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양한 자세에 따른 복부 할로잉과 브레이싱 수축시 체간근 활성도의 차이
Difference of Trunk Muscles Activity during Hollowing vs Bracing Contraction in Various Position 원문보기

대한물리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v.8 no.1, 2013년, pp.11 - 18  

문현주 (부산가톨릭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조성학 (부산가톨릭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구봉오 (부산가톨릭대학교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trunk muscles activity during abdominal hollowing and bracing contraction in various position. METHODS: This pilot test was carried out in a volunteer sample of normal adults(n=24) without a history of low back pain or injury. 2...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정상 성인을 대상으로 복부 할로잉 수축과 브레이싱 수축을 하지의 동적인 움직임과 함께 실시했을 때, 각 움직임에 따른 체간 근의 활성도를 비교해 보고 요통을 가진 환자뿐만 아니라 기능적 움직임을 증진하기위한 운동처방의 기초 자료로 이용하고자 함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체간 안정성을 증진하기 위한 방법에는 어떤것들이 있는가? 또한 체간근의 안정성 및 유연성이 근력, 지구력, 근협응력, 균형감각 등의 통합과, 효율적이고 기능적인 운동 기술과도 연관되므로 스포츠에서 경기력 향상을 위한 체간 안정화 운동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Cook, 2001; Kiblar 등, 2006). 따라서 요통환자 뿐만 아니라 운동선수들의 체간 안정성을 증진하기 위한 방법으로 복부 할로잉(hollowing) 운동과 복부 브레이싱(bracing) 운동 등이 있다(Richardson 과 Jull, 1992; McGill과 Karpowicz, 2009).
브레이싱 운동이 복내압을 증가시키고 압박해체간의 안정성 증진 뿐만 아니라 골반부의 안정성도 증진시킨다는 근거는 무엇인가? 한편 McGill(2001)이 주장하는 브레이싱 운동은 체간을 이루는 심부와 표층근 및 엉덩이 근육간의 잘 조화된 협응적 수축이 복부를 단단하게 만들어서 복내압을 증진시키고, 이 증가된 복내압은 골반저근을 압박해체간의 안정성 증진뿐만 아니라 골반부의 안정성도 증진시킨다고 했다. 그 근거로는 상하지 및 체간이 갑작스런 외부적 동요(perturbation)시에 표층의 근육들이 긴 지레팔을 가지고 있어서, 강한 힘과 빠른 속도, 큰 토크로 일차적 반응을 하여 척추와 골반간의 바른 정렬을 유지함으로써 체간의 안정성을 만들어 준다는 데 있다(Comerford와 Mottram, 2001). Malik(2009)의 할로잉과 브레이싱의 비교 고찰 연구와 함께 복부 할로잉과 브레이싱의 체간 안정성에 대한 Vera-Garcia 등(2007)의 비교 연구에서도 할로잉은 갑작스런 움직임에 대한 동요를 감소시키기엔 비효율적이라고 했으며, 반면에 브레이싱은 체간의 동시수축을 증폭시켜 요추의 전이를 감소시킴으로서 체간 안정성을 증진시킨다고 했다.
체간근의 안정화가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요통을 가진 환자들에게 흔히 볼 수 있는 것이 체간의 불안정성이다(Panjabi, 2003). 체간근의 안정화는 요통의 강도를 감소시키고 움직임시 다른 부위의 보상작용을 줄이며, 요통의 재발율을 감소시키는데 필수적이다(Liebenson 등, 2009; Cynn 등, 2006; Suni 등, 2006; Hides 등, 2001). 또한 체간근의 안정성 및 유연성이 근력, 지구력, 근협응력, 균형감각 등의 통합과, 효율적이고 기능적인 운동 기술과도 연관되므로 스포츠에서 경기력 향상을 위한 체간 안정화 운동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Cook, 2001; Kiblar 등,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llison GT, Morris SL. Transversus abdominis and core stability: has the pendulum swung? Br J Sports Med. 2008;42(11):930-1. 

  2. Arokoski JP, Kankaanpaa M, Valta T et al. Back and hip extensor muscle function during therapeutic exercises. Arch Phys Med Rehabil. 1999;80(7):842-50. 

  3. Bergmark A. Stability of the lumbar spine. A study in mechanical engineering. Acta Orthop Scand Suppl. 1989;230: 1-54. 

  4. Cook G. Base-line sports-fitness testing. In: high performance sports conditioning. B Foran ed. Champaign IL. human kinetics Inc. 2001. 

  5. Chon SC, Chang KY, You SH. Effect of the abdominal draw in maneuver in combination with ankle dorsiflexion in strengthening transverse abdominal muscle in healthy young adults: A preliminary, randomized, controlled study. Physiotherapy. 2010;96(2):130-6. 

  6. Comerford MJ, Mottram SL. Movement and stability dysfunction-contemporary developments. Man Ther. 2001;6(1):15-26. 

  7. Critchley D. Instructing pelvic floor contraction facilitates transversus abdominis thickness increase during low-abdominal hollowing. Physiother Res Int. 2002; 7(2):65-75. 

  8. Cholewicki J, McGill SM. Mechanical stability of the in vivo lumbar spine: implications for injury and chronic low back pain. Clin Biomech. 1996;11(1):1-15. 

  9. Cynn HS, Oh JS, kwon OY et al. Effects of lumbar stabilization using a pressure biofeedback unit on muscle activity and lateral pelvic tilt during hip abduction in sidelying. Arch Phys Med Rehabil. 2006;87(11):1454-8. 

  10. Danneels LA, Vanderstraeten GG, Cambier DC et al. A functional subdivision of hip, abdominal, and back muscles during asymmetric lifting. Spine. 2001;26(6): E114-21. 

  11. Faries MD, Greenwood M. Core training: stabilizing the confusion. Strength Condition J. 2007;29(2):1025. 

  12. Grenier S, McGill S. Quantification of lumbar stability by using 2 different abdominal activation strategies. Arch Phys Med Rehabil. 2007;88(1):54-62. 

  13. Hides JA, Jull GA, Richardson CA. Long-term effects of specific stabilizing exercise for first-episode low back pain. Spine. 2001;26(11):E243-8. 

  14. Hodges PW, Richardson CA. Inefficient muscular stabilization of the lumbar spine associated with low back pain. A motor control evaluation of transversus abdominis. Spine. 1996;21(22):2640-50. 

  15. Hodges PW. Is there a role for transversus abdominis in lumbo-pelvic stability? Manual Therapy. 1999;4(2): 74-86. 

  16. Hicks GE, Fritz JM, Delitto A et al. Preliminary development of a clinical prediction rule for determining which patients with low back pain will respond to a stabilization exercise program. Arch Phys Med Rehabil. 2005;86(9):1753-62. 

  17. Juker D, McGill S, Kropf P et al. Quantitative intramuscular myoelectric activity of lumbar portions of psoas and the abdominal wall during a wide variety of tasks. Med Sci Sports Exerc. 1998;30(2):301-10. 

  18. Kiblar WB, Press J, Sciascia A. The role of core stability in athletic function. Sports Med. 2006;36(3):189-98. 

  19. Kavcic N, Grenier S, McGill SM. Determining the stabilizing role of individual torso muscles during rehabilitation exercises. Spine. 2004;29(11):1254-65. 

  20. Koumantakis GA, Watson PJ, Oldham JA. Trunk muscle stabilization training plus general exercise versus general exercise only: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patients with recurrent low back pain. Phys Ther. 2005;85(3):209-25. 

  21. Liebenson C. Functional stability training. In Liebenson C ed. Rehabilitation of the spine. A practitioner's manual. 2nd Ed.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7. 

  22. Liebenson C, Karpowicz AM, Brown SH et al. The active straight leg raise test and lumbar spine stability. PM R. 2009;1(6):530-5. 

  23. McGill SM. Low back stability: from formal description to issues for performance and rehabilitation. Exerc Sport Sci Rev. 2001;29(1):26-31. 

  24. McGill SM, Karpowicz A. Exercises for spine stabilization: motion/motor patterns, stability progressions, and clinical technique. Arch Phys Med Rehabil. 2009; 90(1):118-26. 

  25. Norris CM. Spinal stabilization 5. An exercise programme to enhance lumbar stabilization. Physiotherapy. 1995;81(3):138-46. 

  26. O'Sullivan PB. Lumbar segmental 'Instability': Clinical presentation and specific stabilising exercise management. Man Ther. 1995;5(1):2-12. 

  27. Panjabi MM. Clinical spinal instability and low back pain. J Electromyogr Kinesiol. 2003;13(4):371-9. 

  28. Richardson C, Jull G, Toppenberg R et al. Techniques for active lumbar stabilization for spinal protection: a pilot test. Aust J Physiother. 1992;38(2):105-12. 

  29. Radebold A, Cholewicki J, Panjabi MM et al. Muscle response pattern to sudden trunk loading in healthy individuals and in patien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Spine. 2000;25(8):947-54. 

  30. Rechardson CA, Jull GA. Muscle control-pain control what exercises would you prescribe?. Man Ther. 1995;1(1): 2-10. 

  31. Suni J, Rinne M, Natri A et al. Control of the lumbar neutral zone decreases low back pain and improves selfevaluated work ability: a 12-month randomized controlled study. Spine. 2006;31(18):E611-20. 

  32. Saliba SA, Croy T, Guthrie R et al. Differences in transverse abdominis activation with stable and unstable bridging exercises in individuals with low back pain. N Am J Sports Phys Ther. 2010;5(2):63-73. 

  33. Vera-Garcia FJ, Elvira JL, Brown SH et al. Effects of abdominal stabilization maneuvers on the control of spine motion and stability against sudden trunk perturbations. J Electromyogr Kinesiol. 2007;17(5):556-6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