 알레르기 주요 인자인 ${\beta}-hexosaminidase$의 경우 처리한 편백나무 잎 추출물의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되어 항알레르기 효능이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인간 유래 섬유아세포인 CCD-986sk 세포에 대해 편백나무 잎 추출물의 농도 $100{\sim}800{\mu}g/mL$ 범위에서 세포독성을 전혀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편백나무 잎 추출물이 향후 기능성 화장품, 연고 등의 산업화에 광범위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hamaecyparis obtusa (CO) has recently been attracting attention because of its beneficial effects on skin allergies, atopic dermatitis, and skin diseases, such as acne and eczema. In the present study, the extract from CO leaf grown in Jangseong gun, Jeollanam-do, Korea was evaluated for its ant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장성 지역 편백나무 잎 추출물의 성분분석 및 생리 활성 탐색을 통해 향후 기능성 화장품, 연고 등의 산업화에 적용 가능성이 있음을 알아보고자 진행하였다.
  • 본 연구는 전라도 장성지역의 편백나무 잎 추출물을 사용하여 in vitro에서 항염증 및 항알레르기 효과를 보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Lee 등[20]의 선행연구에서는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을 당 제거한 아글리콘 분획의 HPLC 정량분석 결과 quercetin 성분이 8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편백이란? 편백(Chamaecyparis obtusa, CO)은 히노끼(hinoki)나무로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고, 측백나무과(Cupressaceae) 편백 속(Charmaecyparis)에 속하며 중국, 일본, 한국에서 자란다[1]. 편백나무 목재는 욕조, 가구 및 베개 충전재 제조, 오일 공급원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편백나무 잎 추출물은 다양한 생물학적 활성이 있어 의학의 자연적 근원으로 여겨왔으며 요로감염의 치료효과와 강력한 항균활성 및 항염활성 등이 보고되었다[2-5].
편백나무 목재의 활용도는? 편백(Chamaecyparis obtusa, CO)은 히노끼(hinoki)나무로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고, 측백나무과(Cupressaceae) 편백 속(Charmaecyparis)에 속하며 중국, 일본, 한국에서 자란다[1]. 편백나무 목재는 욕조, 가구 및 베개 충전재 제조, 오일 공급원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편백나무 잎 추출물은 다양한 생물학적 활성이 있어 의학의 자연적 근원으로 여겨왔으며 요로감염의 치료효과와 강력한 항균활성 및 항염활성 등이 보고되었다[2-5]. 또한 최근 편백나무에서 추출한 bioflavonoid의 경우 신경보호 작용이 있다고 보고되었으며[6], monoterpenoids, sesquiterpenoids, flavonoids와 bioflavonoids 등은 편백나무 잎에서 추출한 다양한 종류의 생물학적 활성물질로도 잘 알려져 있다[7-9].
편백 나무 잎의 추출방법에 따라 유효 지표 성분이 다르게 나타난다는 결과를 시사하는 이유는? 추출용매에 따른 총 폴리페놀 함량에 관한 비교 자료가 미비하여, 편백나무의 지역별, 부위별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α-Terpinene 보다 졸음방지에 생리활성이 있는 borneol 성분이 가장 많았다. 이는 추출방법에 따라 유효 지표 성분이 다르게 나타난다는 결과를 시사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Yang JK, Choi MS, Seo WT, Rinker DL, Han SW, Cheong GW. Chemical composition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Chamaecyparis obtuse leaf essential oil. Fitoterapia. 2007;78(2):149-152. 

  2. Lee JH, Lee BK, Kim JH, Lee SH, Hong SK. Comparison of chemical compositions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essential oils from three conifer trees; Pinus densiflora, Cryptomeria japonica, and Chamaecyparis obtusa. J Microbiol Biotechnol. 2009;19(4):391-396. 

  3. Jang YS, Lee CH, Kim MK, Kim JH, Lee SH, Lee HS. Acaricidal activity of active constituent isolated in Chamaecyparis obtusa leaves against Dermatophagoides spp. J Agric Food Chem. 2005;53(6):1934-1937. 

  4. An BS, Kang JH, Yang H, Jung EM, Kang HS, Choi IG, et al. Anti-inflammatory effects of essential oils from Chamaecyparis obtusa via the cyclooxygenase-2 pathway in rats. Molecular medicine reports. 2013;8(1):255-259. 

  5. Jeong EJ, Hwang L, Lee M, Lee KY, Ahn MJ, Sung SH. Neuroprotective biflavonoids of Chamaecyparis obtusa leaves against glutamate-induced oxidative stress in HT22 hippocampal cells. Food Chem Toxicol. 2014;64:397-402. 

  6. Park HJ, Kim SK, Kang WS, Woo JM, Kim JW. Effects of essential oil from Chamaecyparis obtusa on cytokine genes in the hippocampus of maternal separation rats. Can J Physiol Pharmacol. 2013;92(2):95-101. 

  7. Tang B, Lee YJ, Lee YR, Row KH. Examination of 1-methylimidazole series ionic liquids in the extraction of flavonoids from Chamaecyparis obtuse leaves using a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J Chromatogr B Analyt Technol Biomed Life Sci. 2013;933(15):8-41. 

  8. Inaba H, Nagaoka Y, Kushima Y, Kumagai A, Matsumoto Y, Sakaguchi M, et al. Comparative examination of anti-proliferative activities of (-)-epigallocatechin gallate and (--)-epigallocatechin against HCT116 colorectal carcinoma cells. Biol Pharm Bull. 2008;31(1):79-84. 

  9. Bose B, Choudhury H, Tandon P, Kumaria S. Studies on secondary metabolite profiling, anti-inflammatory potential, in vitro photoprotective and skin-aging related enzyme inhibitory activities of Malaxis acuminata, a threatened orchid of nutraceutical importance. J Photochem Photobiol B. 2017;173(10):686-695. 

  10. Haratake A, Uchida Y, Schmuth M, Tanno O, Yasuda R, Epstein JH, et al. UVB-induced alterations in permeability barrier function: roles for epidermal hyperproliferation and thymocytemediated response. J Invest Dermatol. 1997;108(5): 769-775. 

  11. Kim MY, Cho DO, Back OH, Lee BH. Effects of body composition, nutrient intakes and biochemical indices on skin health status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with sensitive skin. Korean J Food Culture. 2008;23(2):258-267. 

  12. Yang YM, Kang SM. The effects of the application of ceramide emulsion on the improvement of skin makeup in sensitive skin women in their 20's. J Kor Soc Cosm. 2013; 19(5):891-901. 

  13. Imokawa G, Abe A, Jin K, Higaki A. Decreased level of ceramides in straum corneum dr atopic dermatitis: an etologic facter on atopic dry skin. J Invest Dermtol. 1991;96(4):523-526. 

  14. Chen YJ, Lin CY, Cheng SS, Chang ST.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the genus Chamaecyparis inferred from leaf essential oil. Chem Biodivers. 2011;8(6):1083-1097. 

  15. Singleton VL. Naturally occurring food toxicants: phenolic substances of plant origin common in foods. Advances Food Res. 1981;27(21):149-242. 

  16.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Rice-Evans C.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 Biol Med. 1999;26(9-10):1231-1237. 

  17. Lee SO, Lee HJ, Yu MH, Im HG, Lee IS. Total polyphenol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from vegetables produced in ullung island. Korean J Food Sci Technol. 2005;37(2):233-240. 

  18. Green LC, Wagner DA, Glogowski J. Analysis of nitrate, nitrite, and [ $15^{N}$ ]nitrate in biological fluids. Anal Biochem. 1982;126(1):131-138. 

  19. Lee SE, Joung HG, Lee DY, Lee JH, Choi J, Kim GS, et al. Inhibition activity of plants on IgE-mediated degranulation of RBL-2H3 cells. Korean J Plant Resources. 2015;28(12):718-726. 

  20. Lee DS, Lim MS, Kwan SS, Kim SY, Park SN. Antioxidative activity and componential analysis of Chamaecyparis obtusa leaf extract. App Chem Eng. 2012;23(1):93-99. 

  21. Kodikonda M, Prakash RN. Ameliorative effect of borneol, a natural bicyclic monoterpene against hyperglycemia, hyperlipidemia and oxidative stres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Wistar rats. Biomed Pharmacother. 2017;96:336-347. 

  22. Ahn JY, Lee SS, Kang HY. Biological activities of essential oil from Chamaecyparis obtusa.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2004; 30(4):503-507. 

  23. Kim SK, Lee SM, Lim HB. Attenuation effect of Chamaecyparis obtusa leaf essential oils on airway hyperresponsiveness and airway inflammation in ovalbumin-Induced murine asthma model. J Medicinal Crop Science. 2015;23(3):237-244. 

  24. Kang S, Lee JS, Lee HC, Petriello MC, Kim BY, Do JT, et al. Phytoncide extracted from pinecone decreases LPS-Induced inflammatory responses in bovine mammary epithelial cells. J Microbiol Biotechnol. 2016;26(3):579-587.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